![]() |
김종필 한국농어촌공사 충남지역본부장 |
이런 용수의 '양'에서 '질'로의 트렌드 변화에도 불구하고 2018년 농업용수 수질측정망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충남지역의 저수지 중 28개가 농업용수 수질 기준인 Ⅳ등급을 다소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충남지역의 농업용수 수질이 악화하는 이유는 가뭄 등 기후변화에 의한 영향도 있지만, 도시화와 산업화, 축산업의 증가 등 저수지 상류 오염원이 증가하는 추세 때문으로 분석된다.
이런 수질 악화를 해결하기 위해 농어촌공사 충남지역본부에서는 2009년부터 28개 저수지에 대해 수질개선사업을 지속해서 추진하고 있다. 홍성지역의 홍동지구 등 12개 지구는 이미 준공을 완료했고, 올해는 61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6개 지구의 공사와 설계를 시행하고 있다.
현재 우리 공사에서는 저수지로 유입되는 오염물질을 정화하기 위해 호 유입부와 중앙부 등에 수질개선시설을 설치하는 호내대책을 시행하고 있지만 이러한 노력만으로는 근본적인 수질오염 문제를 해결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상류 유역에서 발생해 유입되는 오염원을 줄이기 위해서는 상류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과 축산농가, 그리고 관할 지자체의 협조가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이다.
충남에서 추진하는 수질개선지구 중 사회구성원들의 적극적인 협조가 이루어지는 곳으로는 천안시에 있는 업성저수지가 대표적이다. 천안시에서는 생활하수 처리를 위한 하수처리구역을 확대하고 지역 목장을 호외로 이전하는 등 다양한 상류 대책을 추진해 상류 지역의 오염원을 줄이는데 적극 협력하고 있다.
이에 발맞추어 우리 공사는 업성저수지 내에 식생수로 2곳, 인공습지 1곳, 침강지 1개 등을 설치하는 호내 대책을 시행하고 있고 공사가 마무리되는 2021년에는 보다 깨끗한 용수공급이 가능하여 농업인과 도시민이 쾌적한 수변 환경을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와 같이 농촌용수의 수질개선은 어느 한 기관이나 단체 또는 한 사람의 노력으로 해결되는 것이 아니다. 모든 유관기관과 모든 주민이 참여해 노력할 때 비로써 수질개선 효과를 체감할 수 있다.
깨끗한 농촌용수 공급은 농업인뿐만 아니라, 도시 소비자 등 전 국민에게 건강한 먹을거리를 제공하는 초석이 된다. 농업인과 함께 웃는 건강한 지역 농어촌을 만들기 위해 우리 모두의 노력을 모아야 할 때다. /김종필 한국농어촌공사 충남지역본부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