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의 생태복원사업이 각 사안별로 엇박자를 보이고 있다.
시는 중앙데파트를 비롯해 하상도로와 하상주차장 등을 철거해 대전천 등 3대 하천 살리기에 주력하고 있다.
반면 서남부권 개발과 맞물려 있는 지방 2급하천 진잠천의 경우 인공적으로 하천 선형을 변경할 계획이어서 환경단체들의 반발을 사고 있다.
자연상태의 물길을 인공적으로 변경시킬 경우 취수안전은 물론 생태계 파괴 측면에서도 많은 문제점이 우려된다는 것.
특히 청계천 복원 등 환경친화적 도시 건설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가운데 과거 개발붐이 한창이던 70년대 방식을 그대로 답습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게 환경단체들의 주장이다.
실제 대전시 도시개발공사에 따르면 진잠천과 화산천이 합류하는 학하동부터 갑천 합류부까지 3km 중 일부구간과 공공부지 인근 등의 물길이 도로 개설 등의 이유로 40여m가량 위치가 변경될 예정이다.
김종남 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은 “대전천 등의 복원을 자랑으로 삼고 있는 대전시가 자연 하천의 물길을 인위적으로 변경시킨다는 것은 앞뒤가 맞지 않는 정책”이라며 “대전시가 인간과 생태계가 공존하는 생태주거환경으로 조성하기로 한 서남부권이 시작부터 생태문제로 논란이 일고 있는 것 자체가 말이 안되는 것”이라고 밝혔다.
도개공 관계자는 “환경 파괴 등에 대한 지적을 최대한 수용해 하천이 흐르는 중심부인 유심부는 모두 유지하는 쪽으로 계획을 재조정했다”며 “개발과 관련 불가피하게 조정하는 것이며 이를 바탕으로 가장 친환경적으로 개발할 계획이므로 향후 복원할 필요도 없고 과거 원도심 지역의 하천 개발과는 차원이 다르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취수 안전을 위해서도 하천 폭을 넓히고 있다”며 “서남부권이 가장 쾌적한 지역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가장 최선의 방법들을 강구하고 있다”고 밝혔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