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연합은 “하수관거를 통해 하수처리장으로 가야 할 하수가 강우로 인해 하천으로 넘치면서 이번 사고가 발생했을 가능성이 높다”며 “대전천 주변의 경우 오수와 하수가 분류되지 않는 합류식 관거로 돼있어 이러한 사고 가능성은 충분하다”고 지적했다.
환경연합은 이어 “대전의 3대 하천에는 매년 초기 강우시 월류수에 따른 생물사고가 1~2차례씩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지만 대전시는 뚜렷한 대책을 마련 못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원류수에 의한 특별한 대책이 수립되지 않는다면 이 같은 사고는 계속 일어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특히 “대전천의 경우는 비점원오염원의 원인이 되는 주차장이나 하상도로의 영향이 심각하기 때문에 이런 생물사고의 가능성은 더욱 높다”며 “이번 물고기 떼죽음 사고는 대전천에서 유등천까지 넓게 분포하고 개체 수 또한 수천마리에 이르는 등 규모가 너무 크다는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고 강조했다.
환경연합 관계자는 “이번 사고에 대한 철저한 원인 규명이 필요하며 물고기 역학조사 등을 통해 생물체에 유해한 화학물질 유입이나 독성이 있는 폐수 무단방류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더불어 “정확한 원인 조사 후에는 그에 상응하는 대책을 마련해 추후 대규모 생물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철저히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경호 대전환경운동연합 간사는 “대전시는 하천의 생태복원화 사업 의미와 취지에 부합하도록 월류수나 하상도로 등을 통한 비점원오염원 유입 등에 대한 근본적인 대책을 강구할 것”을 주문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