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슈투트가르트 프랑크 노퍼 시장의 사회관계망서비스에 올라온 협약 소식. 사진=슈투트가르트시 제공. |
최민호 시장을 비롯한 세종시 대표단은 지난 25일(현지 시각) 오전 독일 슈투트가르트 시청사에서 프랑크 노퍼(Frank Nopper) 시장과 시의회 의원 및 집행부 등이 함께한 가운데 스마트 모빌리티와 스타트업 분야 등의 협력을 담은 우호 협력 의향서(LOI)를 체결한 바 있다.
대한민국 도시로서는 사실상 첫 교류의 물꼬를 튼 의미를 담고 있어 이목을 끌었다. 슈투트가르트시는 방문지 2곳에 태극기를 게양하는 등 대한민국 행정수도 방문단에 대한 예의를 다했다.
LOI가 법적 구속력이 없는 협력 관계의 시작점이라 볼 수 있으나 앞으로 실질 교류 가능성은 분명히 확인했다. 양 도시는 상호 신뢰를 바탕으로 행정·산업·도시 정책 분야에서 지속 가능한 교류를 이어가겠다는 의지를 공식화했다.
세종시 방문단의 흔적은 프랑크 노퍼 시장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와 함께 유럽 지방자치단체 및 지역 협의회 산하 독일 지부 사이트에서 확인되고 있다.
노퍼 시장은 자신의 인스타그램과 페이스북을 통해 세종시와 교류 소식을 올렸다.
그는 이 글에서 "대한민국 세종시는 13년 전 서울 남동부에 위치한 새로운 행정수도이자 미래 도시 모델이자 선도적인 혁신 허브로 계획돼 설립됐다"라고 소개한 뒤, "세종시와 슈투트가르트는 창의적 혁신과 지속가능한 도시 개발 분야의 협력을 증진하기 위한 LOI를 체결했다. 앞으로 스마트 시티와 모빌리티, 공동 연구, 환경 보호, 스타트업 지원, 교육 및 문화 분야에서 협력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어 대한민국의 현대자동차를 예로 들며, "세종시 역시 현대 도시 개발의 전형이며, 비전과 결의로 새로운 것을 창조하는 국가의 상징이다. 오늘 우리는 지식 이전, 기술 협력, 그리고 도시뿐 아니라 지역 전체의 발전을 위한 솔루션 개발을 위한 문을 연다"고 덧붙였다. LOI 직후 시청 내빈실 앞 발코니에서 함께 감상한 베토벤의 교향곡 '환희의 송가' 연주 이야기도 담았다.
노퍼 시장의 임기가 2021년부터 2029년까지 8년인 만큼, 세종시의 지속 협력 의지 여부에 따라 실질적인 교류 성과가 창출될 수 있을 것이란 기대를 모으는 대목이다.
당장의 가능성은 슈투트가르트시가 보유한 킬레스베르크 공원 노하우와 독일 뮌헨 다음의 2대 맥주 축제를 세종시에 접목하는 방안으로 확인되고 있다.
부시장은 이어진 저녁 만찬 자리에서 슈투트가르트시의 행정력이 집중되는 9~10월 옥토버 페스티벌을 피한 4~5월을 교류의 최적 시기로 제안하기도 했다. 프랑크 노퍼 시장은 앞서 "킬레스베르크 공원과 함께 독일의 유명 맥주 페스티벌을 세종시에서 꼭 점목하길 바란다"는 덕담을 건넨 바 있다.
![]() |
유럽 지자체 및 지역 협의회 소속 독일 지부 사이트에 올라온 협약 소식. 사진=슈투트가르트시 제공. |
한편, 슈투트가르트시는 독일 16개 연방주의 하나인 바덴뷔르템베르트주의 주도이자 6번째로 인구가 많은 '슈투트가르트 시'. 벤츠와 포르쉐 등 자동차 산업의 심장이자 혁신 기업의 진원지로 통한다. 세계적인 자동차 기업 메르세데스-벤츠, 포르쉐의 본사를 보유하고, 미래 모빌리티 분야에서 앞선 행정 역량과 기술을 선보이고 있다.
세종=이희택 기자 press2006@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