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군따라 학원도 서로 “西路…”

  • 사회/교육
  • 교육/시험

학군따라 학원도 서로 “西路…”

대전교육 동서 균형잡자

  • 승인 2007-06-13 00:00
  • 신문게재 2007-06-14 3면
  • 이경태 기자이경태 기자
서구, 학원 870곳… 대전 전체 59% 밀집
수도권大 입학률도 2배이상 학력격차 심각
서남부 ‘쏠림현상’ 땐 교육균형 더 힘들어져


<글싣는 순서>
1. 총괄
2. 서남부 학교 설립 어떻게
3. 동서로 분리된 대전교육
4. 대전교육 발전방향


3. 동서로 분리된 대전교육

대전 둔산지구를 비롯해 노은택지개발지구 등 서부권 개발로 인해 대전지역 동·서부 지역의 주거환경은 대조를 보이고 있다. 보다 나은 주거환경을 따라 대전지역 주민들도 신규 개발지역으로 향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교육환경 역시 서부권 지역이 상대적인 우위에 올라섰다.

하지만 현재 대전 동·서부지역 교육환경 차이는 심각한 수준에 도달했다. 고교 입학예정 학생들은 고교 1학군이라는 제한때문에 분산 배치됐지만 서구 둔산지구 고교 입학을 희망하는 등 동구권 교육환경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 학군 따라 학원도 둔산으로 = 대전 둔산지구는 대규모 택지개발지구라는 잇점과 함께 대전의 중심으로 오래전부터 자리잡아왔다. 이 지역 학교 역시 인기학군으로 성장하는 등 대전지역 학부모들의 관심을 한 몸에 받고 있다. 특히 유동인구가 많으며 교통이 편리하다는 등의 요인으로 학원들이 몰려드는 등 대전 중심의 학원가를 낳았다.

대전지역 입시, 독서실 등 학원은 서구 870곳을 비롯해 중구 413곳, 유성구 373곳, 대덕구 338곳, 동구 260곳 등 모두 2254곳에 달한다.

둔산지구의 경우 둔산동 197곳과 함께 월평동 89곳, 갈마동 88곳, 탄방동 79곳, 만년동 37곳, 삼천동 21곳 등 모두 511곳이다. 둔산동 학원은 서구지역의 22.6%이며 서구지역 학원은 대전 전체 학원의 59%에 달하는 등 대부분의 학원이 둔산지구에 몰려있는 상황이다. 유성구 노은지구의 경우에도 택지개발지구 상업용지가 분포된 지족동에 89곳의 학원이 몰려든 상태다.

사교육비 비중이 높은 상황에서 학원분포가 서구권에 집중돼 있어 동·서부 교육환경이 크게 기울어져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동·서부로 분리된 학력격차 = 대전지역 동·서부 지역간 학력격차에서도 경제력(교육력) 등으로 인해 2배 이상의 큰 차이가 지속되고 있는 상황이다.

대전시교육청을 비롯, 전교조 대전지부, 대전시민연대 등에 따르면 대전지역 2007년 4년제 대학 진학자 1만2228명 가운데 서울 소재 대학(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서강대, 이화여대, 기타 대학 등)에 진학한 학생은 모두 1970명(4년제 대학 진학자의 16.1%)에 달한다. 이 가운데 서부지역 1312명, 동부지역 648명이 서울 소재 대학에 진학했다.

지난해 역시 전체 1180명의 서울 소재 대학 진학자 가운데 서부 849명, 동부 331명으로 동부지역 학생의 배 이상이 서울지역 학교에 합격했다.

교육환경의 동·서부 편차는 결과적으로 학력에도 영향을 미치는 등 대전 지역 교육 불균형 현상이 심각한 상태다. 게다가 서남부 지구 택지개발사업에 따라 서남부 학군으로의 교육환경 `쏠림 현상`이 발생할 경우 대전은 더이상 교육에서 균형을 잡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게 교육계 학자들의 설명이다.

대전시교육청 관계자는 "학생들 역시 대전 동부 학교로 배치받는 것을 꺼리고 있다"며 "대전 교육 균형을 위해서라도 획기적인 정책 등의 변화가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부모님 은혜에 감사드립니다.
  2. 우리 함께 펼치는 대학새마을동아리의 꿈!
  3. 대전 댕댕이들 여기 다 모였다! 2025 대전펫&캣쇼 첫날 표정
  4. 청남대 이어 '국민 품으로' 청와대...거스를 수 없는 대의
  5. 경찰, 가세로 태안군수 자택·군청 압수수색
  1. KT&G 상상마당 10일 '2025 놀빛시장' 개최
  2. 산인공 충남지사, 충청남도자동차전문정비사업조합과 지역산업 육성 등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3. 세종시 전의산단 입주기업 협의회, 지역 주민 초청 간담회 개최
  4. 육군 제32보병사단, 2025년 지상협동훈련 진행
  5. 한국타이어 1분기 매출 133.3%↑, 영익 11.1%↓ '한온시스템 편입 영향'

헤드라인 뉴스


`고향서 100일` 부석사 불상 日 귀양길…"그곳서 일본 양심 깨우길"

'고향서 100일' 부석사 불상 日 귀양길…"그곳서 일본 양심 깨우길"

충남 서산 부석사에 모셔져 신자들이 친견법회를 가진 금동관세음보살좌상이 5월 10일 이운 법회를 마치고 일본으로 돌아가는 여정에 올랐다. 신자들은 지난 100일 정성으로 봉양한 불상을 떠나보내는 슬픔과 복받치는 감정을 억누른 채 오히려 그곳에서 일본 국민의 마음을 움직이는 계기가 되어 돌아올 수 있기를 기원했다. 10일 오전 부석사가 있는 서산 도비산은 짙은 안개와 함께 강한 바람으로 좀처럼 보기 어려운 악천후 속에서 이운 법회가 개최됐다. 이날 부석사 설법전에는 신자 50여 명과 조계종 중앙종회의장 주경 스님과 수덕사 주지 도신..

의대생 8305명 유급, 46명은 제적… 수업참여 34.4% 그쳐
의대생 8305명 유급, 46명은 제적… 수업참여 34.4% 그쳐

전국 40개 의과대학 재학생 46명이 제적되고 8305명이 유급 대상자로 확정됐다. 학기 말 성적경고 예상자 등을 포함하면 1만 2767명에 달해 수치는 더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9일 교육부가 발표한 '전국 40개 의과대학 유급 및 제적 대상자 현황'에 따르면, 의대생 1만 9475명 중 42.6%에 해당하는 8305명이 유급, 0.2%인 46명이 제적될 예정이다. 예과 과정에 유급이 없는 대학의 경우, 2025학년 1학기 이후 성적경고 예상 인원은 3027명(15.5%)으로 나타났다. 또 1학기 등록 시 1개 과목만 수강 신청해..

청남대 이어 `국민 품으로` 청와대...거스를 수 없는 대의
청남대 이어 '국민 품으로' 청와대...거스를 수 없는 대의

2022년 5월 10일 전면 개방과 함께 국민 품에 안긴 지 3주년을 맞은 '청와대'. 영욕의 상징으로 통한 청와대의 미래지향적 선택지는 어디일까. 6월 3일 대선 국면에선 다시금 권력의 품으로 돌아가려는 흐름이 나타나고 있다. 그래서 청와대 방문객 수가 부쩍 늘고 있다. 운영 주체인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청와대 재단은 이 같은 여건 변화와 관계 없이 일상적 사업을 이어가고 있다. 중도일보는 '국민 vs 권력' 사이에서 기로에 선 청와대 개방 3주년을 재조명하고, 대통령실의 완전한 세종시 이전 필요성에 무게를 싣는 내용을 중심으로 하..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6월3일, 꼭 투표하세요’ ‘6월3일, 꼭 투표하세요’

  • 제51회 양성서도회원전 12일까지 전시 제51회 양성서도회원전 12일까지 전시

  • ‘어버이 은혜 감사합니다’ ‘어버이 은혜 감사합니다’

  • 성심당과 함께 선거빵 출시…‘함께 투표해요’ 성심당과 함께 선거빵 출시…‘함께 투표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