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충남도립대학교 전경 |
9일 도립대에 따르면 이번 선정은 2025년 제2차 충남 라이즈 위원회에서 심의·의결됐다. 위원회는 학계와 산업계, 정책 전문가로 구성된 위원 1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도내 21개 대학이 제출한 124개 과제를 타당성과 실현 가능성을 종합적으로 심사해 선정했다.
충남도립대는 단독 6건, 컨소시엄 6건 등 12개 단위과제에 선정되면서 향후 5년간 매년 58억 8200만 원 규모의 사업을 수행한다. 도립대가 수행할 과제는 단순한 고등교육 개선에 그치지 않는다. 초·중등교육부터 대학, 지역사회와 산업체까지 연계한 구조로 설계된 점이 특징이다.
도립대는 우선 K16(초·중·고-대학)을 연계한 인재양성체계를 통해 지역 내 진로 교육과 직무 교육을 운영한다. 지자체와 협력해 지역 현안을 해결하는 '자율형 지역 문제 해결' 사업도 본격화한다. 이 과정에서 지자체와 대학이 공동 기획하고 실질적인 결과를 도출하는 모델을 구축한다.
지역 산업현장 수요에 기반을 둔 계약학과 운영 사업도 추진한다. 반도체와 모빌리티, 친환경에너지 등 충남 주력산업에 맞춘 학과를 구성하고 입학부터 졸업·취업까지 하나로 설계한 교육 모델을 실현한다.
아울러 로컬 정주형 창업지원체계 구축·고도화, 지역자원 기반 덕업일치 평생교육 특화, 청년로컬활동 생태계 조성·로컬혁신인재 양성, 지자체-대학 협약기반 자율형 지역 현안 해결 등 사회적 가치와 미래 성장을 동시에 담은 사업이 다수 포함됐다. 도립대는 이러한 과제 수행을 통해 충남도의 청년 고용률 제고, 산업 구조 고도화, 정주 인구 회복 등에 기여할 방침이다.
충남도는 이번 사업을 통해 향후 5년간 도내 주력산업 부가가치 71조 원 달성(기존 62조 원), 청년 고용률 5%p 상승, 청년 순유입 전환 등을 목표하고 있다. 특히 라이즈 사업의 핵심인 '계약학과'와 '지자체 협약형 문제해결 모델'은 집중 투자 분야로 충남도와 도립대가 양 축에서 주도적 역할을 맡는다.
양노열 기획홍보처장은 "현장성과 실효성에 중점을 두고 과제를 충실히 수행해 청년이 돌아오고 머무는 충남 실현에 힘을 보태겠다"고 밝혔다.
청양=최병환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