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기적금, 4년 만에 가장 적어…‘가계 힘들고·이자 줄고’

  • 경제/과학
  • 금융/증권

정기적금, 4년 만에 가장 적어…‘가계 힘들고·이자 줄고’

  • 승인 2017-05-14 11:42
  • 신문게재 2017-05-15 9면
  • 이상문 기자이상문 기자
2월 예금은행 정기적금 전년대비 4.1% 감소

경제 정체와 저금리로 적금 이용 줄어


목돈 마련 수단인 정기적금이 눈에 띄게 줄어들고 있다.

14일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2월 말 예금은행 정기적금 잔액은 34조1507억원으로 전년보다 4.1%(1조4740억원) 감소했다.

정기적금 잔액은 2013년 3월(33조 7091억원) 이후 4년여 만에 가장 작은 규모다.

2013년 12월 38조5934억원으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한 후 2014년부터 전반적으로 줄어들고 있는 추세다.

특히 지난해 10월부터 5개월 연속 줄었다. 올해 2월에는 7376억원이 감소했다.

정기적금은 금융기관에 정기적으로 일정금액을 예금하고 만기일에 약정금액을 돌려받는 방식이다. 서민들이 그동안 목단을 모으는 방식으로는 정기적금을 많이 선택했다. 안정적인데다 예금보다 이자도 높기 때문이다.

정기적금 감소는 가계살림이 어렵고, 저금리 기조가 한몫했다는 분석이다.

실질소득은 늘지 않고 가계부채가 증가하는 등 서민들의 살림이 팍팍한 것이 반영됐다.

실제로 적금을 중도 해지하는 경우도 늘고 있다. 은행권에 따르면 시중 5대 은행(신한·국민·우리·하나·농협)의 적금 중도해지 비율은 지난해 말 45.3%로 전년 말(42.4%)보다 2.9%포인트 증가했다.

기준금리 인하도 정기적금 감소로 이어졌다. 한은의 예금은행 가중 평균금리를 살펴보면 올해 3월 정기적금 금리(이하 신규취급액 기준)는 연 1.59%로 전년대비 0.2%포인트 하락했다.

정기예금 금리(연 1.45%)와 비교해도 0.14%포인트에 불과하다. 정기예금과도 큰 차이를 느끼지 못하는 상황이다.

정기적금과 달리 정기예금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예금은행 정기예금 잔액은 지난 2월 말 593조4494억원으로 전년대비 3.3%(18조7516억원) 증가했다. 여유 자금을 가진 사람들이 마땅한 투자처를 찾지 못해 정기예금을 활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역 금융계 한 전문가는 “적금과 예금의 금리 차이가 크지 않아 입출이 자유로운 예금을 넣어두는 경향이 있는 것 같다”면서 “경제가 장기 침체로 이어지면서 서민들이 돈을 모을 수 있는 여유가 없는 점도 정기적금이 줄어든 큰 이유”라고 밝혔다. 이상문 기자 ubot135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아침을 여는 명언 캘리] 2025년 5월23일 금요일
  2. '5번의 절도, 21년의 징역' 60대 이번엔 경찰사칭 범죄
  3. [아침을 여는 명언 캘리] 2025년 5월22일 목요일
  4. [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 바람직한 선거문화
  5. '첫 방문 환자 낯설지 않게' 유성선병원 전용창구 운영
  1. 건양대병원 정신건강 입원영역 적정성 평가 '1등급'
  2. 고속도로 염산유출…대전방향 통행재개·당진방향은 통제중
  3. '장난으로?' 지역 학생 잇단 선거벽보 훼손… "예방교육 필요해"
  4. 에어프레미아, 타이어뱅크 품으로...고품격 항공사 성장 예고
  5. 대전교육청-학비연대 직종교섭 재개, 조리원 직종은 언제쯤?

헤드라인 뉴스


대전 200억원대 전세사기 피해자들 "임대인 엄벌을" 탄원

대전 200억원대 전세사기 피해자들 "임대인 엄벌을" 탄원

대전 유성구 문지동과 전민동 일대에서 주로 사회 초년생의 전세계약 보증금 200억 여원을 편취한 혐의를 받는 임대인 A(57)에게 피해자들이 엄벌을 촉구했다. 대전전세사기대책위는 5월 23일 대전지방법원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200억 원의 전세사기를 일으킨 피고인들에게 범죄수익을 반드시 몰수·추징하고, 강력한 처벌을 내려달라"고 촉구했다. 또 "현재 피해자들이 우선 구제받을 수 있도록 특별법을 마련해달라"고 정부에 요구했다. 대전전세사기대책위가 기자회견을 연 이날 법원에서는 사기죄로 기소된 전 임대인 A씨와 공인중개사 B(64)..

세종 아파트값 5주 연속 전국 상승률 1위… 대전은 하락세 이어
세종 아파트값 5주 연속 전국 상승률 1위… 대전은 하락세 이어

대통령 선거가 10여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세종시 아파트값이 고공행진하고 있다. 대통령실 이전 기대감에 따른 대선 호재를 등에 업고 5주 연속 전국 상승률 1위를 기록하고 있어서다. 23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2025년 5월 셋째 주(19일 기준) 전국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세종 아파트 매매가격은 0.30% 올랐다. 전국 시도 중 가장 높은 상승률을 5주 연속 기록했다. 세종은 고운·소담동 선호단지 위주로 매매 수요가 증가해 상승세가 지속됐다는 게 관계자의 설명이다. 세종 집값은 4월 둘째 주 0.04%, 셋째 주..

부동층 & 지지층 충성도, 21대 대선 종반전 가를 최대 변수로
부동층 & 지지층 충성도, 21대 대선 종반전 가를 최대 변수로

21대 대통령 선거가 종반으로 접어들면서 부동층의 향배와 지지층의 충성도가 대선 승패를 결정지을 최대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중도일보와 대한민국지방신문협의회(대신협)가 20~21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7명을 상대로 대선후보 지지도를 조사한 결과, 대전·세종·충청에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 45%,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 36%,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가 14%를 기록해 '1강 1중 1약' 구도를 보였다. 이재명 후보가 두 후보를 오차범위(95% 신뢰수준에 3.1%p) 밖에서 앞서는 상황에서, 지지 후보가 없다고 응답한 비..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 유성구, 전동보조기기 운전연습장 교육 대전 유성구, 전동보조기기 운전연습장 교육

  • 일주일 앞으로 다가온 대통령선거 사전투표 일주일 앞으로 다가온 대통령선거 사전투표

  • ‘실제 상황이 아닙니다’…재난현장 긴급구조 종합훈련 ‘실제 상황이 아닙니다’…재난현장 긴급구조 종합훈련

  • 한빛탑 앞 선관위 캐릭터 `참참이` 눈길 한빛탑 앞 선관위 캐릭터 '참참이' 눈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