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권 역사의 한 획을 그은 고 이인구 명예회장

  • 경제/과학
  • 건설/부동산

충청권 역사의 한 획을 그은 고 이인구 명예회장

  • 승인 2017-05-15 16:09
  • 신문게재 2017-05-16 21면
  • 윤희진 기자윤희진 기자

대전고 학도병 출신으로 16년간 군인... 제대 후 계룡건설 창업
신민주ㆍ자민련 국회의원으로서 왕성한 의정활동
47년간 국방과 경제, 사회, 역사와 문화, 장학 등 다양한 사회공헌



▲ 한밭종합운동장 건립 현장
▲ 한밭종합운동장 건립 현장

고 이인구 (李麟求) 계룡건설 명예회장은 1931년 4월 18일(양력) 당시 충남도 대전군 동면 효평리에서 태어났다. 현재로 따지면 대전시 동구 대청동이다. 유학자인 이성규ㆍ양매순 부부의 5남 1녀 중 장남이었다.

1945년 해방되던 해, 대전동명초(27회)와 대전중을 졸업한 후 대전고에 입학했다. 하지만, 재학 중 학도병으로 입대해 육군종합학교를 수료하고 공병장교로 임관해 6ㆍ25 한국전쟁에 참전했다.


▲ 국회 상임위원회 활동(15대 국회의원)
▲ 국회 상임위원회 활동(15대 국회의원)

휴전 후에도 육군장교로 복무하면서 학업을 계속해 1964년 충남대 법경대학 법학과를 졸업했다. 1967년 대한민국 육군 중령을 끝으로 1951년부터 16년간 입었던 군복을 벗었다. 충남대 명예 법학박사, 대전대 명예 경제학박사, 한국학중앙연구원 명예철학박사, 러시아 하바로프스크 국립극동대 교통대학교 명예 경영학박사, 한밭대 명예 공학박사 등을 받았다.

▲계룡건설 창업=제대 후 3년만인 1970년 1월 20일 계룡건설을 창업했다.


▲ 백악관에서 바바라 부시 여사와(1989년 6월 15일)
▲ 백악관에서 바바라 부시 여사와(1989년 6월 15일)

1978년 10월 11일 상호를 계룡건설산업(주)으로 바꾸고 법인전환을 했다. 1996년 1월 증권거래소에 주식을 상장한 후 1998년 정보통신공사업 면허를 취득했고 2000년 12월 (주)시화주택을 흡수합병했다. 2016년 기준으로 전국 시공능력평가 17위의 1등급 건설회사로 성장했다.

2001년 3월 계룡레저산업(주)을 설립하고 11월에 계열사인 케이알정보시스템(주)을 흡수합병했으며, 2002년 11월 고속도로관리공단(주)을 인수했다. 2010년 4월에는 토마토쇼핑센터를 물적 분할해 가오쇼핑(주)도 설립했다.


▲ 2004년 대전고등학교 기념비
▲ 2004년 대전고등학교 기념비

▲정치ㆍ사회활동=계룡건설을 창업한 후 정치와 사회분야에서 광폭활동을 펼쳤다. 1988년 신민주공화당(대덕ㆍ연기) 소속 국회의원에 당선돼 국회 예결위원, 상공위원, 신민당 대전ㆍ충남지부 위원장 등을 지냈다. 1996년에는 자유민주연합 소속으로 대전 대덕구에서 당선돼 15대 국회의원으로 활동했다. 자민련 대전시지부 위원장과 국회 재경위원, 정무위원, 자민련 부총재 등을 역임했다.

핸드볼과 궁도, 탁구, 수영, 사격 등 가맹경기단체장을 지냈으며 (주)대전프로축구단 명예회장으로 대전시티즌 창단을 이끌기도 했다.


▲ 광개토대왕비 복제비 건립사업
▲ 광개토대왕비 복제비 건립사업

대전상의 회장과 충남도 한ㆍ일친선협회장, 대전고와 충남대 총동창회장, 안면도국제꽃박람회 범도민지원협의회장, 세계대백제전 범도민지원협의회장, 금산세계인삼엑스포 범도민지원협의회 고문 등을 맡으며 지역발전에도 앞장섰다.

1952년 화랑 무공훈장을 시작으로 국민훈장 동백장, 산업포장, 대통령ㆍ국무총리 표창, 건축대상, 새마을금고 대상, 기업ㆍ안전경영대상, 동ㆍ석탑산업훈장, 월남장 수장, 자랑스러운 대전ㆍ충청인상 외에도 300개가 넘는 훈장이 있다.


▲ 유림효친대상 시상식(1회 2006년)
▲ 유림효친대상 시상식(1회 2006년)

▲역사와 전통, 장학사업=1992년 계룡장학재단을 설립해 줄곧 이사장을 맡았다. 올해 4월까지 모두 1만 4054명에게 장학금 54억 2301만 4601원을 지원했다.

장학사업뿐 아니라, 벽지학교 지원사업, 다문화가족 자녀장학금 지급, 학교폭력 예방대책 후원, 독도 정주민 후원사업, 유림경로효친대상, 유림공원사생대회 등의 사업도 펼쳤다.


▲ 졸업후 47년만에 받는 대전고 졸업장(1989년 11월 26일)
▲ 졸업후 47년만에 받는 대전고 졸업장(1989년 11월 26일)

특히 역사관을 올곧게 세우기 위해 노력했다.

광개토대왕비 복제비 건립사업, 일본 구주지역의 백제문화유적탐사 사업, 백야 김좌진 장군 추모사업, 독도 우리 땅 밟기사업, 류관순 열사 전기발간 지원 사업, 삼학사비(三學士碑) 중건사업, 백제문화제 봉수대건립사업, 인동장터 독립만세운동 재현 후원사업 등을 역사, 문화사업에 가장 크게 기여한 인물이다.

본관 한산(韓山), 아호(雅號)는 유림(裕林)이다.

윤희진 기자 heejiny@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KAIST 장영재 교수 1조 원 규모 '피지컬 AI' 국책사업 연구 총괄 맡아
  2. 건양대, 'K-국방산업 선도' 글로컬 대학 비전선포식
  3. 충청권 학령인구 줄고 학업중단율은 늘어… 고교생 이탈 많아
  4. 일찍 끝난 장마에 수위 낮아진 대청호
  5. 2027년 폐교 대전성천초 '특수학교' 전환 필요 목소리 나와
  1. 충남도 "도내 첫 글로컬대학 건양대 전폭 지원"
  2. 충남도 ‘베트남 경제문화 수도’와 교류 물꼬
  3. '디지털 정보 문해교육 선두주자' 충남평생교육인재육성진흥원, 교육부 장관상 수상
  4. 충남대-하이퐁의약학대학 ‘글로벌센터’ 첫 졸업생 배출
  5. 국내 3대 석유화학산업단지 충남 서산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

헤드라인 뉴스


충청권 학령인구 줄고 학업중단율은 늘어… 고교생 이탈 많아

충청권 학령인구 줄고 학업중단율은 늘어… 고교생 이탈 많아

충청권 학령인구가 감소하는 반면, 학업중단율은 증가세를 보이며 전국 평균을 웃돌았다. 저출생 여파에, 대입 전략을 위해 스스로 자퇴를 택하는 고등학생들이 늘면서 등교하는 학생이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28일 한국교육개발원이 발표한 '2025년 교육기본통계 조사 결과'에 따르면, 2024년 충청권 시도별 유·초·중등 학생 수는 대전 16만 4591명, 세종 6만 8091명, 충남 24만 9281명, 충북 17만 3809명으로 집계됐다. 학생 수는 전년보다 대전은 2.7%, 충남 2.1%, 충북 2%가 감소했고 세종만 유일하게..

비수도권 인구감소지역 지방세 더 감면…충청권 숨통
비수도권 인구감소지역 지방세 더 감면…충청권 숨통

정부가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비수도권·인구감소지역을 중심으로 지방세를 더 감면해 주기로 해 충청권 지자체들의 숨통이 다소 트일 전망이다. 또 전국 13만4000호에 달하는 빈집 정비를 유도하고자 빈집 철거 후 토지에 대한 재산세도 깎아주기로 했다. 행정안전부는 28일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2025년 지방세제 개편안'을 발표했다. 개편안에 따르면 정부는 산업·물류·관광단지 등 지역별 중점산업 조성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수도권, 비수도권, 인구감소지역 순으로 지방세 감면율을 높게 적용키로 했다. 기존 산업단지의 경우 수..

[드림인대전] 초등생 윤여훈, 멀리뛰기 꿈을 향해 날다
[드림인대전] 초등생 윤여훈, 멀리뛰기 꿈을 향해 날다

멀리뛰기 국가대표를 꿈꾸는 윤여훈(용천초 6)은 교실보다 학교 밖 운동장이 더 친숙하고 즐거웠다. 축구를 가장 좋아했지만, 달리는 운동이라면 뭐든 가리지 않았다. 또래 아이들보다 몸이 유연하고 날렵했던 아이를 본 체육담당 교사가 운동을 권유했고 그렇게 육상선수 윤여훈의 꿈이 시작됐다. "처음에는 멀리뛰기라는 운동이 있는지도 몰랐어요. 달리기는 원래 잘했으니까 선생님이 지도해주신 그대로 뛰니까 기록이 나오더라고요." 윤여훈의 100m 기록은 12초 중반에 이른다. 전국대회 단거리 상위권에 버금가는 기록이다. 윤여훈은 멀리뛰기와 단거리..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일찍 끝난 장마에 수위 낮아진 대청호 일찍 끝난 장마에 수위 낮아진 대청호

  • ‘상처 입은 백로, 자연으로 돌아가다’ ‘상처 입은 백로, 자연으로 돌아가다’

  • 대전 찾은 민주당 지도부 대전 찾은 민주당 지도부

  • 배롱나무와 어우러진 유회당…고즈넉한 풍경 배롱나무와 어우러진 유회당…고즈넉한 풍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