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속가능한 물관리 패러다임 |
환경부와 국토교통부는 통합물관리 비전 포럼, 전국 시·도와 공동으로, ‘통합물관리 순회토론회’를 13일부터 25일까지 총 7회에 걸쳐 연다.
이번 토론회는 ‘지역 물문제 해결은 통합물관리로!’를 주제로 그간 분산 관리돼 해소할 수 없었던 각 지역의 물관리 현안을 진단하고, 수질·수량 등 물 관리 전문가들이 모여 심층적인 논의를 통해 지속 가능한 통합물관리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진행된다.
지역별 순회토론회는 13일 부산·울산·경남지역 토론회를 시작으로, 18일 세종·충북, 19일 강원·경기, 20일 대전·충남·전북, 21일 대구·경북, 22일 광주·전남, 25일 인천·서울 등 순으로 열린다.
첫 번째로 열린 부산·울산·경남지역 토론회는 주요 물문제와 개선방안, 통합물관리 추진방향 등을 주제로 4개 발표와 패널토의로 진행됐다.
제1발제는 ‘통합물관리 추진방향’으로 수량·수질·재해예방 등을 통합적 관리할 경우 기대되는 효과와 물관리 일원화의 필요성과 시급성에 대해 송형근 낙동강유역환경청장이 발표한다. 제2발제는 통합물관리 비전 포럼 박재현 낙동강유역분과위원장(인제대 교수)이 ‘낙동강 유역의 물문제 및 물관리 일원화’를 주제로 지역의 물문제 해결을 위한 통합관리 방안을 짚어본다.
이번 순회토론회는 지역의 물문제 해결을 위해 통합물관리 체계로 전환하여 유역 협치(거버넌스)를 활성화하고 시민들이 직접 물관리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기회이자, 지역 물관리 현안을 진단해 개선방안을 함께 모색하는 데 의의가 있다.
김은경 환경부 장관은 “물관리 정책의 전환이 필요한 시기에 지역 내 물관리 현안에 대한 지역사회의 다양한 목소리를 듣고 해결방안에 대해 함께 고민하고자 토론회를 준비했다”면서 “첫 번째 토론회에서 논의된 지역 물문제는 수량·수질·수생태계·재해 등 복합적인 문제로 통합적이고, 지속가능한 해결방법이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물관리 일원화가 매우 시급하다”고 말했다. 박태구 기자 hebalaky@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