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먼스토리]발명 대회 석권한 손문호 손정형외과 원장((주) 스페이드 대표)

  • 사람들
  • 인터뷰

[휴먼스토리]발명 대회 석권한 손문호 손정형외과 원장((주) 스페이드 대표)

진료하면서 연구와 발명으로 환자들을 돕다

  • 승인 2018-01-07 11:40
  • 한성일 기자한성일 기자
FB_IMG_1513501119322
발명경진대회에서 상을 휩쓸어오는 발명가 의사가 있어 화제다. 선친의 대를 이은 정형외과 의사이자 연구자이자 발명가로 왕성한 활동을 하고 있는 손문호 손정형외과 원장이 바로 그 주인공이다. 손 원장은 유성 충남대 앞에 위치한 벤처기업(주)스페이드의 대표이사이기도 하다. 디스크 치료 전문가로 잘 알려진 손정형외과 손문호 원장은 친절하고 자상한 설명으로 어르신 환자들에게 특히 인기가 많다.

US-guider
손문호 원장이 발명한 US-guider
손정형외과는 효율적으로 진료를 볼 수 있도록 짜임새 있게 모든 것이 비치되어 있고,심플한 단순함 속에서도 고풍스러움과 전통이 묻어나는 느낌을 주는 병원이다. 친화력 뛰어난 손 원장은 서글서글한 인상에 간결하고 자신감 있는 설명으로 환자에게 믿음을 심어준다. 특히 대형 화면을 마주하며 환자에게 직접 들려주는 상세한 사진 설명과 초음파 검사를 통한 맞춤형 진단은 치료에 대한 확신을 갖게 해준다. 유명한 정형외과 의사셨던 선친의 뒤를 이은 유능한 의사이자 사업가이자 발명가로 왕성하게 활동중인 손 원장이 살아온 이야기를 들어본다.

KakaoTalk_20171117_114130776
▲선친 고 손승원 박사는 가장 존경하는 스승이자 멘토

병원 접수실에 들어서니 '병원을 내 집 같이 환자를 내 몸 같이'라는 원훈이 눈에 들어왔다. 선친 고 손승원 박사의 친필 붓글씨작품이었다. 손 원장의 진료실 내에는 그가 가장 존경하는 스승님이자 멘토님이라는 선친이 직접 쓰신 붓글씨 작품이 가장 잘 보이는 곳에 비치되어 있었다.



20170413_143246
손문호 원장이 선친의 뒤를 이어 개원한 손정형외과는 개원 20년을 앞두고 있다. 대흥동의 같은 자리에서 선친의 뒤를 이어 43년간 정형외과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거의 반세기를 한자리에서 같은 업종을 유지하고 있는 것은 전통과 뚝심과 자부심이 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일터. 근골격계 질환과 척추질환만을 치료하면서 연구활동을 지속해 온 손 원장의 저력이 보였다. 환자의 증상에 대한 열린 마음과 더불어 짧고 명확한 설명을 통한 치료 계획 제시는 그의 이미지와 부합되는 면이 많다. 고 손승원 박사가 40여 년 전부터 도전적으로 적용했던 주사요법을 활용한 척추질환 치료는 현재 손문호 원장이 하고 있는 비수술적 요법의 기초가 되었다.

손문호 원장은 “과거에는 수술요법이 어렵고 장비가 열악해 주사요법을 선호했지만 요즈음은 장비가 좋아진 대신에 주사요법에 대한 치료 비용이 너무나 높아져 안타깝다”며 “쉬운 치료법으로 보다 많은 환자를 치료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도 함께 했다”고 말했다.

사진3
▲‘대의’는 나라의 의료정책과 새로운 치료법을 제시하는 의사

손 원장은 “‘소의’는 질환만을 치료하는 의사이고, ‘중의’는 생활방식과 습관을 개선하도록 해 재발을 방지하는 법을 알려주는 의사라면 ‘대의’는 나라의 의료정책과 새로운 치료법을 제시하는 의사라고 배웠다”며 “질환에 대해 연구하고 기록하는 습관을 통해 질환에 특화된 치료법을 제시하려고 노력한다”고 말했다.

그는 “근골격계 질환을 포함해 척추 질환은 환자의 직업과 생활방식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는데 바쁜 현대생활 속에서는 정확하고 비침습적인 치료법이 선호된다”며 “의사의 입장이 아닌 환자의 입장에서 필요한 치료 방법에 대한 연구가 많은 도움이 되었다”고 말했다.

20171215_090553
▲정보통신분야에 해박한 의사

손 원장은 고등학교 시절 컴퓨터 관련 창간 잡지의 청소년 기자로 활동했고, 하이텔을 통해 PC 통신을 하던 취미가 정보통신분야를 빨리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계기가 되었다고 했다. 왼손잡이로 태어났지만 후천적으로 오른손을 쓰도록 교육을 받아 필기 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렸던 점이 오히려 컴퓨터 자판을 빨리 익히는 계기가 되었다고 한다. 전공의 시절에는 대학병원의 전산구축에 참여하기도 했다. 개원 이후에는 개인 의원으로서는 선도적으로 전산시스템을 구축해 사용하고 있다.

이런 그의 감각은 처방받고 조제되는 약의 모양과 이름을 알려주는 어플 'My약'이 스마트앱 공모전에서 금상을 받으면서 검증이 됐다. 손 원장의 이러한 재능은 2년 전 대한민국을 떠들썩하게 했던 메르스 사태 당시 환자에게 감염된 삼성병원 35번 의사를 구하기 위한 '당신을 응원합니다'란 선플 운동을 주도하면서 빛을 발하게 됐다. 당시만 해도 인터넷 악플에 의해 많은 연예인이 자살하는 사회 분위기였지만 선플 댓글 달기 운동을 전개해 죽음의 위기에 있던 35번 의사를 살려 온라인 선플운동의 롤모델이 됐다.

손 원장은 ‘MERS OUT!’ 이라는 슬로건과 '쇼닥터'라는 신조어를 만들어 대중화시키는 감각을 갖고 있기도 하다.

FB_IMG_1495362399823


20170614_151555
▲발명대회를 석권한 의사

손 원장은 많은 수술 경험과 우수한 공간 지각력을 바탕으로 초음파 진단기기 도입을 통해 새로운 분야에 도전하게 됐다. 그는 초음파 기기를 이용해 진단 후 원하는 부위에 정확하게 주사를 놓을 수 있도록 제작된 ‘초음파 유도하 자동 정밀 주사장치’를 발명해 제4회 발명경진대회에서 금상을 수상했다. 이후 제5회 발명경진대회에서는 ‘초음파 유도하 레이저집속장치’로 수상의 영예를 안았고, 제6회 발명경진대회에서는 ‘자동주사장치’로 상을 받았다. 제7회 발명경진대회때는 ‘쾌변 유도 스마트 좌변기’로 연속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특히 대회 수상작은 ‘US-guider M-type’란 이름으로 초음파업체인 알피니언 메디칼 시스템에 기술 이전돼 상품화되고 판매를 개시했다. 이 제품은 COEX에서 열린 KIMES에서 전시돼 많은 호응을 얻었다. 손 원장은 매경과 KAIST가 공동주관한 발명아이디어 경진대회에 ‘IV Guider’를 출품해 우수상을 받은 뒤 상품화를 진행 중이다.

20170817_093409
▲상복이 따르는 발명가

손 원장이 운영하는 의원 내부에는 수많은 상장과 상패가 눈길을 모은다. 발명대회 금상, 대상, 특허청장상, 식약처장상, 한국보건산업진흥원장상 등 직접 도전하고 노력해 받은 상들이 그의 땀과 열정을 증명해주고 있었다. 끊임없이 새로운 것에 도전하고 현실에 안주하지 않고 개발하는 그의 모습에서 전문가의 프로 의식이 느껴졌다.

20171116_133430
▲새로운 꿈과 미래-주식회사 ‘스페이드’ 창업

손 원장은 “여러 대회에서 발명 아이디어를 제안했지만 실제로 제품화하는 과정이 너무나 어려웠다”며 “시간을 투자하지 않는 한 원하는 방향으로 진행되기가 어려워 지난 2016년 2월 초에 과감하게 창업을 결심하고 법인 설립을 하게 됐다”고 말했다.

그는 “지난해 초부터는 창업 준비 중이던 대학원생들과 함께 회사를 통한 사업화에 속도를 내기로 했다”며 “벤처기업 인증과 기업 부설 연구소를 설립해 수익금의 전부를 R&D에 재투자하고 연구개발을 계속하고 있다”고 말했다.

손 원장은 “현재는 직원 6명이 기술의 고도화를 위해 불철주야 노력하고 있다”며 “진료시간 이외에 남는 시간은 충남대 앞에 있는 연구소를 방문해 직원들과 함께 연구에 열정을 쏟으면서 타 연구소와 협약 등을 통해 성장을 지속하고 있다”고 밝혔다.

손 원장은 “지난해가 도약을 위한 준비단계였다면 올해는 도약단계가 되도록 전 직원이 협심해 준비하고 있다”며 “S(닥터 손의 이니셜) + PAD(받치다) + E(정보통신)의 의미를 갖고 새로운 것을 만들고 발전시키는 독창적인 회사가 되겠다는 포부를 가진 '스페이드( SPADE)’를 회사명으로 정해 도약하고 있다”고 밝혔다.

20170817_112028
▲원대한 꿈을 꾸는 도전하는 의사 CEO

손 원장은 “53세라는 젊은 나이에 작고하신 선친의 꿈은 노벨의학상 수상이었다”며 “다소 무모하게 들릴 수 있는 꿈이지만 임상 의사로 25년 이상 같은 질환의 환자를 보면서 얻은 경험을 바탕으로 큰 도전을 해보려고 한다”고 말했다.

그는 “현재까지 나와 있는 의학정보와 기술은 평균수명이 60대이던 시절에 씌어진 것인 만큼 현재처럼 80세 이상으로 수명이 연장된 시대에는 새로운 개념의 질환 치료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손 원장은 “지난해 미국 FDA에서 처음으로 ‘근감소증’을 정식 병명으로 인정할 정도로 새로운 영역의 질환 치료법 확립이 필요하다”며 “이에 대해 지속적인 의문을 가지고 연구와 진료를 하고 있던 노하우를 활용해 새로운 도전을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그는 “제가 의료기기 발명에 도전하는 것도 의료기술에 대한 특허권을 인정하지 않는 현실에서 우회적으로 기술력을 인정받기 위한 방법”이라며 “단백질의 줄기세포합성에 대해서도 준비하고 있는데 특히 전두엽의 노화로 촉발되는 기억력 감퇴와 치매의 전구증상에 대해서도 증상 개선과 회복을 도울 수 있는 방법을 표준화하고 있다”고 큰 꿈을 밝혔다.

'시련은 있어도 도전에 멈춤은 없다'고 말하는 손 원장에게서는 많은 스토리텔링으로 끊임없이 도전하며 어려움을 극복하는 자신감이 돋보였다.

대담, 정리 한성일 제2사회부 부국장 hansung007@

20170911_144614
-손문호 원장은 누구?

▲의학박사, 정형외과 전문의, 사회복지사, 을지대학교 정형외과학 외래교수, 대전대학교 응급구조학과 겸임교수, 대전시청 정책자문단, 대한의사협회 정보통신 자문위원,대전시의사회 정보통신이사. 대통령 표창, 특허청장상 수상, 식약처장상 수상, 보건산업진흥원장상 수상, 대한의사협회장상 수상, 자랑스런 대성인상 수상.

20170926_180541
20171021_114726
20171021_100514
20171123_135123
20170925_111545


20170218_200345
20170427_112857
20170413_143246
20170520_125135
20170520_125156
20170520_125250
20170520_125734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이동진 건양사이버대 총장, 원대협 14대 회장 취임 “원대협법 국회통과 총력"
  2. 백석대 레슬링팀, 제49회 전국대학레슬링선수권대회 '메달 싹쓸이'
  3. 천안시청소년재단-이천시청소년재단 업무협약 체결
  4. 천안법원, 만취 상태서 충돌사고 내고 도주한 30대에 '징역 1년'
  5. 천안시립교향악단, 9월 3일 신진연주자 '협주곡의 밤' 개최
  1. 천안도시공사 북부스포츠센터, '시니어 트로트댄스' 조기 마감
  2. 천안동남경찰서, 동천안우체국 직원 대상 교통안전교육 실시
  3. 단편영화인과 대전시민들의 축제 개막…31일까지 엑스포시민광장서 상영
  4. 천안시골프협회, '2025 천안시장배 및 협회장배 골프대회' 성료
  5. 천안시, 아동학대 대응·보호 협력체계 강화…민관 합동 워크숍

헤드라인 뉴스


李정부 첫 정기국회 돌입 충청 현안관철 골든타임

李정부 첫 정기국회 돌입 충청 현안관철 골든타임

1일부터 이재명 정부 첫 정기국회에 돌입하면서 충청 발전을 견인하기 위한 골든타임에 돌입했다는 지적이다. 행정수도특별법과 대전충남특별법 등 연내 통과는 물론 대정부질문을 통해 이재명 정부를 상대로 충청 현안 관철을 확답받을 수 있도록 지역 민·관·정 역량을 모아야 한다는 것이다. 대전 트램 등 현안 예산 증액도 이번 정기국회에서 발등의 불인데 한층 가팔라진 여야 대치로 충청 현안들이 뒷전으로 밀리는 것은 경계해야 할 지점이다. 국회는 1일 오후 2시 본회의장에서 정기국회 개회식을 열고 100일간의 대장정에 돌입한다. 같은 달 9·1..

국회·대통령실 플러스 `디지털 미디어단지` 약속은 어디로?
국회·대통령실 플러스 '디지털 미디어단지' 약속은 어디로?

세종시 누리동(6-1생활권) 입지만 정한 '디지털 미디어단지(언론단지)'. 문재인·윤석열 전 정부로 이어지면 정책 공약으로 남겨져 있으나 빈 수레가 요란한 형국이다. 당초 계획상 토지 공급은 2025년 올해였다. 2021년 이름만 들어도 알만한 수도권 일간지 4개사와 방송 7개사, 통신 1개사부터 지방까지 모두 17개사가 너도나도 양해각서만 체결했을 뿐, 실체는 온데간데 없다. 당시만 해도 '국회 세종의사당과 대통령 세종 집무실' 완공이 2027년을 향하고 있었으나 이마저도 각각 2033년, 2029년으로 미뤄져 앞날은 더더욱 안개..

여야 대전시당, 내년 지방선거 앞 `잰걸음`
여야 대전시당, 내년 지방선거 앞 '잰걸음'

내년 제9회 지방선거를 앞둔 여야 대전시당이 조직 정비와 인재 양성 등 지선 체제 전환을 준비하고 있다. 지방권력을 차지하려는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뿐만 아니라 지역에 3당 구도 안착을 목표로 한 조국혁신당까지 공격적으로 나서면서 경쟁에 불이 붙는 모양새다. 먼저 조국혁신당 대전시당은 8월 31일 중구문화원 뿌리홀에서 대전·세종 제2기 정치아카데미를 개강했다. 2기 아카데미에는 내년 지방선거 출마 예정자 등 80여 명의 수강생이 등록했다. 첫 강의는 최강욱 전 국회의원이 '이로운 보수, 의로운 진보'라는 주제로 수강생들과 만났다...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마지막 물놀이 마지막 물놀이

  • ‘깨끗한 거리를 만듭시다’ ‘깨끗한 거리를 만듭시다’

  • 일찍 끝난 장마에 수위 낮아진 대청호 일찍 끝난 장마에 수위 낮아진 대청호

  • ‘상처 입은 백로, 자연으로 돌아가다’ ‘상처 입은 백로, 자연으로 돌아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