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유세종 대전시 일자리경제국장은 24일 기자간담회를 갖고 "일본 정부의 반도체 등 핵심소재 수출 규제 강화 조치로 인해 많은 시민들께서 관련 내용에 대한 우려가 많은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대전 내 기업들의 직접적 피해는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고 밝혔다.
일본은 지난 1일 인 리지스트와 에칭가스(반도체 제조용 소재) 및 OLED디스플레이용 재료인 플루오린폴리이미드 총 3개 품목에 대한 수출 절차 간소화 등 우대조치를 폐지하는 내용의 핵심소재 수출 규제 강화조치를 내렸다.
이로 인해 이들 3개 품목을 사용하는 반도체와 OLED 기업들이 큰 타격을 입을 전망이다.
다행히 대전시는 해당 소재를 직접수입해 가공하는 업체가 대전시 조사결과 없었다. 이에 대전시는 일본수출규제로 직접적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판단했다.
다만 대전시는 핵심소재의 국산화에 앞장서는 관내 기업을 지속 발굴, 지원하기로 했다.
그동안 대전시는 4차산업혁명의 핵심 기반인 성장 잠재력이 높은 소재 분야 중심으로 기술혁신 역량 강화 및 기술 상용화 지원을 해왔다.
대전시는 앞으로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나노소재 실용화 혁신플랫폼 구축(250억), 첨단화학소재 스마트제조혁신 실증시스템 구축(100억원) 등 첨단소재 부품기업 지원을 확대하고 공동연구시설인 세계적 수준의 '오픈랩 팩토리(Open-Lab Factory)를 구축해 핵심소재 국산화를 점증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이상문 기자 ubot135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