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충남도 생활안정자금이 지역경제의 선순환 역할을 하며 낙수효과를 불러일으킨 것으로 나타났다.
도는 4일 도청 대회의실에서 김용찬 행정부지사를 비롯한 경제·산업분야 전문가, 관련 담당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제4차 경제산업 대책본부회의'를 열었다.<사진>
도에 따르면, 최근 정부 긴급재난안정자금과 도 생활안정자금 지원 등으로 소상공인 매출액 및 체감지수가 크게 개선됐다. 실제 소상공인 5월 경기 동향 조사 결과, 도내 소상공인 체감경기지수는 90.3으로, 지난 4월 대비 16.3p 상승했다. 전통시장 역시 105.9로, 지난 4월 대비 23.7p 올랐다.
소상공인 매출감소 추이를 살펴보면, 지난달 4일 소상공인 매출은 코로나19 발생 이후 55%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하지만 정부의 긴급재난안정자금과 도의 생활안정자금이 투입된 지난달 25일에는 45.3%로 매출감소 폭이 크게 개선됐고, 소비자 동향조사결과 역시 5월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80.8로 전월대비 5.4p 상승했다.
기업경기실사지수(BSI) 중 6월 업황 전망은 제조업의 경우 4p 상승한 48, 비제조업은 9p 상승한 58로 조사됐다.
김용찬 부지사는 "정부의 재난지원금과 도와 일선 시·군의 생활안정자금이 도민들에 지급되면서 지역경기가 활력을 되찾고 있다"면서도 "소비심리 위축이 지속되면서 민생경제는 여전히 어려워, 이를 위한 지원책을 신속히 시행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낙수효과는 물방울이 아래로 떨어지거나 흘러내려 적하효과라고도 한다. 원래 낙수효과는 윌 로저스라는 유머작가가 미국 후버 대통령의 대공황 극복을 위한 경제정책을 비꼬면서 세간에 알려졌다. 낙수효과는 고소득층의 소득 증대가 소비 및 투자 확대로 이어져 궁극적으로 저소득층의 소득도 증가하는 효과를 말한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