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권 최초 수소 시내버스, 아산 도심 달린다

  • 전국
  • 아산시

충청권 최초 수소 시내버스, 아산 도심 달린다

초사수소충전소 30일 운영개시-수소시내버스 4대 노선 투입

  • 승인 2020-11-28 10:49
  • 수정 2021-05-09 17:04
  • 남정민 기자남정민 기자
clip20201127224841
(왼쪽부터) 이인철 현대자동차 부사장, 오세현 시장, 이준일 온양교통대표, 이경수 아산여객대표가 수소시내버스 전달식에서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수소경제가 전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가운데, 아산지역 최초 수소충전소인 초사수소충전소가 최근 준공돼 12월 1일부터 충청권 최초로 수소버스가 시내버스 정규 노선에 투입된다.


민선 7기 출범 초부터 미세먼지 및 기후변화 대책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펼쳐온 아산시는 친환경 대중교통망 구축 일환으로 일찌감치 친환경 대체에너지로 '수소에너지'를 주목하고 환경부 '수소버스 시범사업'에 참여해 최종 선정된 바 있다.

시는 '수소버스 시범사업' 선정에 따라 국비 25억 원, 충남도비 14.5억 원을 지원받아 초사수소충전소 준공하고, 수소버스 4대를 도입하는 한편, 2022년까지 수소버스 16대를 도입하고 수소충전소 2기 추가 신설할 계획이다. 또 향후 노후 관용차량 교체 시 수소차로 교체하고 시장가격 형성 시까지 수소자동차 구매 보조금을 지원해 2022년까지 수소관용차 6대, 수소관용버스 1대, 민간수소차 300대 등을 보급한다는 목표도 세웠다.



우선 올 연말까지 아산 초사수소충전소가 포함된 2곳이 운영을 개시한다. 당진에서는 패키지형 수소충전 플랫폼 실증사업용으로 설치된 충전소가 민간에 개방된다. 아산과 당진의 수소충전소가 모두 가동하면 도내 수소충전소는 총 4곳이 된다.

이번 아산시의 수소버스 정규도선 도입도 안정성 홍보의 일환으로, 시는 시민들이 대중교통 등 일상생활에서 수소에너지를 접하게 되면 불안함을 어느 정도 해소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고 있다.



오세현 시장은 "이제 수소 인프라 구축은 기초지자체의 숙명이 됐다"며 "발 빠른 수소 인프라 구축과 시민 인식 개선으로 수소시대를 맞아 아산시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최근 차세대 친환경 교통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는 수소차는 수소와 공기중의 산소를 직접 반응시켜 전기를 생산하는 연료전지를 이용하는 자동차다. 물 이외의 배출가스를 전혀 발생시키지 않는 친환경적인 자동차다. 

 

실린더 내에서 수소를 직접 태워 에너지를 얻는 방식으로, 내연기관 차량과 운전 방식은 동일하지만 휘발유나 경유대신 수소를 사용한다는 점이 다르다. 특히 탄소원자를 포함하지 않은 수소는 재순환이 가능하고 환경에 미치는 악영향이 거의 없다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수소는 무색.무취.무비.무독성의 기체로 단위 질량당 에너지가 매우 커, 연료로서 최고의 성질을 가지고 있다. 또한 물의 전기분해로 만드는 재생 가능한 에너지원이기 때문에 실용화 기대가 높다. 

 

아산=남정민 기자 dbdb8226@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의정부시, 시민 김지민 씨 저소득층에 성금 100만 원 전달
  2. 인천 미추홀구, ‘시 특색 가로수길 평가’ 최우수기관 선정
  3. 강성삼 하남시의원, '미사강변도시 5성급 호텔 유치' 직격탄
  4. 대전을지대병원, 바른성장지원사업 연말 보고회 개최
  5. [특집]대전역세권개발로 새로운 미래 도약
  1. 대전상의, 청양지회-홍성세무서장 소통 간담회 진행
  2. 대전시, 6대 전략 산업으로 미래 산업지도 그린다
  3.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4. 이장우 시장 맞은 충남대병원, "암환자 지역완결형 현대화병원 필요" 건의
  5. 공공사업 낙찰 규모 계룡건설산업 연말에 1위 탈환할까

헤드라인 뉴스


도시 체질개선 통한 `NEXT대전` 만들기 집중

도시 체질개선 통한 'NEXT대전' 만들기 집중

민선 8기 대전시가 도시 체질을 완전히 개선하며 'NEXT대전' 만들기에 집중하고 있다. 근대도시를 거쳐 철도 중심 도시와 과학도시를 거치면서 150여만명의 인구가 살아가는 대전에 공간은 물론 산업과 문화 구조를 변화시키며, 미래 일류도시로 나아가고 있다. 대전시는 기존에 갖고 있던 대덕특구를 기반으로 한 과학도시에서 6대 전략 산업 'ABCD+QR(나노·반도체, 바이오, 우주, 국방, 양자, 로봇·드론)'을 중심으로 육성하면서 기술 사업화에 초석을 만들어 가고 있다. 이를 뒷받침 할 수 있게 안산, 교촌, 원촌, 장대도첨, 탑립·..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의 자연·휴양 인프라 확장, 일상의 지도를 바꾼다

대전 곳곳에서 진행 중인 환경·휴양 인프라 사업은 단순히 시설 하나가 늘어나는 변화가 아니라, 시민이 도시를 사용하는 방식 전체를 바꿔놓기 시작했다. 조성이 완료된 곳은 이미 동선과 생활 패턴을 바꿔놓고 있고, 앞으로 조성이 진행될 곳은 어떻게 달라질지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단계에 있다. 도시 전체가 여러 지점에서 동시에 재편되고 있는 셈이다. 갑천호수공원 개장은 그 변화를 가장 먼저 체감할 수 있는 사례다. 기존에는 갑천을 따라 걷는 단순한 산책이 대부분이었다면, 공원 개장 이후에는 시민들이 한 번쯤 들어가 보고 머무..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줄어드는 적십자회비’… 시도지사협의회 모금 동참 호소

연말연시 어려운 이웃에게 온정을 나누기 위한 적십자회비가 매년 감소하자,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회장 유정복 인천시장)가 27일 2026년 대국민 모금 동참 공동담화문을 발표했다. 국내외 재난 구호와 취약계층 지원, 긴급 지원 등 도움이 필요한 이웃에 대한 인도주의적 활동에 사용하는 적십자회비는 최근 2022년 427억원에서 2023년 418억원, 2024년 406억원으로 줄었다. 올해도 현재까지 406억원 모금에 그쳤다. 협의회는 공동담화문을 통해 “최근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적십자회비 모금 참여가 감소하고 있다. 이럴 때일수록..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구세군 자선냄비 모금 채비 ‘완료’

  •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가을비와 바람에 떨어진 낙엽

  •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행복한 시간

  •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 대전시의회 방문한 호치민시 인민회의 대표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