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오디세이] 홀연히 떠나 간 이완구의 삶과 정치

  • 오피니언
  • 시사오디세이

[시사오디세이] 홀연히 떠나 간 이완구의 삶과 정치

  • 승인 2021-10-25 16:22
  • 신문게재 2021-10-26 18면
  • 이해미 기자이해미 기자
서준원 박사
서준원 박사
돌아올 수 없는 길을 떠난 이완구 전 국무총리. 그의 삶은 각고의 자기성찰과 희생의 점철이었다. 전직 국무총리로서 국민장과 현충원에 안장할 수 있지만, 평소의 그의 지론에 따라 가족장으로 조촐하게 치렀다. 조문객의 부의금도 정중하게 거절했지만, 기실 이전부터 집안의 애경사에서도 취했던 동일한 행위였다. 마지막 유언으로 "우리 국민 모두가 행복했으면…"을 남긴 채 황망히 떠났지만, "고향 땅에 묻히고 싶다", "인간 이완구가 어떻게 살아왔는지 정도라도 명기된 조그만 비석만 세워주면 좋겠다"라며 살아 생전에 필자에게 늘 언급했던 진솔한 심경 토로가 떠오른다.

돌이켜 보면, 살아서도 죽어서도 역시 이완구답다. 고인은 살아서도 늘 대의명분을 중시했다. 매사에 상투적인 허례 허식 보다 깔끔하고 군더더기 없는, 어떤 형태로든 남에게 불편함을 주고 싶지 않다는 개인적 소신이 유별나게 강했다. 나라와 국민을 위해 공직자로서 열심히 살았으면 되었지, 죽어서도 구차하게 폐를 끼치고 싶지 않겠다는 소신과 가치관은 고향 땅에 함께 묻혔다. 소인배들과 달리 현생의 영화와 명예마저도 거리낌 없이 벗어내고자 했던 역시 큰 인물이었다.

혹자는 외유내강(外柔內剛)의 인품을 높이 사지만, 지근거리에서 20여 년 동안 함께 했던 정치학자로서 인간 이완구를 평가한다면, 영락없는 외강내유(外剛內柔)의 전형이었다. 겉으로 드러난 단호한 결단력과 강한 절제심 탓에, '큰 인물, 큰 정치' 및 '강한 충남' 등의 외형적 포장이 잘 어울렸다. 허나, 내면은 한없이 따스하고 속 깊은 집안의 여느 장남이었다. 말없이 베푸는 인정과 눈물이 참 많았던 인물이다. 가감 없는 대화 중에 속내가 들춰지면, 내면의 부드러움으로 감싼 자상함과 인정이 물씬 묻어났다. 오랫동안 변함없이 지나칠 정도로 세심함과 치밀함을 견지하다 보니, 일면 냉철하고 강한 인품의 대상으로 비춰 지는 것 같다.

충남도지사에 취임하면서 전임 지사의 비서진을 그대로 수용했다. 공무원은 편견 없이 공정한 행정을 집행한다는 원칙에 따랐음에도, 세인들의 시각은 놀라움과 반신반의였다. 세종시 사수를 위해 망설임 없이 지사직을 내 던진 것은, 강력한 결단력은 물론 열정과 추동력이 없으면 행할 수 없는 일이다. 늘 사사로운 사익보다는 더 큰 명분을 중시해왔기에 가능했을 터이다.



정치인 이완구는 감성과 이성을 적절하게 활용할 줄 알고 대화 상대를 이해해주려는 배려심이 유난히 돋보였다. 현 정치권에서도 인정하는 평가다. 대범하고 틀이 큰 정치인으로서 철저한 자기관리는 물론 심지어 가족들까지 철저하게 관리했다. 보수적 윤리와 책임의식에 철저하게 함몰되었던 유례없는 공직자이자 정치인이었다. 결벽에 가까운 '원칙고수와 자기관리' 탓에 특히 가족들은 정말 맘고생이 많았다. 가족이라는 이유로 말과 행동거지에 진중함을 늘 강조했기에, 일상적으로 하고픈 일과 말조차도 속으로 삭여내야 했다. 자신의 지위와 권력을 빌미로 접근하는 세상의 유혹을 떨쳐내야만, 떳떳함과 자신감을 가지고 할 일을 할 수 있다는 소신 탓이다. 이런 대목은, 자서전이자 성찰의 의미를 담은 저서 「약속을 지키는 사람」에서, "아들아 미안하다, 동생들아 미안하다"고 솔직담백한 심경을 다뤘다.

20세기 초 독일의 정치사회학자 막스 베버는 정치인과 공직자의 본분과 덕목을 제시했지만, 그 주장은 아직도 유효하다. 정치인의 덕목으로 '열정과 책임감 그리고 혜안'을 꼽았다. 공직자에겐 주어진 '책무를 집행하는 능력과 윤리의식'을 강조했다. 베버는 "정치는 머리로 하는 것이지 몸과 맘으로 하는 것이 아니다"라고 확언했다. 공직자로서의 이완구, 정치인으로서의 이완구는 머리는 물론 몸과 맘의 진력을 다 쏟아냈다고 본다. 누구보다도 앞장서서 사사로움을 접어둔 채 온 에너지를 쏟아낸 열정적 인간이었다. 그가 혼신을 다 해 쏟아낸 이타심과 희생, 애민 애족의 애국심이 있었기에, 국민과 도민은 '인간 이완구'에 열광하고 함께 울고 웃을 수 있었다.

작금의 시국이 유례없이 아수라판인 와중에 대인배 이완구, 그가 떠났다. 통탄스럽게도 이 나라와 국민을 위해 해야 할 일과, 꼭 해내야만 할 일이 산적했음에도 큰 인물 이완구가 떠났다. 언젠가는 역사가 '인간 이완구'를 재평가할 것이다. '약속을 지키는 사람'이 홀연히 우리 곁을 떠났다. 오호통재(嗚呼痛哉)라! /서준원 정치학 박사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4658만$ 수출계약 맺고 거점 확장"… 김태흠 지사, 중국·베트남 출장 마무리
  2. 공회전 상태인 충남교육청 주차타워, 무산 가능성↑ "재정 한계로 2026년 본 예산에도 편성 안 해"
  3. [중도일보 창간74년]어제 사과 심은 곳에 오늘은 체리 자라고…70년 후 겨울은 열흘뿐
  4. [창간74-축사] 김지철 충남교육감 "든든한 동반자로 올바른 방향 제시해 주길"
  5. [창간74-축사] 김태흠 충남도지사 "중도일보, 충청의 역사이자 자존심"
  1. [창간74-축사] 홍성현 충남도의장 "도민 삶의 질 향상 위해 협력자로"
  2. [중도일보 창간74년]오존층 파괴 프레온 줄었다…300년 지구 떠도는 CO₂ 차례다
  3. [한성일이 만난 사람 기획특집-제99차 지역정책포럼]
  4. [창간74-AI시대] 대전 유통업계, AI 기술 연계한 거점 활용으로 변화 필요
  5. [창간74-AI시대] AI, 미래 스포츠 환경의 판도를 재편하다

헤드라인 뉴스


대전어린이재활병원 국비확보 또 ‘쓴잔’

대전어린이재활병원 국비확보 또 ‘쓴잔’

대전시가 2026년 정부 예산안에서 역대 최대인 4조 7309억 원을 확보했지만, 일부 현안 사업에 대해선 국비를 따내지 못해 사업 정상 추진에 빨간불이 켜졌다. 공공어린이재활병원 운영비와 웹툰 IP 클러스터, 신교통수단 등 지역민 삶의 질 향상과 미래성장 동력 확충과 직결된 것으로 국회 심사과정에서 예산 확보를 위한 총력전이 시급하다. 1일 대전시에 따르면 2026년도 정부 예산안에서 제외된 대전시 사업은 총 9개다. 앞서 시는 공공어린이 재활병원 운영지원 사업비(29억 6000만 원)와 웹툰 IP 첨단클러스터 구축사업 15억 원..

김태흠 충남도지사 "환경부 장관, 자격 있는지 의문"
김태흠 충남도지사 "환경부 장관, 자격 있는지 의문"

김태흠 충남지사가 지천댐 건설 재검토 지시를 내린 김성환 환경부 장관을 향해 "자격이 있는지 의문"이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지천댐 건설에 대한 공식 입장을 밝히지 않는 김돈곤 청양군수에 대해서도 "무책임한 선출직 공무원"이라고 맹비난했다. 김 지사는 1일 도청에서 열린 2026 주요정책 추진계획 보고회에서 김 장관에 대해 "21대 국회에서 화력발전 폐지 지역에 대한 특별법을 추진할 때 그의 반대로 법률안이 통과되지 못했다"라며 "화력발전을 폐지하고 대체 발전을 추진하려는 노력을 반대하는 사람이 지금 환경부 장관에 앉아 있다. 자격이..

세종시 `국가상징구역+중앙녹지공간` 2026년 찾아올 변화는
세종시 '국가상징구역+중앙녹지공간' 2026년 찾아올 변화는

세종특별자치시가 2030년 완성기까지 '국가상징구역'과 '중앙녹지공간'을 중심으로 또 다른 변화를 맞이할 전망이다. 1일 세종시 및 행복청의 2026년 국비 반영안을 보면, 국가상징구역은 국회 세종의사당 956억 원, 대통령 세종 집무실 240억 원으로 본격 조성 단계에 진입한다. 행정수도 추진이란 대통령 공약에 따라 완전 이전을 고려한 확장 반영이란 점에서 의미가 크다. 내년 국비가 집행되면, 국회는 2153억 원, 대통령실은 298억 원까지 집행 규모를 키우게 된다. 국가상징구역은 2029년 대통령실, 2033년 국회 세종의사당..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갑작스런 장대비에 시민들 분주 갑작스런 장대비에 시민들 분주

  • 추석 열차표 예매 2주 연기 추석 열차표 예매 2주 연기

  • 마지막 물놀이 마지막 물놀이

  • ‘깨끗한 거리를 만듭시다’ ‘깨끗한 거리를 만듭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