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세종시청 전경 |
최근 대전세종연구원이 발표한 '대전·세종의 경제통합적 접근을 통한 경제협력 방안'에 따르면 세종이 대도시로 성장하면서 대전과 경제·산업 뿐만 아니라 도로·교통, 환경, 도시계획 등 다양한 분야에서 통합 생활권을 형성하게 됐다. 특히 주거와 출퇴근 등 경제 활동 측면에서는 생활 경제권 벨트의 단일화 추세가 가속화되고 있다. 지역 간 생활 경제권 벨트의 단일화 추세에 따라 정부도 초광역권 지역 균형 뉴딜사업을 지원해 지방자치단체 간 협력체계 구축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
이에 대전과 세종 나아가 충북과 충남을 포함 간 중장기적 경제통합을 염두하고, 협력사업들의 우선적 추진을 통해 실효적 통합을 시발할 수 있는 협력방안의 마련과 추진이 필요하다. 이에 충청권 메가시티 구축 등을 추진하고 있다. 궁극적으로는 대전과 세종이 지역 간 통합의 모델을 만들어 충청권, 나아가 우리나라 혁신 성장을 선도하는 핵심도시로 자리매김할 필요성이 중요하다.
대전과 세종 두 도시 간 경제·산업의 보완성과 분업체계에 의한 동반성장과 경제 활성화 선순환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경제협력 방안(궁극적으로는 경제통합 방안)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대전과 세종의 단일 경제구조는 상호 보완과 분업체계의 형성에 의한 협력을 통해 지역 발전의 시너지효과 극대화가 가능하다. 대전과 세종의 산업·기술간 높은 입지·기능적 연계성 강화를 통해 효율적 혁신클러스터 구축을 기대한다. 지리적 인접성과 역사·문화적 공동체 형성 기반, 산업 인력의 밀접한 연관성을 기반으로 적절한 분업체계와 상호 보안성에 의한 자연스러운 통합경제권 구축을 해야 한다.
대전·세종 경제자유구역 공동 지정으로 투자여건 개선이 필요하다. 대전과 세종이 가진 경제·산업적 장점의 높은 연계성을 기능적으로 활용, 지역 혁신거점으로서 국내외 신산업 투자 촉진이 요구된다.
대덕특구의 글로벌 R&D 허브기능과 세종의 산업생산 입지기능 연계, 혁신생태계 완성이 절실하며 대전의 R&D인프라와 민간의 창의적 아이디어를 융합, 신기술을 위한 개방형 콤플렉스 조성, 4차 산업혁명의 전국적 확산을 위한 핵섬거점을 구축하는 등 스타트업 허브 구축이 필요하다.
또한 대전과 세종 접경지역에 산업단지를 활용한 산업경제 융합클러스터 육성도 중요하다. 공동활용 연구기반 시설·장비구축, 인적자원의 교류협력 활성화 등도 요구된다. 특히 대전과 세종 경제협력을 추진할 추진기구 설치와 상생협력 기구, 정책 집행기구 등이 필요하다.
김기희 대전세종연구원 선임연구원은 "지방분권과 자치, 4차 산업혁명의 융·복합 시대, 지역경쟁력이 곧 국가 경쟁력의 원천이 되는 정책 패러다임 속에서 지역 간 협력을 통한 경쟁력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면서 "지역 간 경쟁보다는 벨류체인에서의 상호협력과 시너지 효과 창출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세종=이상문 기자 ubot135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