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박광석 기상청장 |
실내에 있는 시간이 많아지면 답답하고 오염된 공기에 노출되기 쉽다. 특히 겨울철이면 실내의 답답한 공기로 인해 호흡의 불편함이나 두통 증세를 호소하는 이들이 유독 많아진다. 히터를 강하게 틀면서 실내온도가 건조해지고 공기가 무거워지기 때문이다. 또 평소보다 내부에 머무르는 사람이 증가하면서 개개인이 내뿜는 이산화탄소량이 늘어 산소 부족 현상이 나타나는 데에도 원인이 있다.
그렇다면 겨울철 실내에서 쾌적하고 건강한 일상을 보내기 위해선 무엇을 해야 할까. 세 가지만 명심하자. 첫 번째는 실내온도를 18~20도로 유지하는 것이다. 다소 춥다고 느껴질 순 있겠지만 실내외 온도차가 많이 나면 감기에 걸리기 쉽고 뇌졸중 등 심·뇌혈관 질환에 노출될 위험도 크다. 따라서 다양한 난방기구를 활용하여 너무 높지도, 낮지도 않은 적절한 온도를 유지하는 게 중요하다. 또한 기상청에서는 감기가능지수, 뇌졸중가능지수 등 보건기상지수를 제공하고 있다. 전국 행정구역별로 뇌졸중 발생 가능 정도와 대응요령을 확인할 수 있어, 이를 잘 이용하면 면역력이 저하되는 환절기나 추운 겨울 건강 악화 예방에 큰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두 번째는 실내 습도를 40~60%로 유지하는 것이다. 온도와 습도는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로 종합적인 고려가 필요하다. 실내의 습도를 적절하게 유지하는 것이 어렵게 느껴질 수 있다. 하지만 적절한 습도를 유지하지 못하면 안구건조나 가려움증과 같은 각종 질병에 노출되기 쉽다. 반대로 너무 습하면 미생물이나 곰팡이균이 서식하기 좋은 환경이 조성된다. 습도를 조절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가습기를 사용하는 것이다. 만약 가습기가 없다면 잎사귀가 많은 식물을 실내에 두거나, 그릇에 숯과 물을 담아서 그늘에 놔두는 방법도 있다. 주기적으로 책상이나 커튼에 분무기로 물을 뿌리는 것도 좋다. 가정용 온·습도계를 비치해서 관리해 보도록 하자.
마지막은 주기적으로 환기를 하는 것이다. 겨울철이 되면 추위 때문에 평소보다 창문을 열지 않게 된다. 하지만 오랜 시간 공기가 순환이 되지 않으면 먼지나 눈에 보이지 않는 세균, 바이러스들이 밀폐된 실내에서 빠르게 증식할 수 있다. 겨울철 환기는 하루에 2~3번이 적당하다. 한 번 할 때 10분 정도로 하며, 대기의 움직임이 다소 적어 대기질이 나쁠 수도 있는 새벽과 밤보다는 대기 움직임이 활발한 아침이나 낮에 해주는 것이 더욱 좋다.
다만 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날에는 과연 환기를 하는 게 옳은 것인지 고민하는 이들이 많다. 그런 날에는 환기를 하더라도 짧게 여러 번 해주는 것이 좋다. 사무실과 같이 많은 사람들이 함께 공유하는 공간이라면 일정한 시간을 정해두고 규칙적으로 환기를 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최근 호흡기 감염질환인 코로나19로 환기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는 만큼, 지금 당장 창문을 활짝 열어 쾌적한 실내 공기를 만들어 보는 것은 어떨까.
답답하고 오염된 공기로 가득한 실내에서 업무를 보고 휴식을 취한다면 업무 효율성도 떨어지고 건강에도 좋지 않다.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기온, 습도, 뇌졸중가능지수 등 다양한 정보들을 적극 활용하고 주기적으로 환기를 해 좀 더 쾌적하고 건강한 겨울을 보내보도록 하자.
/박광석 기상청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