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문화재 결국 문체부 연수원으로 전락하나... 옛 충남도청사 연구용역 결과 놓고 논란

  • 문화
  • 문화 일반

근대문화재 결국 문체부 연수원으로 전락하나... 옛 충남도청사 연구용역 결과 놓고 논란

입수한 용역결과 최종보고서 내 공무원 교육프로그램 담겨
"대전 원도심의 섬으로 전락" 지역문화계 우려목소리
민선8기 지역문화정책 연계 새 밑그림 그려져야 여론도

  • 승인 2022-03-29 16:17
  • 수정 2022-03-29 16:53
  • 한세화 기자한세화 기자
도청사
최근 발간한 문화체육관광부의 옛 충남도청사 활용 최종 연구용역 보고서에 그동안 논란이 빚었던 연수원 건립 계획이 포함되면서 지역여론이 들끓고 있다.<출처=연합뉴스>
문화체육관광부의 옛 충남도청사 활용 최종 연구용역에 그동안 논란을 빚었던 연수원 건립 계획이 포함되면서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대표적인 근대 건축물이자 대전 원도심 활성화의 핵심 거점으로 꼽히는 옛 충남도청사에 문체부 공무원들을 위한 연수 공간이 제시되었기 때문이다. 자칫 옛 충남도청사가 원도심의 섬으로 전락하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지역 문화계는 이번 옛 충남도청사 활용 방안이 문재인 정부의 국립현대미술관 지역 분관 정책에 맞물려 추진됐던 만큼, 새 정부에서 지역 문화정책과 연계한 밑그림이 원점에서 그려져야 한다는 전문가들의 의견도 있다.

29일 중도일보가 입수한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진행한 '옛 충남도청사 활용방안 최종 용역 보고서'에 따르면, 충남도청 부지 활용에 대해 국립현대미술관 개방형수장고 건립과 함께 문체부 공무원들의 현장연수를 위한 인재개발원 등이 제시됐다.



연수원은 공통·6급이하·4~5급·3급 이상으로 대상을 나누고 문화예술 분야의 기본소양과 정책이해, 직급별 맞춤교육 등 공무원 역량강화 프로그램을 진행할 예정이다.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은 최소 17시간(3일)에 최대 63시간(9일)으로 편성, 광역지자체인재개발원의 경우 최소 7시간으로 교육시간을 배치했다. 공통과정은 총 10개로 나눴으며, 직급별로 각 3개씩 총 9개의 커리큘럼을 설정하는 등 세분화한 내용을 담았다.

문제는 인재개발원 건립이 옛 충남도청사라는 상징성에 맞지 않는 공간인 데다, 원도심 개발과도 연계되지 않는 부분이라는 점이다.

근대도시로 성장한 대전에서 가장 상징적인 공간인 옛 충남도청사에 굳이 문체부 공무원들을 위한 연수 공간이 마련된다는 것에 지역 정서를 무시한 정책이라는 비판도 일고 있다. 문체부 공무원들만의 공간보다는 국립현대미술관 분관(개방형 수장센터) 같은 시민들을 위한 문화향유 공간이 들어서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강현욱 목원대 교수는 "자리의 특성상 대전의 원도심 심장부에 있고, 역사적 가치를 품은 공간에 공무원 연수원이 들어서는 건 활용방안 취지에 맞지 않는다"며 "대전시민은 물론 국민을 우롱하는 행위이며, 이 사태에 대해 책임론이 거론될 지경까지 이르렀다고 본다"고 강조했다.

김정동 대전참여시민연대 사무처장도 "옛 충남도청사 부지가 문체부 소유라고 해서 시민 향유를 배제한 기관을 들인다는 건 공간의 정체성에도 맞지 않는 일"이라고 말했다.

옛 충남도청사 활용방안이 문재인 정부에서 추진된 정책인 만큼, 오는 7월 출범하는 민선 8기의 지역 문화정책과 함께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오길환 문체부 담당사무관은 "2026년까지 본관동 조성을 마무리한 후 용도 검토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해명했다.

한세화 기자 kcjhsh9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5월은 종소세 신고의 달! 놓치지 말고 간편하게 '클릭'
  2. 대통령실·국회 세종시 완전이전 대선 화약고 부상하나
  3. '제37회 여주도자기축제' 100만 돌파 눈앞
  4. 업무상 보관금 이중지급 횡령한 군인 벌금형… 부사관 제적도
  5. 한국자유총연맹 대전시지부, 이달의 자랑스러운 회원 시상
  1. [썰] 대전시의회 박종선, 예고된 국민의힘 탈당?
  2. 유니폼부터 대형 조형물까지… 꿈돌이 뜨거운 인기
  3. 대전시청자미디어센터, 재단 10주년 맞이 특별강의
  4. 대전 고교 시험문제 출제 오류·생활기록부 중복 기재 지적 잇달아
  5. 국힘 중앙선대위 출범…충청권 인사 빠졌다

헤드라인 뉴스


병원 15곳서 “수용 불가”… 대전 응급환자 결국 부산까지

병원 15곳서 “수용 불가”… 대전 응급환자 결국 부산까지

지난 어린이날 연휴 대전에서 발생한 호흡곤란 환자가 충청권에 수용 가능한 병원이 없어 소방헬기를 타고 부산까지 이송된 것으로 파악됐다. 7일 중도일보 취재 결과, 지난 5일 오전 4시 37분께 대전 서구에서 50대 암 환자 A씨의 호흡곤란 신고가 접수돼 119구급대가 곧바로 현장에 출동했다. 이날 구급대는 대전을 비롯한 충남, 충북 등 충청 지역 병원 15곳을 상대로 18차례 수용 가능 여부를 물었다. 하지만, 충청권에 이송 가능한 병원이 없어 결국 오전 8시 12분께 구급 헬기를 통해 A씨는 평소 치료를 받던 부산의 한 대학병원으..

천문연 우주망원경 스피어엑스 관측 시작 "새로운 과학적 발견 기대"
천문연 우주망원경 스피어엑스 관측 시작 "새로운 과학적 발견 기대"

한국천문연구원(이하 천문연)과 미국 항공우주국(NASA) 등이 공동 개발한 우주망원경 스피어엑스가 3월 12일 발사 이후 이달 1일 본격 관측 임무를 시작했다. 스피어엑스는 6주간 검·교정 등 시험 가동 이후 이달 1일부터 본격 관측에 돌입했다. 구 극궤도를 98분 주기로 하루 14.5바퀴 공전하며 600회 이상 촬영해 3600여 장의 이미지를 생성한다. 이렇게 촬영된 이미지는 디지털 방식으로 합성해 앞으로 2년간 6개월 주기로 3차원 전천 지도를 제작할 예정이다. 우주의 기원을 비롯해 은하의 형성과 진화, 생명체 탄생과 관련한 우..

대전선관위, `선거김` 이어 `선거빵` 출시… "함께 투표해요"
대전선관위, '선거김' 이어 '선거빵' 출시… "함께 투표해요"

대전선거관리위원회는 21대 대통령 선거에 대한 유권자 관심과 참여를 높이기 위해 지역 대표 제과업체인 성심당과 함께 '선거빵'을 출시했다. 이번 협업은 앞서 ㈜성경식품과 출시한 '선거김'에 이은 두 번째 프로젝트로, 일상 속 친숙한 먹거리를 활용한 생활밀착형 선거 홍보의 일환이다. 선거빵은 성심당 인기 제품인 앙금빵에는 기표 모양을, 빅매치빵에는 선거일인 '6·3'을 새긴 디자인으로 제작했다. 선거빵은 5월 1일부터 성심당 본점을 포함한 전 지점에서 판매되고 있다. 제품 진열 시 '선거일(6월 3일)'과 '사전투표일(5월 29~30..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어버이 은혜 감사합니다’ ‘어버이 은혜 감사합니다’

  • 성심당과 함께 선거빵 출시…‘함께 투표해요’ 성심당과 함께 선거빵 출시…‘함께 투표해요’

  • 쓰레기가 차지한 우리들공원 쓰레기가 차지한 우리들공원

  • 한화이글스 공동 1위…야구장은 매진 행렬 한화이글스 공동 1위…야구장은 매진 행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