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충남도 전경 |
이를 바탕으로 마케팅 전략을 개발하는 등 강점을 살리면 홍콩 수출길을 열 수 있다는 기대감이 나오고 있다.
7일 도 농업기술원이 지난 5월 23일부터 6월 8일까지 만 19세 이상 홍콩 소비자 300명을 대상으로 2차연도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홍콩 소비자의 구기자차에 대한 인지도와 구매의향은 각각 63.0%, 74.3%로, 국내 59.8%, 53.0%보다 높았다.
주요 소비자층은 '여성', '30대', '교육 수준이 높은 소득 중위층'으로 나타났다. 구기자차 구매 요인 1순위는 건강으로 62.1%에 달했고, 인지평가도도 건강·기능에 좋을 것(75.4%)이란 응답이 가장 많아 구기자차의 강점은 건강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1차연도 조사 당시 국내 소비자의 음용 경험 12.8%, 구매 경험 18.6%과 비교하면 홍콩 내 구기자차 소비현황은 상대적으로 높아 시장 현황은 긍정적인 것으로 분석됐다.
도 농업기술원은 이번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차별화된 마케팅 전략 개발을 제시하고 있다. 우선, 생산 측면에서는 젊은 소비자층 또는 여성을 목표시장으로 설정하고, '여성과 건강'이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한 홍보가 필요할 것으로 봤다.
또 2020년 이후 코로나19 확산 기간 동안 홍콩 내에서 건강과 웰빙이 트렌드로 자리잡은 뒤 유기농 페퍼민트와 카모마일 등 건강 기능에 초점을 맞춘 브랜드가 수요 시장을 견인해온 만큼, 맛의 변화도 중요하다는 분석이다.
홍콩은 '과일·허브차' 시장을 중심으로 꾸준히 성장하고 있는데, 제품의 다양한 맛과 건강을 동시에 잡고자 하는 경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구기자는 차 보다는 약재라는 이미지가 있기 때문에, 홍콩 시장 분위기를 고려할 때 향후 구기자차 제품 생산 시 다른 과일차와 혼합해 직접적인 맛의 변화와 약재가 아닌 음료로서의 맛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전략적인 접근이 필요하다는 게 관계자의 설명이다.
장현동 소득경영팀장은 "지역특화작목 가공제품의 수출 성공을 위한 현지 시장의 소비패턴을 사전 분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며 "청양 구기자 가공제품의 선호층에 대한 구매력을 높이기 위한 차별화된 마케팅 전략 개발이 수출 성공의 열쇠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내포=조훈희 기자 chh795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