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 성공과 와신상담(臥薪嘗膽)

  • 오피니언
  • 여론광장

[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 성공과 와신상담(臥薪嘗膽)

양동길/시인, 수필가

  • 승인 2025-07-11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중국 춘추전국시대 오나라와 월나라에 얽힌 이야기 하나 들춰보자. 패권 다툼이 심하기도 했지만, 훗날 교훈이 되는 일이 많아서일까, 당시에 만들어진 고사성어가 무수히 전한다.

오왕 합려(閤閭)가 월나라 공격 중에 손에 부상을 입었다. 그 부상이 악화되어 결국 죽는다. 왕위 계승자 태자 부차(夫差)는 장작더미위에 누워 자며, 문 앞에 사람을 세워, 아버지의 원수를 잊지 않도록 항시 일깨우게 했다. 이 판에 월왕 구천(句踐)이 공격하였다가 패배하여 항복한다. 병법의 대가 오자서(伍子胥)가 구천을 죽여 후환을 없애라 조언했지만, 이미 뇌물에 넘어간 백비(伯?)가 두둔하여 살려준다. 월나라로 돌아온 구천은 처소에 돼지 쓸개를 걸어두고 늘 핥으며, 쓴 맛으로 구천에게 당한 치욕을 잊지 않도록 한다. 여기에서, 섶에 누워 자고 쓸개의 맛을 본다는 '와신상담(臥薪嘗膽)'이란 말이 나왔다. 절치부심 재기를 노린다는 의미다.

백비는 오자서가 추천한 인물이다. 그의 인물됨을 알아본 피리(被離)가 눈길은 매와 같고 걸음걸이는 호랑이와 같아(鷹視虎步) 필시 살인을 할 관상이니 조심하라 조언한다. '응시호보'는 생김새가 험상궂고 무서울 뿐만 아니라 성질이 흉악한 사람의 형용이다. 오자서는 같은 병이 있으면 서로 아파하고, 같은 근심이 있으면 서로 위로(同病相憐 同憂相救)한다며 흘려 넘긴다.

구천의 책사 범려(范?)는 미인계를 준비한다. 이때 선발된 미녀가 중국 4대 미녀 중 하나로 꼽히는 서시(西施)이다. 그녀를 바라보던 연못의 물고기가, 미모에 놀라 헤엄치는 것을 잊어 가라앉았다하여 침어(侵漁)라는 별칭이 붙었다. 범려의 철저한 교육과 훈련으로 지성까지 겸비한 서시는, 오나라로 보내지자 곧바로 부차의 총애를 받는다. 대대적인 토목공사를 벌이고 대군을 조련하는 등 나라가 재정파탄에 이르게 하고, 간신 백비까지 포섭, 오자서를 모함하여 죽음에 이르게 한다. 오자서가 죽은 10여년 후, 천하의 패자를 꿈꿨던 부차는 궁지에 몰려 자살한다. 서시는 나라를 기울게 하는 경국지색(傾國之色)이었던 셈이다.



오나라가 패망하고 구천이 천하의 패권을 차지하자 범려는 서시와 함께 사라진다. 숨어 살았다거나, 서시가 부차를 따라 죽었다, 부부가 되어 제나라에서 장사로 크게 성공하여 거부가 되었다는 등 여러 설이 전한다. 구천의 곁에서 떠난 것만큼은 분명해 보인다. 구천이 '어려움은 함께 나눌 수 있지만 즐거움은 함께 나누지 못할 사람'이라는 사실을 잘 알고 있었기 때문이라 한다. 구천뿐이 아니다. 권력자가 되면 더 많은 것을 독식하기 위해 주변부터 청소해나간다. 궁색할 때 서로 돕다가도 상황이 호전되면 비정하게 배신하거나 내치는 것이다. 따라서 지혜로운 사람은 그 권력을 나누려 하지 않고 알아서 떠난다.

생명체에는 생로병사가 있고, 모든 일에는 흥망성쇠가 있다. 무생물은 몰라도, 영구히 지속되는 것은 없다. 일었다가 사라지는 것이다. 변화에 적응하거나 조정, 대체재의 창출로 이어간다. 개인이나 조직의 운용에 적용 또는 활용된다. 잠시 잊거나 외면하다보니, 극복 방안으로 전략이니, 철학이니, 거창하게 운운하기도 한다. 따지고 보면 기본적인 현상의 정리요 확인일 뿐이다.

자리 차지가 이루어지면 영원할 것처럼 처신한다. 백년 남짓한 삶이요, 십년도 못가는 자리다. 오히려 당사자보다 주위에 있는 사람이 더 야단법석인 경우도 있다. 마치 자신만의 세상인양 볼썽사납게 설친다.

논공행상이란, 공의유무, 크기에 따라 걸맞게 포상하는 것이다. 칭찬하고 격려하는 일이야 얼마나 좋은가? 자리로 주는 것은 고려해야 한다. 명예와 권력을 동시에 주는 것이다. 더하여 재물이 되기도 한다. 적재적소에 걸 맞는 인재 등용이 인사 아니던가? 자리가 전리품인가? 보상으로 주는 것은 지양해야 한다.

성공은 끝이 아니라 새로운 미래의 시작이다. 어려움의 극복을 위해 노심초사 하던 이상으로 미래에 대한 배려와 준비로 절치부심해야한다.

양동길/시인, 수필가

양동길
양동길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편집국에서]금산 물놀이 사고현장에서
  2. 대전 보행자 교통사고 매년 1200건… 보행자 안전대책 시급
  3. '수업 전 기도' 평가 반영 충남 사립대에 인권위 "종교 자유 침해"
  4. 32사단, 불발화학탄 대응 통합훈련 실시
  5.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창립 20년, 대덕특구 딥테크 창업·사업화 중심지 자리매김
  1. 대전탄방초 용문분교장 개교 준비 이상 무… 교육감 현장 점검
  2. [춘하추동] 광복80년, 우리는 진정 국보를 환수하고자 하는가?
  3. '예비 수능' 9월 모평 사회탐구 응시 증가…'사탐런' 두드러져
  4. [홍석환의 3분 경영] 10년 후, 3년 후
  5. 다문화 사회 미래전략 방안 모색 정책토론회

헤드라인 뉴스


대전 7月 인구 순이동률 0.9% 전국 1위… 살기좋은 도시 입증

대전 7月 인구 순이동률 0.9% 전국 1위… 살기좋은 도시 입증

대전이 지난달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인구 순이동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위는 충북이었고 충남 역시 높은 인구 순이동률을 보였다. 다만, 충청권 4개 시도 가운데 유일하게 세종만 전입자보다 전출자 수가 많아 인구 순이동률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이는 통계청이 27일 발표한 '7월 국내인구이동통계'에서 시도별 전입에서 전출을 뺀 순이동을 분석한 결과다. 이에 따르면 대전시는 지난달 총전입 1만 9473명, 총전출 1만 8429명으로 순유입 1044명을 기록했다. 순이동률 0.9%인데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전국에서 대전이..

공깃밥 1000원 공식 깨지나… 쌀값 15% 오르자 소상공인·소비자 울상
공깃밥 1000원 공식 깨지나… 쌀값 15% 오르자 소상공인·소비자 울상

쌀값이 천정부지로 오르면서 식당 공깃밥 1000원 공식이 깨지게 생겼다. 소비자들은 밥상 필수품인 쌀값 상승으로 가계 부담이 커지고, 식당 등도 이제껏 올리지 않았던 공깃밥 가격을 올리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27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따르면 전날 기준 대전 쌀 20kg 한 포대 소매가는 5만 9800원으로, 1년 전(5만 1604원)보다 15.88%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2020년부터 2024년까지 가격 중 최대·최소를 제외한 3년 평균치인 평년 가격인 5만 3315원보다 12.16% 인상했다. 가격이 급격하게 인상되면서..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 지정… K바이오 핵심 거점으로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 지정… K바이오 핵심 거점으로

국토교통부가 충북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의 산업단지계획을 28일자로 승인하고,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는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일원으로 면적 411만9584㎡다. 사업비는 2조3481억 원, 유치업종은 바이오 산업, 사업시행자는 한국토지주택공사, 기간은 2025년부터 2030년까지다. 오송 제3생명과학 국가산업단지는 2018년 8월 국가산업단지 후보지로 선정됐다. 이후 농업진흥지역 등 입지 규제로 인해 사업 추진에 어려움을 겪었다. 2023년 8월 국토교통부-농림축산식품..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상처 입은 백로, 자연으로 돌아가다’ ‘상처 입은 백로, 자연으로 돌아가다’

  • 대전 찾은 민주당 지도부 대전 찾은 민주당 지도부

  • 배롱나무와 어우러진 유회당…고즈넉한 풍경 배롱나무와 어우러진 유회당…고즈넉한 풍경

  • 다문화 사회 미래전략 방안 모색 정책토론회 다문화 사회 미래전략 방안 모색 정책토론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