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산 대원 대종사 <역대법보기 강설> 발간 봉정식

  • 사람들
  • 뉴스

학산 대원 대종사 <역대법보기 강설> 발간 봉정식

‘역대 조사 가르침 한눈에’
학산 대원 대종사는 이 시대의 마지막 선지식으로 불리는 선승,
대한불교조계종 원로회의 의장 역임.
한복룡 충남대 로스쿨 명예교수, 역대법보기의 가치에 대해 전하다

  • 승인 2025-08-25 23:24
  • 수정 2025-08-26 09:42
  • 한성일 기자한성일 기자
temp_1756017465625.-1877603995 (2)
해인총림 방장 학산 대원 대종사 《역대법보기 강설》 출간 봉정식이 지난 23일 공주 학림사 오등선원에서 개최됐다.
불기 2569년 해인 총림 방장 학산 대원 대종사의 신간 《역대법보기 강설》 발간 봉정식이 8월 23일 공주시 학림사 오등선원 대적광전에서 사부대중 100여 명이 모인 가운데 열렸다.

<역대법보기>는 부처에서 달마를 거쳐 역대 조사들의 전법 상황과 일화들을 담은 책으로 초기 선종의 중요 자료이다. 《역대법보기 강설》은 2022년부터 2024년까지 2년간 BBS불교방송을 통해 방송한 내용을 바탕으로 새롭게 펴낸 해설서이다. 이 책을 펴낸 학산 대원 대종사는 이 시대의 마지막 선지식(善知識)으로 불리는 선승으로, 대한불교조계종 원로회의 의장을 거쳐 현재는 해인총림 10대 방장으로 주석하고 있다. 행사가 열린 학림사는 학산 대원 대종사가 1986년 계룡산 제석사 옛터에 창건한 이래 지금까지 주석하는 사찰이다. 대종사는 3·1운동 민족대표인 용성 진종 대종사의 법손이며 현재에도 그의 의식개혁과 정신문화 운동을 이어오고 있다.

이날 행사에는 공주시 최원철 시장, 불광미디어 류지호 대표, 학림사 오등시민선원 초대운영위원장으로서 축사를 한 한복룡 충남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명예교수, 충남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로스쿨 3대 원장 맹수석 교수, 충남대학교 교수불자회 오영달 회장 등이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

4044061_668441_1533
한복룡 충남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명예교수는 이날 축사에서 “저는 40여 년 전 학림사가 출범할 시에 공부 많이 하신 스님이 이 곳에 자리를 잡고 전법을 시작했다는 소식을 접하고 이 곳에서 충남대 교수 불자 10여 명과 함께 공부를 하면서 인연이 시작되었다”고 말했다. 한 교수는 “대원 큰 스님의 강설이 출판됨으로써 우리 국민은 물론 세계인들이 한국 불교의 진면목을 이해하는 큰 계기가 된 것 같다”고 전했다. 또 “무상, 무주, 그리고 대원 스님으로 이어지는 한국 불교의 법맥을 바탕으로 우리 불교가 세계 속에서 우뚝 서는 그 날을 꿈꾸며 케이 팝 등 한류와 함께 찬란하게 퍼져나가고 부처님의 자비 광명으로 인류의 행복과 세계평화를 이룰 수 있기를 기원한다”고 말했다.



4044061_668442_1547
공주 학림사 종무실장을 맡고 있는 연철호 주연거사는 “중국 선종의 기틀을 세운 달마대사부터 무주선사, 혜능대사에 이르는 역대 조사들의 법맥과 전법 일화, 수행 풍토 등을 담은 <역대법보기>는 8세기 후반 당나라 시대에 나온 오래된 문헌”이라며 “역대법보기는 초기 선종의 중요 사료로 선종의 법맥이 어떻게 이어져 왔는지를 살펴볼 수 있어 한국 선불교의 원류를 파악할 수 있는 지침서로도 평가받고 있다”고 전했다. 또 “이 문헌은 지난 20세기 초 중국 돈황 석굴에서 사본이 출토돼 현재 영국 박물관과 프랑스 국립도서관이 소장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4044061_668433_519
윤호산 학림사 오등선원 신도회 수석총회장은 "역대법보기 출판물을 가지고 공부하셔서 마음의 평안도 살피시고, 나아가 불교의 바른 가르침도 깨달으셔서 더한층 큰 복 받으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대원 대종사의 역대법보기 강설은 매주 토요일 저녁 공주 학림사 설법전에서 녹화가 진행됐고 92회에 걸쳐 BBS TV로 방송돼 불자들의 큰 호응을 끌어냈다.

4044061_668443_162
학산 대원 대종사
학산 대원 대종사(해인총림 방장)는 "무한대한 진리의 마음, 광명의 마음, 대자비의 마음, 대 지혜의 마음, 대만족의 마음, 대 행복의 마음, 이 마음을 말하는 것”이라며 “여러분이 그 마음을 다 가지고 있고, 그 마음을 놓치지 말라는 그런 말씀을 드린 것”이라고 말했다.

temp_1756017465616.-1877603995 (2)
역대법보기 강설은 대원 대종사의 TV 강설 내용을 구어체로 최대한 살려 생생한 현장감을 느낄 수 있도록 했다. 또 전문을 싣고 우리말로 번역해 독자들이 원문을 온전하게 접할 수 있도록 하면서 필요한 경우 주석을 달아 일반 독자들의 이해를 도왔다.

최원철 공주시장은 "법어집 출간을 통해서 혼탁한 사회에 지혜와 가르침으로 다가와서 모든 사회가 화합이 되고 발전이 하는 그런 계기가 되길 축원드리겠다"고 말했다.

temp_1756017465603.-1877603995
당일 행사장인 공주 학림사 오등선원 대적광전 전경
한복룡 교수는 “학산 대원 대종사의 역대법보기 강설이 불자들에게 불교에 대한 이해와 안목을 넓혀주는 소중한 밑거름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충남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로스쿨 3대 원장 맹수석 교수는 “<역대법보기> 출간 봉정식 법회는 이 시대 한국 불교의 대표 선사이신 학산 대원 대종사의 탁월한 선의 안목을 확인하고 큰 깨달음의 계기를 얻을 수 있는 절호의 기회였다”며 “선지식의 눈으로 풀이한 <역대법보기> 출간 봉정식에서 마음의 눈을 뜨는 시간이 됐다”고 말했다.

4044061_668440_1439
한편 학산 대원 대종사는 '남 진제, 북 송담, 중 대원'으로 대표되는 한국불교의 3대 선승으로 꼽히며 독립운동가 용성 스님의 제자로 조계종 종정을 역임한 고암 스님을 은사로 출가해 평생 구도의 길을 걸어왔다.

temp_1756017465644.-1877603995
대종사는 전국선원수좌회 수석대표, 고암문도회 문장과 공주 학림사 오등선원 조실, 조계종 원로회의 의장을 거쳐 지난 4월 해인총림 제10대 방장 자리에 올랐다.


한성일 기자 hansung00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부산시 낙동강 가을꽃 향연… 3개 생태공원 이색적 풍경
  2. 10월 9일 '한글' 완전정복의 날...'세종시'로 오라
  3. 전국캠핑족들, 대전의 매력에 빠져든다
  4. '한글날 경축식', 행정수도 세종시서 개최 안되나
  5. 24일 대전시 국감... 내년 지선 '전초전' 촉각
  1. 579돌 한글날, 대전시청 광장에 울려 퍼진 한글 사랑
  2. 최충규 대덕구청장,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목소리 청취 나서
  3. 한산한 귀경길
  4. 579돌 한글날…대전서 울려퍼진 ‘사랑해요, 한글’
  5. 긴 연휴 끝…‘다시, 일상으로’

헤드라인 뉴스


한글날 정부 주재 경축식, 내년에는 세종서 개최되길

한글날 정부 주재 경축식, 내년에는 세종서 개최되길

정부의 한글날 경축식마저 수도 서울의 전유물이어야 하나. 올해 제579돌 경축식 역시 서울 몫이 됐다. 이재명 새 정부의 정무적 판단이 아쉬운 10월 9일 한글날이 되고 있다. 국무조정실이 정부세종청사에 있고 김민석 총리 주재의 경축식이었던 만큼, 아쉬움은 더욱 컸다. 새 정부의 첫 경축식이 지방분권의 상징인 세종시에서 열리는 것 자체만으로도 의미는 남다르기 때문이다. 공교롭게도 이날 세종시 대표 축제인 '2025 한글 축제'가 오전 8시 한글런과 함께 막을 올렸다. 김 총리가 이재명 대통령을 대신해 한글날 경축식을 세종시에서 열었..

[`무주공산` 제2중앙경찰학교, 어디로] 정치적 이해득실 따지다 제2중경 놓칠라
['무주공산' 제2중앙경찰학교, 어디로] 정치적 이해득실 따지다 제2중경 놓칠라

1. 1년 넘게 이어진 유치전, 현주소 2. 치열한 3파전… 최적지는 어디? 3. '왜 충남인가' 수요자의 의견은 4. 단일화 여론… 미동 없는 정치권 제2중앙경찰학교 1차 후보지 3곳 가운데 충남 아산이 입지 여건에서 뚜렷한 우위를 보이고 있지만 충남 내부의 단일화 논의는 좀처럼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지역 정치권이 이 문제에 사실상 침묵하면서 단일화 논의가 표류할 가능성까지 제기된다. 이에 지역 정치권의 시선이 내년 지방선거에 쏠려있어 정치적 이해득실을 따지는 것 아니냐는 비판도 거세지고 있다. 앞서 1일 김태흠 충남지사는..

국토부 서울·대전·부산·경기 원룸촌 조사… 허위·과장 의심광고 321건
국토부 서울·대전·부산·경기 원룸촌 조사… 허위·과장 의심광고 321건

청년층 거주 비율이 높은 대학가 원룸촌 부동산 매물 중 허위·과장 의심 광고가 321건에 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국토교통부는 10일 전국 대학가 원룸촌 10곳을 대상으로 인터넷 허위매물 광고를 점검한 모니터링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는 7월 21일부터 8월 22일까지 약 5주간 진행했으며, 대상 지역은 서울 5곳, 대전 1곳, 부산 2곳, 경기 1곳 등 10곳이었다. 대전의 경우엔 유성구 온천2동이 대상이었다. 네이버 부동산, 직방, 당근마켓 등 온라인 플랫폼과 유튜브, 블로그, 카페 등에 올려진 중개 대상물 표시·광고 등 1100..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치워야 할 생활쓰레기 ‘산더미’ 치워야 할 생활쓰레기 ‘산더미’

  • 579돌 한글날…대전서 울려퍼진 ‘사랑해요, 한글’ 579돌 한글날…대전서 울려퍼진 ‘사랑해요, 한글’

  • 긴 연휴 끝…‘다시, 일상으로’ 긴 연휴 끝…‘다시, 일상으로’

  • 한산한 귀경길 한산한 귀경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