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시에 따르면 2021년 2월 어린이, 여성, 노약자 등 취약계층의 안전한 귀가를 돕고, 각종 사고와 범죄로부터 시민들을 보호하기 위한 앱을 5600만원을 들여 개발해 배포했다고 밝혔다.
이 앱은 위급상황이나 비상상황이 발생할 경우 '긴급호출'버튼을 눌러 신속한 신고처리가 가능하고, 신고하면 도시통합운영센터에서 실시간으로 인근 CCTV 영상을 확인해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했다.
이와 함께 상주하는 경찰관에 도움으로 신속한 출동이 가능한 구조로 개발됐다.
하지만 앱에 대한 홍보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관내에서 발생하는 강력 사건과 비교해 이용하는 시민들이 미미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2023년 강력범죄 발생 건수는 6931건에 달했지만, 앱을 이용한 10대의 경우 246건, 20대 91건, 30대 71건, 40대 102건, 50대 32건, 60대는 단 15건에 그쳤다.
아울러 2024년에도 6555건의 강력범죄에도 10대 48건, 20대 64건, 30대 32건, 40대 81건, 50대 24건, 60대 11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1년간 이용자가 하루당 한 명도 못 미치지 못한 결과다.
이렇듯 시민의 외면 속에서도 유지관리비는 매년 600만원씩 지급되는 실정이다.
시 관계자는 "비슷한 앱을 운영하는 충남도는 이용률이 저조해 없애는 방향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그래도 사용하는 시민들이 있어 갑자기 천안 안심홈이 없어지면 혼란을 겪을 수 있다"고 했다. 이어 "더욱 많은 시민들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적극 홍보하겠다"고 말했다.
천안=하재원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하재원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