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1·2산업단지 인근에 거주하는 주민 10명 가운데 6명은 악취 등 환경피해를 입고, 절반은 다른 지역 이주를 희망해 주거환경 개선대책이 시급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 같은 사실은 대전환경운동연합과 대전충남환경기술센터가 공동으로 지난해 1·2산업단지 인근 대화, 읍내, 중리, 둔산, 삼천, 법동 등 주민 578명을 대상으로 한 ‘주민환경의식 조사 보고서’에서 밝혀졌다.
조사 결과 응답자 중 산업단지 인근지역에 계속 거주할 의사가 없다고 답한 주민이 47.9%(276명)에 달했으며, 이주하고 싶은 이유는 ▲자녀교육 및 양육환경불량 15.5%(89명) ▲생활환경악화로 삶의 질 저하 15.3%(87명) ▲오염물질에 따른 건강악화 14.4%(83명)순으로 나타나 환경문제가 대부분을 차지했다.
산업단지 입지로 주변지역에 거주하면서 생활피해를 본적이 있는지 여부를 묻는 질문에는 응답자의 62.3%(360명)가 ‘있다’고 답해 ‘없다’고 응답한 37.2%를 훨씬 상회했다.
피해유형은 조사대상 절반 가량인 48.9%(282명)가 악취를 꼽았으며 먼지 9.5%, 소음진동 3.3% 등이 뒤를 이었다.
이처럼 인근 주민들이 산업단지 환경피해를 호소하고 있지만 관계당국의 개선노력에 대해서는 미온적이라고 생각하는 주민들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조사대상 주민 52.4%이 산업단지 관리 행정이 ‘잘 안되고 있다’고 지적한 반면 ‘잘되고 있다’고 답한 주민은 1.2%(6명)에 불과했다. 대전환경운동연합 관계자는 “주민들의 환경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관계당국에서 더 많은 노력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