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영명 충남도 환경산림국장이 28일 오후 지천댐 건설 관련 기자회견을 열고 추진방향에 대해 설명했다. /사진=오현민 기자 |
김영명 도 환경산림국장은 28일 오후 도청 프레스센터에서 지천댐 추진 방향에 대해 설명했다.
먼저 김 국장은 최근 기록적인 폭우로 청양·부여지역도 피해를 입었다며 지천댐은 이러한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근본적인 대책이라고 주장했다.
청양·부여지역은 3년 연속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되는 등 호우 피해 취약한 것으로 확인됐다. 피해액 역시 매년 200억 원을 훌쩍 넘는다.
청양의 경우 2022년 251억 원, 2023년 378억 원이며, 부여는 2022년 264억 원, 2023년 310억 원, 2024년 264억 원의 피해를 입은 바 있다.
김 국장은 "올해에도 집중호우로 인해 지천교의 기준수위를 넘어 청양·부여 일대에 홍수주의보와 홍수경보가 발령됐다"며 "해당 지역에서 소하천 제방유실, 농작물 피해 등 현재까지 파악된 피해금액만 234억 원 정도"라고 말했다.
가뭄도 마찬가지다. 올해 5월 환경부가 수립한 금강권역 하천유역수자원 관리계획에 따르면 생활용수·공업용수가 약 2억t이 부족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실제 청양과 부여지역은 극심한 가뭄으로 인해 제한급수를 시행한 바 있다.
이에 김 국장은 "지천댐을 건설하면 1900만t의 홍수조절 능력과 연간 5500만t의 용수 공급량을 확보하게 돼 집중호우와 극심한 가뭄에 대응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지역 언론 3사가 공동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도 언급했다.
최근 중도일보·충청투데이·대전일보가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에 의뢰한 결과 전체 응답자의 62.9%가 지천댐 건설에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는 이번 여론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정부 설득과 함께 지천댐이 단순한 수자원 인프라를 넘어 지역발전과 주민 삶의 질 향상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지천댐 종합지원 방안'을 수립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해당 계획안에는 주민 수익사업 발굴, 이주대책, 생태보전, 관광활성화 등 주민 의견을 반영한 맞춤형 지원대책을 담을 방침이다.
끝으로 김 국장은 "지천댐 전과정에서 주민 참여와 소통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지천댐 지역 협의체 운영을 통해 주민 우려사항을 경청하고 해소해 나가겠다"며 "지천댐은 갈등의 원인이 아닌 지역 번영을 위한 공동의 해법이 될 수 있도록 도정의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내포=오현민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