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노인성 질환으로 알려진 치매가 연령대를 낮춰 30~50대에서 발병이 급증해 ‘젊은 치매’로 네티즌들의 눈길을 모으고 있다.
지난 1일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30∼50대 젊은 치매 환자는 지난 2006년 4055명에서 지난해 7768명으로 크게 급증했다.
특히 50대의 경우 지난 2006년 3179명에서 지난해 6547명으로 2배 이상 급증한 것으로 나타난 것. 대개 알츠하이머 치매가 50∼60%, 전두·측두엽 치매가 20%, 혈관성 치매가 15∼20%를 차지한다.
65세 미만에서 발생하는 초로기 치매 혹은 조발성 치매는 뇌의 전두·측두엽 손상이 원인이 되어 인지·언어 기능이 저하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젊은 치매’는 유전적 요인과 함께 음주나 흡연, 스트레스 등 사회·환경적 요인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젊은 치매는 노인 치매보다 발병 및 유병률이 상대적으로 낮지만 질병에 따른 가족들의 간병 및 경제적 부담이 더 커 문제가 되고 있다./뉴미디어부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