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도칼럼] “네가 원하는 삶을 살아라”

  • 오피니언
  • 중도칼럼

[중도칼럼] “네가 원하는 삶을 살아라”

  • 승인 2017-06-07 11:41
  • 신문게재 2017-06-08 22면
  • 김상인 대덕대 총장김상인 대덕대 총장
▲ 김상인 대덕대 총장
▲ 김상인 대덕대 총장
일상의 삶이 힘들거나 일이 뜻대로 풀리지 않을 때 사람들은 기도를 하거나, 책을 읽기도 하며, 훌쩍 여행길을 떠나기도 한다. 갑자기 남해 보리암에 가면 무겁고 답답한 마음을 내려놓을 수 있을 것 같은 생각이 들어 집사람하고 둘이서 집을 나섰다. 정호승 시인은 선암사 해우소에서 쭈그리고 앉아 실컷 울면서 삶의 짐들을 벗어 던졌다지만, 나는 금산 보리암 해수관음보살님께 엎드려 절하면서 따뜻한 위로를 받았다. 집으로 돌아오는 길은 6월의 초록으로 가득한 산과 들, 그리고 아름다운 강을 굽어보는 조금은 여유로운 여행길이 되었다.

티찌아노 테르짜니가 죽음을 앞두고 아들과 나눈 이야기를 기록한 책 『네 마음껏 살아라』를 읽었다. 말기암으로, 아쉬울 수도 있는 66세에 인생의 종착역을 향해 가고 있는 티찌아노에게, 부인이 “누가 10년을 더 살 수 있는 약을 준다면 받겠어요?”라고 물으니 “아니! 나는 그런 약 안 먹는다. 10년이나 더 살고 싶은 생각은 없어… 자연을 봐라. 숲에서 지저귀는 뻐꾸기 소리, 나뭇잎 사이를 파고드는 바람소리… 독특한 생명으로 가득 찬 협주곡이지!”라고 답한다. 그러면서 죽음과 더불어 잃어버릴 우리의 정체성이라고 착각했던 것들, 즉 교수, 총장, 변호사 등 우리의 사회적 지위는 물론이고 우리가 소유한 모든 것들이 모두 없어지게 된다는 것이다. 최진석 교수의 표현을 빌리면, “우리의 삶은 과거의 성인이나 관습이 만들어 놓은 보편적 이념이나 윤리기준에 맞추어 살지 말고 개별적 주체로서 내 스스로가 되겠다는 결심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한 미국사업가가 멕시코에 있는 조그만 어촌에서 휴가를 보내고 있었다. 항구로 들어온 작은 고깃배에서 다랑어 몇 마리를 든 젊은 어부가 걸어 나오자 사업가가 물었다. “물고기 잡는 데 시간이 얼마나 걸렸소?” 서너 시간 남짓 걸렸다는 답변에 몇 시간 더 하면 더 많은 고기를 잡을 수 있을 텐데요 하니, 어부 왈, “이것으로도 우리가족에게 충분해요.” 사업가가 정색을 하고 말한다. “그럼 하루 서너 시간 일하고 남는 시간엔 뭘 하오?”라고 물으니, “아이들이랑 놀아 주고, 늦잠도 자고, 마을에 나가서 친구들과 기타도 치고 노래도 하지요”라고 답한다. “아니, 그렇게 귀중한 시간을 낭비한단 말이요. 나는 하버드대학에서 MBA공부를 했는데 당신이 돈을 더 많이 벌 수 있도록 도와주겠소. 우선 매일 고기 잡는 시간을 몇 시간 더 늘리시오. 그래서 돈을 모아 더 큰 배를 사고, 잡은 고기들을 중개상에게 팔지 말고, 직접 통조림 공장을 만들어 당신이 잡은 물고기는 물론 주민들이 잡은 물고기까지 가공해서 팔면 큰돈을 벌 수 있을 거요.” 어부가 조심스럽게, “그렇게 되려면 시간이 얼마쯤 걸리나요?” 하니 “한 20년 아니 운이 좋으면 15년 내에도 가능하겠지요.” “그러면 그 돈은 어디에 쓰나요?” 사업가가 어깨를 으쓱하면서 “은퇴해서 경치 좋은 해안가 마을에 별장을 짓고 살면서, 손주들과 놀아 주기도 하고 늦잠도 자고, 마을에 나가서 술도 한잔하고 노래도 할 수 있지요.” 어부 왈, “그런 거라면 지금 내가 하고 있는 것이 아니요?”

지금 이 나이에 그리고 이 자리에서, 인생을 고민하는 세상의 젊은이들에게 간디처럼 “내 삶이 곧 내 메시지이다”라고 감히 이야기할 자신은 없다. 그렇지만, 지금까지 가슴 한켠에 감추어 두었던 묵은 화두 “나는 누구이며, 이 삶을 어떻게 살 것인가”를 늘 참구해 오며 내 나름대로는 삶의 의미에 대해 생각하는 것은 있다. 작년까지 33년 동안 공직자로 그리고 지금은 대학의 총장으로 일해 오면서, 이것이 진정으로 내가 원하는 일인가라는 회의가 들 때도 없지는 않았다. 하지만, 진실로 열정을 쏟아 가꾸려고 노력했던 것은 나의 삶 자체였다고 자신 있게 말할 수 있다. 주어진 이념과 가치에 목숨을 걸지 않고, 나와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이 현실을 어떻게 하면 좀 더 좋게 바꾸어 볼 수 있을까를 고민해 왔다. 티찌아노가 아들 풀코에게 건네는 마지막 조언이다. “너는 네가 원하는 대로 될 수 있단다. 그것은 누구나 할 수 있는 아주 쉬운 일이지.”

김상인 대덕대 총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충남교육청평생교육원, '2025년 평생학습주간 축제' 개최
  2. 백석문화대, 뉴질랜드 글로벌 현장학습 파견… 보건의료 인재 육성 가속
  3. 단국대 C-RISE사업단, 지역혁신 우수사례 경진대회 최우수상
  4. 상명대, 카자흐스탄 대학들과 웹툰학과 개설 교류협력 협약
  5. 한기대 RISE사업단, '2025 산학연협력 EXPO' 참가
  1. 조원휘 대전시의장 “공공기관 2차 지방이전 신속 추진해야”
  2. 대전·세종·충청지방공인회계사회, ‘제8회 회계의 날’ 기념행사 개최
  3. "야구 참 어렵다"…김경문 한화 감독, 한국시리즈 5차전 총력 다짐
  4. 한국시리즈 5차전 앞둔 한화 김경문 감독, "류현진도 던질 수도…모든 걸 준비할 것"
  5. '빛 바랜 와이스의 완벽 투구'…한화 이글스, 한국시리즈 4차전 LG 트윈스에 패배

헤드라인 뉴스


`뜨거웠던 한 가을밤의 꿈`…한화 이글스, 한국시리즈 준우승 마무리

'뜨거웠던 한 가을밤의 꿈'…한화 이글스, 한국시리즈 준우승 마무리

프로야구 한화 이글스가 2006년 이후 19년 만에 치른 KBO 포스트시즌 한국시리즈를 준우승으로 마무리했다. LG 트윈스는 한화를 1-4로 꺾으며 정규 리그 우승과 한국시리즈 우승의 영광을 함께 안았다. 한화는 31일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열린 2025 프로야구 KBO 포스트시즌 한국시리즈 5차전에서 LG를 맞아 1-4로 패배했다. 한화는 이날 경기에서 문동주-정우주-황준서-김종수-조동욱-주현상-류현진 등 가용 가능한 모든 불펜 자원을 동원해 총력을 기울였지만, 막강한 화력을 자랑하는 LG의 타선을 막아내기엔 역부족이었다. 시리..

"야구 참 어렵다"…김경문 한화 감독, 한국시리즈 5차전 총력 다짐
"야구 참 어렵다"…김경문 한화 감독, 한국시리즈 5차전 총력 다짐

"반드시 이겼어야 하는 경기를 이기지 못했다. 야구 참 어렵다." 김경문 한화 이글스 감독은 30일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열리는 '2025 신한 SOL뱅크 KBO 포스트시즌 한국시리즈(KS·7전 4선승제)' LG 트윈스와의 4차전을 패배한 뒤 취재진과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했다. 한화는 이날 선발 투수 와이스의 호투에 힘입어 경기 후반까지 주도권을 챙겼지만, 9회에 LG에 역전을 허용하며 4-7로 패했다. 와이스와 교체해 구원 투수로 나선 김서현의 부진에 김 감독은 "할 말이 크게 없다. 8회에는 잘 막았다"라며 아쉬움을 드러냈다..

대전시, 상장사 성장 지원 본격화… 전 주기 지원체계 가동
대전시, 상장사 성장 지원 본격화… 전 주기 지원체계 가동

'일류경제도시 대전'이 상장기업 육성에 속도를 내며 명실상부한 비수도권 상장 허브 도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대전시는 지역 기업의 상장(IPO) 준비부터 사후관리까지 전 주기 지원체계를 구축해 기업 성장의 선순환 구조를 강화할 계획이다. 대전시는 2022년 48개이던 상장기업이 2025년 66개로 늘어나며 전국 광역시 중 세 번째로 많은 상장사를 보유하고 있다. 시는 이러한 성장세가 일시적 현상에 그치지 않도록 체계적인 지원과 시민 인식 제고를 병행해 '상장 100개 시대'를 앞당긴다는 목표다. 2025년 '대전기업상장지원센터 운영..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가성비 좋은 겨울옷 인기 가성비 좋은 겨울옷 인기

  • 겨울철 대비 제설작업 ‘이상무’ 겨울철 대비 제설작업 ‘이상무’

  • 중장년 채용박람회 구직 열기 ‘후끈’ 중장년 채용박람회 구직 열기 ‘후끈’

  •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한화 팬들의 응원 메시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