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난순의 식탐]나이보다 떡국

  • 전국

[우난순의 식탐]나이보다 떡국

  • 승인 2018-02-15 00:38
  • 우난순 기자우난순 기자
a10328460
게티이미지 제공
추위를 많이 타는 겨울을 달가워하지 않지만 좋은 것도 있다. 펑펑 날리는 눈과 떡국. 뭐 요즘에는 사시사철 시장이나 마트에 가면 언제든지 떡국떡을 사다 해먹을 수 있다. 허나 떡국은 온전히 겨울에 먹어야 맛있다.

먹는 거라면 누구에게도 지지 않을 정도로 식탐이 많지만 난 요리에는 큰 재주가 없다. 입맛도 시골스러워 집에서 해먹는 건 한정돼 있다. 김치찌개, 된장찌개와 국, 미역국 등과 야채를 이용한 간단한 요리가 전부다. 라면 수제비도 종종 해먹었으나 밀가루가 장에 좋지 않다는 의사의 조언으로 지금은 아주 가끔 먹는다. 초년의 입맛은 평생을 간다고 했다. 그래서인지 성인이 되면서부터는 어릴 적 엄마가 해 준 음식이 당긴다.

초겨울 시골 집에서 김장용 배추김치, 총각김치, 파김치를 가져와 냉장고에 가득 넣으면 한 겨울 반찬 걱정은 끝이다. 냉장고를 열어 볼 때마다 흐뭇한 눈으로 그것들을 쓰다듬어 보곤 한다. 떡국이 생각나는 계절이다. 겨울이 오면 떡국떡을 사는 단골 떡집이 있다. 우선 떡국떡을 찻물에 담가놓고 육수를 끓인다. 다시마와 멸치를 넣고 만든 육수에 떡살을 넣어 어느 정도 익으면 다진 마늘을 넣는다. 떡국이 거의 다 되면 계란을 풀어 넣고 휘휘 저어준다. 마지막으로 깨소금 듬뿍 뿌리고 김을 가위로 잘라 올린다. 난 짠 걸 싫어해서 소금은 따로 넣지 않는다. 육수만으로도 간간하기 때문이다. 아 참, 홍합도 넣으면 정말 맛있다. 반찬은 사곰사곰 익은 배추김치 하나면 된다. 떡국 두 그릇에 김치 한 보시기로 그날 저녁은 거한 만찬인 셈이다.

이제 모든 게 기계화가 된 요즘, 진한 설 풍경은 찾아보기 힘들다. 제사음식도 웬만하면 시장이나 마트에서 사오고 북새통을 떨던 방앗간은 사라진 지 오래다. 설이 오면 시끌벅적한 떡방앗간 풍경이 생각난다. 가래떡 빼러 갈 때 늘 엄마를 따라가곤 했다. 물에 불린 쌀이 쫀득한 가래떡으로 끊임없이 나오는 모습은 어린 나이에 아무리 봐도 신기하기만 했다. 방앗간 주인이 김이 펄펄 나는 가래떡을 일정한 간격으로 끊는 건 대단한 기술을 요하는 것처럼 보였다. 엄마는 옆에서 주인이 잘라주는 떡을 부지런히 양은 대야에 담다가 하나를 집어 내게 먹으라고 건넨다.



가래떡이 살짝 굳으면 간식으로도 그만이다. 조청을 듬뿍 찍어 먹으면 그 맛이란 둘이 먹다 하나 죽어도 모른다. 조청은 식혜물을 가마솥에서 하루종일 주걱으로 저어가며 뭉근히 끓여야 한다. 도 닦듯이 끈기를 요한다. 짙은 갈색으로 굳으면 달콤하고 구수한 조청이 된다. 많이 만들 수 없는 귀한 꿀이기 때문에 엄마는 조그마한 항아리에 담아 찬장 깊은 곳에 숨겨 놓는다. 내 눈에 발견되면 도둑고양이처럼 몰래몰래 훔쳐먹기 때문이다. 식구들이 없는 틈을 타 검지 손가락을 조청 항아리에 쑥 집어넣어 묻힌 조청을 누가 볼세라 재빨리 핥아먹을 때의 스릴이란….

설날 아침이면 으레 엄마가 속상해 하는 일이 있었다. 큰언니는 떡국을 좋아하지 않았다. 큰언니는 엄마에게 도시로 일찍 나가 직장에 다니느라 고생해서 늘 맘이 쓰이는 맏딸이었다. 그런 딸이 오랜만에 설에 와서 잘 먹지도 않으니 엄마는 속이 상할 수밖에 없었다. 엄마는 명절만 되면 이 세상에 없는 언니 얘기를 한다. 엄마에겐 제일 맘이 걸리는 자식이다. 부모로서 못해 준 것만 생각나는 모양이다. 부모 맘이란 그런 걸까.

즐거운 설이 왔다. 명절은 내겐 포식하는 날이다. 혼자 살며 해먹는 밥이란 사실 그저 그렇다. 간소하기 이를 데 없다. 대개 1식 3찬도 안 된다. 찌개 하나에 구운 김 정도 놓고 먹는다. 설이 다가오면 엄마에게 떡국 노래를 한다. 엄마는 "넌 맨날 밥도 안 먹고 사니?"라며 혀를 끌끌 찬다. 설 아침에 내가 먹는 떡국은 두 그릇은 기본이다. 떡국 수대로 나이를 친다면 난 100살이 훌쩍 넘는다. 아무려면 어떠냐. 나이보다 떡국이다.
우난순 기자 rain4181@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갑천 야경즐기며 워킹' 대전달빛걷기대회 5월 10일 개막
  2. 수도 서울의 높은 벽...'세종시=행정수도' 골든타임 놓치나
  3. 충남 미래신산업 국가산단 윤곽… "환황해권 수소에너지 메카로"
  4. 이상철 항우연 원장 "한화에어로 지재권 갈등 원만하게 협의"
  5. [근로자의 날] 작업복에 묻은 노동자 하루…"고된 흔적 싹 없애드려요"
  1. 충청권 학생 10명 중 3명이 '비만'… 세종 비만도 전국서 가장 낮아
  2. 대학 10곳중 7곳 올해 등록금 올려... 평균 710만원·의학계열 1016만원 ↑
  3. 함께 새마을, 미래로! 세계로!
  4. [춘하추동]삶이 힘든 사람들을 위하여
  5. 2025 세종 한우축제 개최...맛과 가격, 영양 모두 잡는다

헤드라인 뉴스


[근로자의 날] 작업복에 묻은 노동자 하루…"고된 흔적 싹 없애드려요"

[근로자의 날] 작업복에 묻은 노동자 하루…"고된 흔적 싹 없애드려요"

"이제는 작업복만 봐도 이 사람의 삶을 알 수 있어요." 28일 오전 9시께 매일 고된 노동의 흔적을 깨끗이 없애주는 세탁소. 커다란 세탁기 3대가 쉴 틈 없이 돌아가고 노동자 작업복 100여 벌이 세탁기 안에서 시원하게 묵은 때를 씻어낼 때, 세탁소 근로자 고모(53)씨는 이같이 말했다. 이곳은 대전 대덕구 대화동에서 4년째 운영 중인 노동자 작업복 전문 세탁소 '덕구클리닝'. 대덕산업단지 공장 근로자 등 생산·기술직 노동자들이 이용하는 곳으로 일반 세탁으로는 지우기 힘든 기름, 분진 등으로 때가 탄 작업복을 대상으로 세탁한다...

`운명의 9연전`…한화이글스 선두권 경쟁 돌입
'운명의 9연전'…한화이글스 선두권 경쟁 돌입

올 시즌 절정의 기량을 선보이는 프로야구 한화이글스가 9연전을 통해 리그 선두권 경쟁에 돌입한다. 한국프로야구 10개 구단은 29일부터 다음 달 7일까지 '휴식 없는 9연전'을 펼친다. KBO리그는 통상적으로 잔여 경기 편성 기간 전에는 월요일에 경기를 치르지 않지만, 5월 5일 어린이날에는 프로야구 5경기가 편성했다. 휴식일로 예정된 건 사흘 후인 8일이다. 9연전에서 가장 주목하는 경기는 29일부터 5월 1일까지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열리는 LG 트윈스와 승부다. 리그 1위와 3위의 맞대결인 만큼, 순위표 상단이 한순간에 뒤바..

학교서 흉기 난동 "학생·학부모 불안"…교원단체 "재발방지 대책"
학교서 흉기 난동 "학생·학부모 불안"…교원단체 "재발방지 대책"

학생이 교직원과 시민을 상대로 흉기 난동을 부리고, 교사가 어린 학생을 살해하는 끔찍한 사건이 잇따라 발생하면서 학생·학부모는 물론 교사들까지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경찰과 충북교육청에 따르면 28일 오전 8시 33분쯤 청주의 한 고등학교에서 특수교육대상 2학년 A(18) 군이 교장을 비롯한 교직원 4명과 행인 2명에게 흉기를 휘둘러 A 군을 포함한 모두 7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경계성 지능을 가진 이 학생은 특수교육 대상이지만, 학부모 요구로 일반학급에서 공부해 왔다. 가해 학생은 사건 당일 평소보다 일찍 학교에 도착해 특..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2025 유성온천 문화축제 5월 2일 개막 2025 유성온천 문화축제 5월 2일 개막

  • 오색 연등에 비는 소원 오색 연등에 비는 소원

  • ‘꼭 일하고 싶습니다’ ‘꼭 일하고 싶습니다’

  • 함께 새마을, 미래로! 세계로! 함께 새마을, 미래로! 세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