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난순의 식탐]휴일의 김치찌개

  • 오피니언
  • 우난순의 식탐

[우난순의 식탐]휴일의 김치찌개

  • 승인 2018-11-28 10:36
  • 신문게재 2018-11-29 22면
  • 우난순 기자우난순 기자
밥상 2
한 자리에서 라면 6개를 끓여 후루룩 마시다시피하는 강호동 정도는 아니지만 나도 나름 대식가에 속한다. 음식 앞에서 질보다는 양을 따지는 편이다. 어쩔 수 없는 습성이다. 어릴 적엔 엔간히 음식투정을 부렸지만 고등학교 때 자취생활 하면서 그 버릇이 싹 없어졌다. 대학생 언니랑 자취했는데 생활비가 넉넉지 않아 맘껏 못먹어 늘 허기졌다. 먹어도 먹어도 배가 고팠다. 아마 고기를 못 먹어서 그러지 않았을까 싶다. 밥상이 늘 '그린필드'였으니까 말이다. 계란 프라이도 하나만 해서 반씩 나눠먹었다. 김치찌개에 들어가는 건 오뎅이 전부였다. 돼지고기는 엄두도 못 내던 시절이었다. 지금은 재밌는 추억거리다.

가리는 거 없이 다 잘먹는 먹보지만 분명히 싫어하는 것도 있다. 이것저것 섞는 건 딱 질색이다. 그런데 요즘은 그게 트렌드인 것 같다. 한때 학문에서도 통섭이 대세였다. 이걸 모르면 대화의 자리에 끼지 못할 정도였으니 음식도 그렇게 따라가는 모양이다. 어떤 음식은 육·해·공이 다 들어가기도 한다. 삼계탕에 전복이 들어가고 소갈비찜에 문어, 꿩고기가 들어가던가, 하여간 진시황 식탁이 부럽지 않은 화려한 요리 일색이다. 제과회사에서 만드는 건 어떤가. 초콜릿에 씨앗이나 과자 부스러기를 넣고 초코·딸기우유가 더 잘 팔린다. 내 입맛이 촌스러워서인지 그냥 아무것도 안 들어간 초콜릿이 좋고 흰 우유를 찾는다. 편집부 후배 중에 초코·딸기우유 왕 팬이 있는데 이걸 많이 먹어서 예쁜 건가 하는 생각이 들 때도 있다.

초년의 입맛은 평생을 간다고 했다. 요즘들어 부쩍 어릴 적 먹던 음식이 당긴다. 이왕이면 고린내 팍팍 나는 청국장이 맛있고, 한겨울엔 엄마가 끓여주던 비지국이 그렇게 생각날 수가 없다. 음식을 계절별로 치면 봄이 제일 좋다. 산과 들 온갖 나물 천지 아닌가. 봄나물은 향이 강하고 다양해 입맛을 돋운다. 불미나리, 씀바귀, 냉이, 가죽나무 순, 오갈피 잎, 두릅, 쑥, 머위…. 내 요리 솜씨는 형편없지만 한가지 깨달은 건 있다. 나물은 양념을 최소화해야 한다는 것. 그래야 재료 본래의 맛을 해치지 않는다. 내가 쓰는 양념은 된장, 고추장과 깨소금 정도? 그것도 아주 조금 넣는다.

직장에 다니니까 아무래도 식당밥을 많이 먹는다. 기름지고 자극적이고 맵고 짜고 단 맛을 피하기 어렵다. 음식은 그래야 잘 팔린다. 다들 집밥같은 식당밥을 원한다지만 막상 음식이 슴슴하면 뭐가 안 들어갔네, 맛이 없네 툴툴거린다. 회사에서의 일은 취미가 아니다. 엄연히 노동이다. 먹고 사는 문제가 달렸다. 당연히 힘들고 스트레스를 받을 수밖에 없다. 많은 사람들이 그래서 먹는 걸로 지친 하루를 달랜다. 요즘 먹방이 왜 유행이겠는가. 모든 채널이 음식에 목숨 건다. 기름이 뚝뚝 떨어지는 고열량의 음식을 산더미만큼 쌓아놓고 누가 더 많이, 빨리 먹나로 내기를 걸듯이 말이다. 설탕으로 범벅된 디저트도 절대 빼놓을 수 없다. 안방에서 그걸 보는 시청자는 대리만족을 느끼며 행복감에 젖는다.



지난 주말 칼칼한 김치찌개가 먹고 싶어졌다. 전날 저녁에 구워 먹은 소고기의 기름이 이마에 띠를 두른 것처럼 개운하지 않아서였다. 신김치에 왕 멸치와 두부만 넣었다. 그것 뿐이다. 돼지고기와 다른 부재료는 일절 넣지 않았다. 따로 양념도 하지 않았다. 기본에 충실했다고 해야 할까. 그렇게 밥 한 공기와 김치찌개만으로 점심을 먹었다. 현미가 들어간 밥을 김치찌개와 함께 입에 넣고 천천히 꼭꼭 씹어서 먹었다. 몸에 달라붙은 찌꺼기가 떨어져 나가는 것처럼 상쾌했다. 단순함은 늘 옳다. 내가 추구하는 삶의 방식이다. 때때로 그게 뜻대로 안돼서 머리가 터질 것처럼 골이 띵띵하지만 어쩔 수 없는 노릇이다. 그럴 땐 이 담백한 김치찌개로 속풀이 하면 되지 뭐. <미디어부 부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1기 신도시 재건축 '판 깔렸지만'…못 웃는 지방 노후계획도시
  2. 밀알복지관 가족힐링캠프 '함께라서 행보캠'
  3.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
  4. 축산업의 미래, 가축분뇨 문제 해결에 달렸다
  5. 교정시설에서 동료 수형자 폭행 '실형'…기절시켜 깨우는 행위 반복
  1. 대전행복나눔무지개푸드마켓 1호점 공식 카카오톡 채널 개설
  2. 농산 부산물, 부가가치 창출...환경과 경제 살리는 동력
  3. 어촌서 재충전, '쉬어(漁)가요' 프로그램 참가자 모집
  4. 챗봇 '해수호봇', 해양안전 디지털 혁신 이끈다
  5. 정부 부동산 대책 지방 위한 추가대안 마련 시급

헤드라인 뉴스


정청래 국회연설 "내란청산은 정치보복이 아니다"

정청래 국회연설 "내란청산은 정치보복이 아니다"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는 9일 “남북이 다시 손잡는 핵심은 경제협력이고, 우리는 경제통일에 민생통일을 추가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 “통일부가 2026년 남북협력기금으로 1조 25억원을 편성했다. 주목할 것은 경제협력사업 예산으로, 606억원에서 1789억원으로 세 배가량 증가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개성공단과 같은 경제협력 사업의 재개를 위해 필요한 도로와 폐수 시설 같은 복구와 구축 사업 예산”이라며 “남북이 힘을 합치면 경제 규모도 커지고 일자리도 늘어나고, 동..

국내 증시 조정에도…충청권 상장사는 `선방`
국내 증시 조정에도…충청권 상장사는 '선방'

새 정부 출범 이후 가파른 상승세를 타던 국내 증시가 최근 조정 국면을 맞고 있지만, 충청권 상장사들은 비교적 선방하고 있다. 전체적인 시장의 침체 분위기 속 8월 한 달 간 충청권 상장법인의 시가총액 합계는 전월 대비 0.3%(4074억 원) 증가한 152조 3402억 원에 도달했다. 한국거래소 대전혁신성장센터가 9일 발표한 대전·충청지역 상장사 증시 동향에 따르면 8월 충청권 상장법인의 시가총액은 152조 3402억 원으로 전월(151조 9328억 원) 대비 0.3% 증가했다. 8월 한 달 동안 대전·세종·충남 지역의 시총은 근..

대전 공기업 임원 교체 `바람` 불까…대전관광공사 임원 교체 가닥
대전 공기업 임원 교체 '바람' 불까…대전관광공사 임원 교체 가닥

민선 8기 대전시 출범 이후 임명된 시 산하 공기업 임원이 속속 임기를 마치면서 연임과 교체의 '갈림길'에 놓였다. 이장우 시장의 임기가 1년도 남지 않은 상황에서 물갈이를 통한 조직 변화를 꾀할지, 연장으로 막바지 조직 안정화를 선택할지에 대한 관심이 쏠린다. 9일 대전시에 따르면 시 출자·출연 기관장은 시장과 임기를 같이 하기로 조례로 정했지만, 시 산하 공기업은 지방공기업법을 적용받아 이와 무관하다. 이에 민선 8기 출범 이후 임명된 시 산하 공기업 임원들의 3년 임기가 순차적으로 끝나고 있다. 대전관광공사는 임원 교체 분위기..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올바른 손씻기로 식중독 예방해요’ ‘올바른 손씻기로 식중독 예방해요’

  • 전통시장 화재안전 집중조사 전통시장 화재안전 집중조사

  • ‘한국의 情을 고향에 전하세요’ ‘한국의 情을 고향에 전하세요’

  •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