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난순의 식탐]휴일의 김치찌개

  • 오피니언
  • 우난순의 식탐

[우난순의 식탐]휴일의 김치찌개

  • 승인 2018-11-28 10:36
  • 신문게재 2018-11-29 22면
  • 우난순 기자우난순 기자
밥상 2
한 자리에서 라면 6개를 끓여 후루룩 마시다시피하는 강호동 정도는 아니지만 나도 나름 대식가에 속한다. 음식 앞에서 질보다는 양을 따지는 편이다. 어쩔 수 없는 습성이다. 어릴 적엔 엔간히 음식투정을 부렸지만 고등학교 때 자취생활 하면서 그 버릇이 싹 없어졌다. 대학생 언니랑 자취했는데 생활비가 넉넉지 않아 맘껏 못먹어 늘 허기졌다. 먹어도 먹어도 배가 고팠다. 아마 고기를 못 먹어서 그러지 않았을까 싶다. 밥상이 늘 '그린필드'였으니까 말이다. 계란 프라이도 하나만 해서 반씩 나눠먹었다. 김치찌개에 들어가는 건 오뎅이 전부였다. 돼지고기는 엄두도 못 내던 시절이었다. 지금은 재밌는 추억거리다.

가리는 거 없이 다 잘먹는 먹보지만 분명히 싫어하는 것도 있다. 이것저것 섞는 건 딱 질색이다. 그런데 요즘은 그게 트렌드인 것 같다. 한때 학문에서도 통섭이 대세였다. 이걸 모르면 대화의 자리에 끼지 못할 정도였으니 음식도 그렇게 따라가는 모양이다. 어떤 음식은 육·해·공이 다 들어가기도 한다. 삼계탕에 전복이 들어가고 소갈비찜에 문어, 꿩고기가 들어가던가, 하여간 진시황 식탁이 부럽지 않은 화려한 요리 일색이다. 제과회사에서 만드는 건 어떤가. 초콜릿에 씨앗이나 과자 부스러기를 넣고 초코·딸기우유가 더 잘 팔린다. 내 입맛이 촌스러워서인지 그냥 아무것도 안 들어간 초콜릿이 좋고 흰 우유를 찾는다. 편집부 후배 중에 초코·딸기우유 왕 팬이 있는데 이걸 많이 먹어서 예쁜 건가 하는 생각이 들 때도 있다.

초년의 입맛은 평생을 간다고 했다. 요즘들어 부쩍 어릴 적 먹던 음식이 당긴다. 이왕이면 고린내 팍팍 나는 청국장이 맛있고, 한겨울엔 엄마가 끓여주던 비지국이 그렇게 생각날 수가 없다. 음식을 계절별로 치면 봄이 제일 좋다. 산과 들 온갖 나물 천지 아닌가. 봄나물은 향이 강하고 다양해 입맛을 돋운다. 불미나리, 씀바귀, 냉이, 가죽나무 순, 오갈피 잎, 두릅, 쑥, 머위…. 내 요리 솜씨는 형편없지만 한가지 깨달은 건 있다. 나물은 양념을 최소화해야 한다는 것. 그래야 재료 본래의 맛을 해치지 않는다. 내가 쓰는 양념은 된장, 고추장과 깨소금 정도? 그것도 아주 조금 넣는다.

직장에 다니니까 아무래도 식당밥을 많이 먹는다. 기름지고 자극적이고 맵고 짜고 단 맛을 피하기 어렵다. 음식은 그래야 잘 팔린다. 다들 집밥같은 식당밥을 원한다지만 막상 음식이 슴슴하면 뭐가 안 들어갔네, 맛이 없네 툴툴거린다. 회사에서의 일은 취미가 아니다. 엄연히 노동이다. 먹고 사는 문제가 달렸다. 당연히 힘들고 스트레스를 받을 수밖에 없다. 많은 사람들이 그래서 먹는 걸로 지친 하루를 달랜다. 요즘 먹방이 왜 유행이겠는가. 모든 채널이 음식에 목숨 건다. 기름이 뚝뚝 떨어지는 고열량의 음식을 산더미만큼 쌓아놓고 누가 더 많이, 빨리 먹나로 내기를 걸듯이 말이다. 설탕으로 범벅된 디저트도 절대 빼놓을 수 없다. 안방에서 그걸 보는 시청자는 대리만족을 느끼며 행복감에 젖는다.



지난 주말 칼칼한 김치찌개가 먹고 싶어졌다. 전날 저녁에 구워 먹은 소고기의 기름이 이마에 띠를 두른 것처럼 개운하지 않아서였다. 신김치에 왕 멸치와 두부만 넣었다. 그것 뿐이다. 돼지고기와 다른 부재료는 일절 넣지 않았다. 따로 양념도 하지 않았다. 기본에 충실했다고 해야 할까. 그렇게 밥 한 공기와 김치찌개만으로 점심을 먹었다. 현미가 들어간 밥을 김치찌개와 함께 입에 넣고 천천히 꼭꼭 씹어서 먹었다. 몸에 달라붙은 찌꺼기가 떨어져 나가는 것처럼 상쾌했다. 단순함은 늘 옳다. 내가 추구하는 삶의 방식이다. 때때로 그게 뜻대로 안돼서 머리가 터질 것처럼 골이 띵띵하지만 어쩔 수 없는 노릇이다. 그럴 땐 이 담백한 김치찌개로 속풀이 하면 되지 뭐. <미디어부 부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갑천 야경즐기며 워킹' 대전달빛걷기대회 5월 10일 개막
  2. 수도 서울의 높은 벽...'세종시=행정수도' 골든타임 놓치나
  3. 충남 미래신산업 국가산단 윤곽… "환황해권 수소에너지 메카로"
  4. 이상철 항우연 원장 "한화에어로 지재권 갈등 원만하게 협의"
  5. [근로자의 날] 작업복에 묻은 노동자 하루…"고된 흔적 싹 없애드려요"
  1. 충청권 학생 10명 중 3명이 '비만'… 세종 비만도 전국서 가장 낮아
  2. 대학 10곳중 7곳 올해 등록금 올려... 평균 710만원·의학계열 1016만원 ↑
  3. 함께 새마을, 미래로! 세계로!
  4. [춘하추동]삶이 힘든 사람들을 위하여
  5. 2025 세종 한우축제 개최...맛과 가격, 영양 모두 잡는다

헤드라인 뉴스


[근로자의 날] 작업복에 묻은 노동자 하루…"고된 흔적 싹 없애드려요"

[근로자의 날] 작업복에 묻은 노동자 하루…"고된 흔적 싹 없애드려요"

"이제는 작업복만 봐도 이 사람의 삶을 알 수 있어요." 28일 오전 9시께 매일 고된 노동의 흔적을 깨끗이 없애주는 세탁소. 커다란 세탁기 3대가 쉴 틈 없이 돌아가고 노동자 작업복 100여 벌이 세탁기 안에서 시원하게 묵은 때를 씻어낼 때, 세탁소 근로자 고모(53)씨는 이같이 말했다. 이곳은 대전 대덕구 대화동에서 4년째 운영 중인 노동자 작업복 전문 세탁소 '덕구클리닝'. 대덕산업단지 공장 근로자 등 생산·기술직 노동자들이 이용하는 곳으로 일반 세탁으로는 지우기 힘든 기름, 분진 등으로 때가 탄 작업복을 대상으로 세탁한다...

`운명의 9연전`…한화이글스 선두권 경쟁 돌입
'운명의 9연전'…한화이글스 선두권 경쟁 돌입

올 시즌 절정의 기량을 선보이는 프로야구 한화이글스가 9연전을 통해 리그 선두권 경쟁에 돌입한다. 한국프로야구 10개 구단은 29일부터 다음 달 7일까지 '휴식 없는 9연전'을 펼친다. KBO리그는 통상적으로 잔여 경기 편성 기간 전에는 월요일에 경기를 치르지 않지만, 5월 5일 어린이날에는 프로야구 5경기가 편성했다. 휴식일로 예정된 건 사흘 후인 8일이다. 9연전에서 가장 주목하는 경기는 29일부터 5월 1일까지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열리는 LG 트윈스와 승부다. 리그 1위와 3위의 맞대결인 만큼, 순위표 상단이 한순간에 뒤바..

학교서 흉기 난동 "학생·학부모 불안"…교원단체 "재발방지 대책"
학교서 흉기 난동 "학생·학부모 불안"…교원단체 "재발방지 대책"

학생이 교직원과 시민을 상대로 흉기 난동을 부리고, 교사가 어린 학생을 살해하는 끔찍한 사건이 잇따라 발생하면서 학생·학부모는 물론 교사들까지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경찰과 충북교육청에 따르면 28일 오전 8시 33분쯤 청주의 한 고등학교에서 특수교육대상 2학년 A(18) 군이 교장을 비롯한 교직원 4명과 행인 2명에게 흉기를 휘둘러 A 군을 포함한 모두 7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경계성 지능을 가진 이 학생은 특수교육 대상이지만, 학부모 요구로 일반학급에서 공부해 왔다. 가해 학생은 사건 당일 평소보다 일찍 학교에 도착해 특..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2025 유성온천 문화축제 5월 2일 개막 2025 유성온천 문화축제 5월 2일 개막

  • 오색 연등에 비는 소원 오색 연등에 비는 소원

  • ‘꼭 일하고 싶습니다’ ‘꼭 일하고 싶습니다’

  • 함께 새마을, 미래로! 세계로! 함께 새마을, 미래로! 세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