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난순의 식탐]훌륭한 선택

  • 오피니언
  • 우난순의 식탐

[우난순의 식탐]훌륭한 선택

  • 승인 2019-01-09 11:13
  • 수정 2019-01-09 13:46
  • 신문게재 2019-01-10 22면
  • 우난순 기자우난순 기자
KakaoTalk_20190109_094900624
새벽 5시 50분. 간신히 택시를 잡았다. 차 시간에 늦을까봐 초조했는데 다행히 와줘서 안도의 한숨을 쉬었다. "이렇게 일찍 어디 가시나요?" 인상이 깔끔한 초로의 신사 분위기의 택시기사가 물었다. 통영에 물메기탕 먹으러 간다고 하자 택시기사는 반색을 했다. "나도 가족이랑 얼마전에 동해안 가서 그걸 먹었는데 아들놈들은 먹는 둥 마는 둥 하더라니까요." 우리는 터미널까지 가는 동안 짧은 시간이었지만 많은 얘기를 나눴다. 젊은 날 부산에서 군 생활을 했다는 그는 얼마전 부산에 가보고 많이 변해서 실망이 컸다고 한다. 예전에 동백섬이 얼마나 아름다웠는지, 해운대 바닷물은 수정같이 맑았고, 부산 아가씨들은 하나같이 예쁘고 말도 사근사근했다며 지난날을 회상했다. 전국 팔도 여행기를 실컷 얘기한 택시기사는 차에서 내리는 내 뒤통수에 대고 결정적 한방을 날렸다. "예수 믿어요. 예수 믿으면 천국 가요."

버스에서 창밖의 밤하늘을 올려다봤다. 총총히 빛나는 별이 나의 길을 동행했다. 만지면 베일 것 같은 손톱달도 시커먼 산등성이에 걸려 있었다. 먼동이 트기엔 아직 이른 시간이다. 남쪽 땅끝은 나에겐 해방의 공간이다. 해가 바뀌면 으레 통영이 그리워진다. 그것은 본능과도 같다. 어미 새가 벌레를 물고 둥지에 들어오면 눈도 안뜬 새끼가 입을 쩍 벌리는 것처럼 말이다. 윤이상과 박경리의 고향 통영. 먹을 것이 그득한 풍요의 해안도시. 몇 년 전 2월에 갔을 때 물메기탕을 찾았으나 너무 늦게 왔다며 한 겨울에 오라는 말을 들었다.

세 시간을 달려 도착한 통영은 뺨을 스치는 바람의 온도가 달랐다. 살을 에는 시베리아 한파가 여기선 맥을 못추는 모양이다. 이젠 통영이 오랫동안 살아온 것처럼 익숙하다. 서호시장 사람들도 낯이 익어 고향 사람 같다. 점심을 먹기엔 이른 시간이지만 배가 고파 눈에 띄는 식당으로 들어갔다. 아직 준비가 안됐다며 12시에 오라고 해서 다시 들르겠다고 하고 시장구경에 나섰다. 내륙에선 볼 수 없는 싱싱한 생선들이 좁은 대야 안에서 몸부림을 쳤다. 군함처럼 거대한 대구들은 배가 쩍 갈린 채 척추뼈를 드러내고 햇볕에 말라가고 있었다. 갓 잡아온 생선들은 오늘 어느 식탁에서 생을 마감하려나. 물고기들의 숙명과 나의 숙명은 어떻게 다를까. 시장 끄트머리에 있는 은행에 돈을 찾으러 들렀다 시간이 남아 쉴 요량으로 소파에 앉았다. 전원생활을 다루는 월간지가 있길래 집어 들었다. 곽재구 시인의 인터뷰 기사가 나왔다. 그가 20대 중반에 쓴 '사평역에서'는 내 젊은날 부러움과 존경심을 불러일으킨 시였다. 기사에서 시인은 이런 말을 했다. "바람, 꽃, 강물, 시간, 사람들의 웃음소리, 음식냄새, 이것들이 다 내 도반이다."

다시 찾은 식당은 조용했다. 아무리 불러도 인기척이 없었다. 다른 데로 가야 하나. 에라 모르겠다. 배낭을 내려놓고 TV를 켰다. 식탁 위에 놓인 뻥튀기도 갖다 먹었다. 뭐라도 먹어서 내 위장의 히스테리를 잠재워야 했다. 한참 후에 주인 아주머니가 들어왔다. "오메, 진짜 왔네예." 물메기탕이 드디어 나왔다. '뱃놈'들이 먹을법한 냉면 그릇에 나올 정도의 양이었다. 맑은 국물이 시원하고 담백했다. 뽀얀 물메기 살은 흐물거려서 씹을 새도 없이 꿀러덩 넘어갔다. 콧물을 훌쩍이며 국물까지 다 먹었다. 주인은 남편이 바다에서 잡아온 고기를 팔면서 식당도 했다. 모름지기 사내는 밖에 나가서 가족에게 먹일 먹을 거리를 물어와야 하는 법이다. 주인은 올해는 물메기가 안잡혀 값이 올랐다며 미안해했다. 작년 겨울엔 EBS '한국기행'에도 나왔단다. 주인 부부가 바다에서 고기 잡는 모습을 찍었다고 한다. 그 뒤로 여러 곳에서 출연해 달라고 연락이 왔지만 다 사양했다고 한다. 성가시고 하루 공치는 바람에 손해만 봤기 때문이다. "다음엔 회덮밥 먹으러 올게요." <미디어부 부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이진숙 교육장관 후보자 첫 출근 "서울대 10개 만들기, 사립대·지방대와 동반성장"
  2. '개원 53년' 조강희 충남대병원장 "암 중심의 현대화 병원 준비할 것"
  3. 법원, '초등생 살인' 명재완 정신감정 신청 인용…"신중한 심리 필요"
  4. 33도 폭염에 논산서 60대 길 걷다 쓰러져…연일 온열질환 '주의'
  5. 세종시 이응패스 가입률 주춤...'1만 패스' 나오나
  1. 필수의료 공백 대응 '포괄2차종합병원' 충청권 22곳 선정
  2. 폭력예방 및 권리보장 위한 협약 체결
  3. 임채성 세종시의장, 지역신문의 날 ‘의정대상’ 수상
  4. 건물 흔들림 대전가원학교, 결국 여름방학 조기 돌입
  5. 세종시, 전국 최고 안전도시 자리매김

헤드라인 뉴스


야권에서도 비충청권서도… 해수부 부산이전 반대 확산

야권에서도 비충청권서도… 해수부 부산이전 반대 확산

이재명 정부가 강공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에 반대하는 목소리가 보수야권을 중심으로 원심력이 커지고 있다. 그동안 충청권에서만 반대 여론이 들끓었지만, 행정수도 완성 역행과 공론화 과정 없는 일방통행식 추진되는 해수부 이전에 대해 비(非) 충청권에서도 불가론이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원내 2당인 국민의힘이 이 같은 이유로 전재수 장관 후보자 청문회와 정기국회 대정부질문, 국정감사 등 향후 정치 일정에서 해수부 이전에 제동을 걸고 나설 경우 이번 논란이 중대 변곡점을 맞을 전망이다. 전북 익산 출신 국민의힘 조배숙..

李정부 민생쿠폰 전액 국비로… 충청권 재정숨통
李정부 민생쿠폰 전액 국비로… 충청권 재정숨통

이재명 정부가 민생 회복을 위해 지급키로 한 소비쿠폰이 전액 국비로 지원된다. 이로써 충청권 시도의 지방비 매칭 부담이 사라지면서 행정당국의 열악한 재정 여건이 다소 숨통을 틀 것으로 기대된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는 1일 전체회의를 열어 13조2000억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관련 추가경정예산안을 의결했다. 행안위는 이날 2조9143억550만원을 증액한 2025년도 행정안전부 추경안을 처리했다. 행안위는 소비쿠폰 발행 예산에서 중앙정부가 10조3000억원, 지방정부가 2조9000억원을 부담하도록 한 정부 원안에서 지방정..

대전·충남기업 33곳 `초격차 스타트업 1000+` 뽑혔다
대전·충남기업 33곳 '초격차 스타트업 1000+' 뽑혔다

대전과 충남의 스타트업들이 정부의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에 대거 선정되며, 딥테크 기술창업 거점도시로 거듭나고 있다. 1일 중소벤처기업부가 주관하는 '2025년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에 전국 197개 기업 중 대전·충남에선 33개 기업이 이름을 올렸다. 이는 전체의 16.8%에 달하는 수치로, 6곳 중 1곳이 대전·충남에서 배출된 셈이다. 특히 대전지역에서는 27개 기업이 선정되며, 서울·경기에 이어 비수도권 중 최다를 기록했다. 대전은 2023년 해당 프로젝트 시행 이래 누적 선정 기업 수 기준으로..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수영하며 야구본다’…한화 인피니티풀 첫 선 ‘수영하며 야구본다’…한화 인피니티풀 첫 선

  • 시구하는 김동일 보령시장 시구하는 김동일 보령시장

  • 故 채수근 상병 묘역 찾은 이명현 특검팀, 진실규명 의지 피력 故 채수근 상병 묘역 찾은 이명현 특검팀, 진실규명 의지 피력

  • 류현진, 오상욱, 꿈씨패밀리 ‘대전 얼굴’ 됐다 류현진, 오상욱, 꿈씨패밀리 ‘대전 얼굴’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