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난순의 식탐]목포 아짐 인심 겁나게 좋아부러

  • 오피니언
  • 우난순의 식탐

[우난순의 식탐]목포 아짐 인심 겁나게 좋아부러

  • 승인 2019-02-20 17:01
  • 신문게재 2019-02-21 22면
  • 우난순 기자우난순 기자
KakaoTalk_20190220_101921438
졸린 눈을 비비며 목포 터미널 대합실에 들어섰다. 대합실 의자에 배낭을 내려놓고 물 한모금으로 목을 축이는데 노랫소리가 들렸다. 나이 지긋한 남자의 구성진 목소리에 귀를 쫑긋 세웠다. 무슨 노래더라? 멜로디는 익숙한데 선뜻 감이 안 잡혔다. '머나먼 저 하늘만 바라보고 울고 있나~.' 아, 하춘화의 '물새 한 마리'였다. 노래솜씨가 보통은 아닌 것 같은 사내의 노래가 이방인의 마음을 적셨다. 아마 취객이 흥에 겨워 부르는 모양이었다. 역시 가인 이난영의 도시 목포였다. 나에게 목포는 치자향의 도시로도 기억된다. 오래 전, 땡볕이 내리꽂는 한여름 목포역 근처에서 맡았던 달콤한 향을 잊을 수 없다. 찌는 듯한 열기속에서 눈부시게 흰 치자꽃과 그 향에 취해 가던 길을 멈추고 한참동안 서성였었다.

유달산에서 내려다 본 바다의 물빛이 싱그러웠다. 바다에서 불어오는 바람이 아직 차가웠다. 목포는 일제 강점기 일본인들의 식량 창고였다. 기름진 호남평야에서 거둬들인 쌀을 목포항을 통해 일본으로 실어 날랐다. 대전~목포의 호남선도 쌀 수탈을 위해 설립된 철로였다. 목포역을 중심으로 원도심엔 일제의 흔적이 고스란히 남아 있다. 동양척식주식회사, 경찰서, 은행, 사찰, 면화주식회사 등. 근대역사관에 전시된 사진은 잔악한 일제 침략사와 독립운동사의 숨결을 생생하게 보여준다. 총살당한 독립군의 뱃속에서 흘러나온 내장을 보는 순간 분노감에 몸이 떨렸다. 영화 '1987'의 영화촬영지 '연희네 슈퍼'뒤에는 방공호도 있다. 곳곳에 식민지의 상흔이 배어 있었다. 이곳 서산동은 80년대까지만 해도 부촌이었다고 한다. 가수 남진도 이곳 출신이란다. 그러나 지금은 여행자들의 웃음소리만 간간이 들릴 뿐 산비탈에 게딱지처럼 붙어 있는 집들은 허물어져 가고 있다. 빈집의 버려진 세간살이들이 어지럽게 널려 바람에 뒹굴었다. 그 틈에 시멘트 담벼락에선 새싹이 돋아났다. 생명이 움트고 있었다. 비루한 삶도 존재이유가 있는 것이다.

다음날 아침 일찍 선창으로 갔다. 머스터드 소스가 듬뿍 뿌려진 바게트에 우유 하나로 아침을 때운 터라 뱃속이 느글거렸다. 잿빛 구름이 깔린 하늘이 한층 낮아 보였다. 고깃배들이 꽉 들어찬 항구는 장관이었다. 몇몇 배는 울긋불긋 깃발이 나부꼈다. 올 한해 만선을 비는 의식을 치른 모양이었다. 전날 술을 거하게 펐는지 눈에 핏발 선 남자 둘이 쭈그리고 앉아 얘기 중이었다. 요즘 무슨 고기를 잡냐고 물으니 "지금은 술 먹는 철이랑게요"라며 껄껄 웃었다. 선원들 중엔 동남아인들도 많았다. 르포 작가 한승태가 진도 꽃게잡이 어선에서 40일동안 일한 기록은 바다가 결코 선심을 베푸는 곳이 아님을 보여준다. 바다가 좋아서 배를 탄다는 지은이의 고백에 선배 선원은 코웃음을 쳤다. "그림같은 바다? 좆까고 있네." 바다란 언제든 선원들을 익사시킬수 있는 살벌한 일터라는 얘기다.

시계를 보니 10시가 훌쩍 넘었다. 아무래도 밥부터 먹어야 할 것 같았다. 항동시장으로 들어가는 후미진 골목이 보였다. 옹색한 식당들은 오랜 세월 이곳에서 밥을 먹고 산 상인들의 고단함을 말해주었다. 뜨끈한 국물이 간절했다. 먼지 낀 출입문에 해장국이라고 쓰인 식당문을 열고 들어갔다. 70대로 보이는 세 여인이 난롯가에 앉아 잡담 중이었다. 그런데 영업을 안한다고 했다. 난감해하는 나에게 주인 아주머니는 "우리가 지금 밥을 묵을낀데 같이 드소"라며 의자를 권했다. 우거지넣은 돼지등뼈탕과 갈치·삼치 구이에다 젓갈, 겉절이 등이 나왔다. 그리고 꽁보리밥. 바닷가 음식답게 젓갈이 듬뿍 들어간 음식들이었다. 나중에는 소주 한잔씩 곁들였다. 그 중 한분이 '목포의 눈물'을 뽑아 냈다. '사아고옹의 뱃노오래 가아무울거어리이고~.' 그날따라 소주 맛이 달큰했다. <미디어부 부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1기 신도시 재건축 '판 깔렸지만'…못 웃는 지방 노후계획도시
  2. 밀알복지관 가족힐링캠프 '함께라서 행보캠'
  3.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
  4. 축산업의 미래, 가축분뇨 문제 해결에 달렸다
  5. 교정시설에서 동료 수형자 폭행 '실형'…기절시켜 깨우는 행위 반복
  1. 대전행복나눔무지개푸드마켓 1호점 공식 카카오톡 채널 개설
  2. 농산 부산물, 부가가치 창출...환경과 경제 살리는 동력
  3. 어촌서 재충전, '쉬어(漁)가요' 프로그램 참가자 모집
  4. 챗봇 '해수호봇', 해양안전 디지털 혁신 이끈다
  5. 정부 부동산 대책 지방 위한 추가대안 마련 시급

헤드라인 뉴스


정청래 국회연설 "내란청산은 정치보복이 아니다"

정청래 국회연설 "내란청산은 정치보복이 아니다"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는 9일 “남북이 다시 손잡는 핵심은 경제협력이고, 우리는 경제통일에 민생통일을 추가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 “통일부가 2026년 남북협력기금으로 1조 25억원을 편성했다. 주목할 것은 경제협력사업 예산으로, 606억원에서 1789억원으로 세 배가량 증가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개성공단과 같은 경제협력 사업의 재개를 위해 필요한 도로와 폐수 시설 같은 복구와 구축 사업 예산”이라며 “남북이 힘을 합치면 경제 규모도 커지고 일자리도 늘어나고, 동..

국내 증시 조정에도…충청권 상장사는 `선방`
국내 증시 조정에도…충청권 상장사는 '선방'

새 정부 출범 이후 가파른 상승세를 타던 국내 증시가 최근 조정 국면을 맞고 있지만, 충청권 상장사들은 비교적 선방하고 있다. 전체적인 시장의 침체 분위기 속 8월 한 달 간 충청권 상장법인의 시가총액 합계는 전월 대비 0.3%(4074억 원) 증가한 152조 3402억 원에 도달했다. 한국거래소 대전혁신성장센터가 9일 발표한 대전·충청지역 상장사 증시 동향에 따르면 8월 충청권 상장법인의 시가총액은 152조 3402억 원으로 전월(151조 9328억 원) 대비 0.3% 증가했다. 8월 한 달 동안 대전·세종·충남 지역의 시총은 근..

대전 공기업 임원 교체 `바람` 불까…대전관광공사 임원 교체 가닥
대전 공기업 임원 교체 '바람' 불까…대전관광공사 임원 교체 가닥

민선 8기 대전시 출범 이후 임명된 시 산하 공기업 임원이 속속 임기를 마치면서 연임과 교체의 '갈림길'에 놓였다. 이장우 시장의 임기가 1년도 남지 않은 상황에서 물갈이를 통한 조직 변화를 꾀할지, 연장으로 막바지 조직 안정화를 선택할지에 대한 관심이 쏠린다. 9일 대전시에 따르면 시 출자·출연 기관장은 시장과 임기를 같이 하기로 조례로 정했지만, 시 산하 공기업은 지방공기업법을 적용받아 이와 무관하다. 이에 민선 8기 출범 이후 임명된 시 산하 공기업 임원들의 3년 임기가 순차적으로 끝나고 있다. 대전관광공사는 임원 교체 분위기..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올바른 손씻기로 식중독 예방해요’ ‘올바른 손씻기로 식중독 예방해요’

  • 전통시장 화재안전 집중조사 전통시장 화재안전 집중조사

  • ‘한국의 情을 고향에 전하세요’ ‘한국의 情을 고향에 전하세요’

  •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