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두 번째 줄을 보면 미세플라스틱의 크기가 작을수록 더 많이 축적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안전성평가연구소 제공 |
안전성평가연구소(KIT)는 환경생물연구그룹 최진수 연구원이 해양 동물 플랑크톤을 이용해 미세플라스틱의 축적에 따른 유해성을 평가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미세플라스틱의 생물 내 축적으로 인해 해양 생태계 전반을 비롯해 인체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일회용 컵이나 과자의 포장 용기 등에 쓰이는 폴리스티렌(Polystyrene) 미세플라스틱을 해양 동물 플랑크톤에 50nm, 10㎛의 크기로 24, 48시간 동안 노출해 활성산소의 생성, 산화스트레스와 관련된 항산화 유전자와 효소의 유의적 변화를 확인했다.
연구 결과 시간에 따른 차이는 크지 않았으나 플라스틱의 크기가 작아질수록 독성 영향이 더 크게 나타남을 확인했다. 또 두 가지 크기의 미세플라스틱 모두 플랑크톤의 체내에 축적됐으며 일부 암컷 개체의 알집에도 축적돼 세대 간 전이 가능성을 확인했다.
박준우 환경위해성연구부장은 "이번 연구는 해양환경에서 먹이사슬의 가장 낮은 단계인 플랑크톤의 체내에 미세플라스틱이 축적되면서 상위 포식자로의 축적과 이동을 통해 최상위 단계인 인체로의 유입 가능성을 확인한 결과"며 "미세플라스틱의 유해성을 보다 깊이 인지하고 플라스틱 사용에 대한 자제 등 국민 의식의 변화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임효인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