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난순의 식탐] 어떻게 먹을 것인가

  • 오피니언
  • 우난순의 식탐

[우난순의 식탐] 어떻게 먹을 것인가

  • 승인 2020-03-11 10:20
  • 신문게재 2020-03-12 22면
  • 우난순 기자우난순 기자
개
1995년 삼풍 백화점이 붕괴돼 아비규환이던 장면을 난 병원에서 보았다. 지옥도가 따로 없었다. 피투성이 머리를 손으로 감싸고 뛰쳐나오는 사람, 반쯤 넋이 나간 얼굴로 먼지를 뒤집어 쓴 중년 여성…. 나 역시 놀란 눈으로 입원실 침상에서 보신탕을 먹으며 TV 브라운관에 시선을 고정시켰다. 그때 난 병원에서 요양 중이었다. 세끼 밥을 대충 먹다보니 그만 병을 얻고 말았다. 초로의 의사는 보신탕을 권했다. 몸의 기력을 회복하는데 그만한 음식이 없다고 말이다. 입원해 있는 동안 삼시 세끼 보신탕을 미친 듯이 먹었다. 난 내가 삶에 대한 욕망이 그렇게 강한 줄 몰랐다. 매일 똑같은 음식을 먹느라 신물이 날만도 한데 오로지 살고 싶어서, 국물 한 방울 남기지 않고 싹싹 비웠다. 그래서인지 의사도 놀랄 정도로 빠르게 회복했다. 덕분에 41㎏ 나가던 몸무게가 47㎏으로 순식간에 올라가는 기염을 토했다.

나는 개를 좋아하면서 개고기를 먹었다. 예전 시골에선 다 그러했다. 개는 애완용이면서 가축의 개념이었다. 몇 년 키워 성견이 되면 팔고 강아지를 또 키우는 식이었다. 돼지나 소처럼 일종의 살림 밑천인 셈이다. 우리 집에서 키우는 개도 종국엔 팔려 나가 보신탕 신세였지만 같이 사는 동안은 가족이나 다름없었다. 산에 들에 어디를 가든 늘 함께 놀았다. 학교에서 돌아와 집에 들어서면 '쪼니'부터 불렀다. 우리 집 개 이름은 다 '쪼니'였다. 먹을 것도 나눠 먹었다. 과자든 떡이든 우리가 먹는 것은 쪼니도 먹어야 했다. 식구라고 생각했으니까. 새끼를 낳으면 집안의 경사였다. 우리는 눈도 안 뜬 강아지들을 들여다보며 시간가는 줄 몰랐다. 젖내 풍기는 강아지의 보드라운 발바닥을 쓰다듬고 여린 새싹 같은 귀는 또 어찌나 예쁜지, 하루종일 보고 있어도 지루하지 않았다. 그리고 땡볕이 내리쬐는 복날이면 장에서 사온 개고기로 엄마가 끓인 얼큰한 개장국을 먹었다.

그렇게 가족이 됐다가 팔려나가는 우리집 쪼니들의 역사는 장구했다. 그 중 오랫동안 내 기억에서 잊혀지지 않은 쪼니가 있었다. 초등학교 저학년 때 키우던 개로 검은 색의 털이 약간 긴 순둥이였다. 당시 두 마리가 있었는데 나머지 한 마리는 영특하고 날렵한 네눈박이였다. 나는 그 개를 더 이뻐했다. 어느날 밭에 가면서 뭣 때문인지는 모르겠으나 순둥이를 손으로 살짝 때렸다. 순둥이가 고개를 돌려 원망어린 눈빛으로 날 쳐다보았다. 동물의 눈이었지만 감정을 읽을 수 있었다. 순둥이는 내가 네눈박이를 더 좋아하는 걸 알고 있는지 내 눈치를 보곤 했다. 시간이 흘러 중학교 때였나, 강열한 꿈을 꿨다. 순둥이 쪼니가 엄동설한에 어느 텅 빈 교실의 차가운 책상 위에서 새끼들을 품고 있었다. 새끼를 낳은 순둥이는 뼈만 앙상했다. 새끼들도 배가 고파 어미 품을 파고들며 울었다. 꿈에서 깬 나는 슬프고 무서워서 몸서리쳤다. 순둥이는 내 무의식 속에서 죄책감의 대상이 된 것이다.

다시 전염병이 창궐하고 있다. 인류를 강력하게 위협하는 전염병은 동물을 매개로 한다. 코로나19도 박쥐에서 출발했다. 물론 코로나19도 언젠가는 끝날 것이다. 허나 갈수록 전염병의 주기가 빨라지고 있다. 불과 5년 전 우리는 메르스로 공포에 떨지 않았나. 눈에 보이지 않는 바이러스 앞에서 인간은 허약하고 어리석고 보잘 것 없는 존재였다. 어찌보면 전염병은 인간에 대한 동물의 보복이다. 인간의 탐욕을 위한 가축의 증가와 생태계 파괴. 그리고 잔인한 도살방식. 나는 이젠 개고기를 안 먹는다. 개를 좋아하면서 개고기를 먹는 나 자신이 혐오스러웠기 때문이다. 공원에서 뛰노는 개들이 예뻐 눈을 떼지 못하면서 보신탕을 먹는 내가 얼마나 위선적인가. 고통스럽게 죽어간 나의 '쪼니들'과 동물들에게 용서를 빈다. <미디어부 부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1기 신도시 재건축 '판 깔렸지만'…못 웃는 지방 노후계획도시
  2. 밀알복지관 가족힐링캠프 '함께라서 행보캠'
  3.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
  4. 축산업의 미래, 가축분뇨 문제 해결에 달렸다
  5. 교정시설에서 동료 수형자 폭행 '실형'…기절시켜 깨우는 행위 반복
  1. 대전행복나눔무지개푸드마켓 1호점 공식 카카오톡 채널 개설
  2. 농산 부산물, 부가가치 창출...환경과 경제 살리는 동력
  3. 어촌서 재충전, '쉬어(漁)가요' 프로그램 참가자 모집
  4. 챗봇 '해수호봇', 해양안전 디지털 혁신 이끈다
  5. 정부 부동산 대책 지방 위한 추가대안 마련 시급

헤드라인 뉴스


정청래 국회연설 "내란청산은 정치보복이 아니다"

정청래 국회연설 "내란청산은 정치보복이 아니다"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는 9일 “남북이 다시 손잡는 핵심은 경제협력이고, 우리는 경제통일에 민생통일을 추가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 “통일부가 2026년 남북협력기금으로 1조 25억원을 편성했다. 주목할 것은 경제협력사업 예산으로, 606억원에서 1789억원으로 세 배가량 증가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개성공단과 같은 경제협력 사업의 재개를 위해 필요한 도로와 폐수 시설 같은 복구와 구축 사업 예산”이라며 “남북이 힘을 합치면 경제 규모도 커지고 일자리도 늘어나고, 동..

국내 증시 조정에도…충청권 상장사는 `선방`
국내 증시 조정에도…충청권 상장사는 '선방'

새 정부 출범 이후 가파른 상승세를 타던 국내 증시가 최근 조정 국면을 맞고 있지만, 충청권 상장사들은 비교적 선방하고 있다. 전체적인 시장의 침체 분위기 속 8월 한 달 간 충청권 상장법인의 시가총액 합계는 전월 대비 0.3%(4074억 원) 증가한 152조 3402억 원에 도달했다. 한국거래소 대전혁신성장센터가 9일 발표한 대전·충청지역 상장사 증시 동향에 따르면 8월 충청권 상장법인의 시가총액은 152조 3402억 원으로 전월(151조 9328억 원) 대비 0.3% 증가했다. 8월 한 달 동안 대전·세종·충남 지역의 시총은 근..

대전 공기업 임원 교체 `바람` 불까…대전관광공사 임원 교체 가닥
대전 공기업 임원 교체 '바람' 불까…대전관광공사 임원 교체 가닥

민선 8기 대전시 출범 이후 임명된 시 산하 공기업 임원이 속속 임기를 마치면서 연임과 교체의 '갈림길'에 놓였다. 이장우 시장의 임기가 1년도 남지 않은 상황에서 물갈이를 통한 조직 변화를 꾀할지, 연장으로 막바지 조직 안정화를 선택할지에 대한 관심이 쏠린다. 9일 대전시에 따르면 시 출자·출연 기관장은 시장과 임기를 같이 하기로 조례로 정했지만, 시 산하 공기업은 지방공기업법을 적용받아 이와 무관하다. 이에 민선 8기 출범 이후 임명된 시 산하 공기업 임원들의 3년 임기가 순차적으로 끝나고 있다. 대전관광공사는 임원 교체 분위기..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올바른 손씻기로 식중독 예방해요’ ‘올바른 손씻기로 식중독 예방해요’

  • 전통시장 화재안전 집중조사 전통시장 화재안전 집중조사

  • ‘한국의 情을 고향에 전하세요’ ‘한국의 情을 고향에 전하세요’

  •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