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난순의 식탐] 반달가슴곰을 위하여

  • 오피니언
  • 우난순의 식탐

[우난순의 식탐] 반달가슴곰을 위하여

  • 승인 2020-07-01 18:04
  • 신문게재 2020-07-02 18면
  • 우난순 기자우난순 기자


1170541301
게티 이미지 제공
'시카리오: 암살자의 도시'는 멕시코 마약 카르텔에 관한 영화다. 영화는 공포스럽고 구역질나는 장면이 많다. 그 곳엔 인간의 존엄성은 없다. 손이 뒤로 묶이고 얼굴에 비닐봉지를 쓴 채 죽은 수십 구의 시체들과 한 낮 고속도로에서 경찰의 총탄 세례를 맞아 벌집 투성이가 돼 죽어가는 카르텔 조직원들. 그리고 카르텔이 경찰과 시민들에게 공포를 주입시키기 위해 육교에 매달아 놓은 시체들. 높은 육교에 매달려 바람에 흔들리는 알몸의 시체들은 인간의 모습이 아니다. 그저 시뻘건 고깃덩이에 불과하다. 정육점의 붉은색 형광등 아래 갈고리에 꿰여 매달린 소·돼지고기 말이다. 하지만 영화 속의 시체와 정육점의 고기를 바라보는 인간의 감정은 다르다. 왜 그럴까.

일반적으로 인간은 동물의 고기를 먹고 산다. 인간 사회에서 그것은 지극히 합법적이다. 이에대해 약육강식의 원리를 들이대면 설명이 가능할 지도 모르겠다. 왜냐면 인간은 그것을 자연의 섭리로 간주하니까. 먹고 먹히는 먹이 사슬의 관계! 인간의 문명은 계급 갈등으로 점철돼 왔다. 마르크스의 계급론이 달리 탄생했겠는가. 그러나 인류사에서 '만물의 영장'인 인간과 동물 간의 계급을 논한다는 건 생뚱맞다고 여겨졌다. 어디까지나 인간만이 지고한 고등동물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몇십 년 전만 하더라도 시골 마을에선 동물을 잡는 일이 흔했다. 명절이나 한 여름 몸보신 차원에서 살찐 돼지 한 마리 잡아 마을 사람들이 나눠 먹었다. 고기가 귀해 쉽게 먹지 못하던 시절, 작정하고 날 잡아 배불리 먹는 마을 잔치인 셈이다. 그런데 그 날 '간택된' 돼지는 쉽게 죽을 수 있는 운명이 아니었다. 돼지는 숨통이 끊어지기 직전까지 길고 긴 고통을 겪는다. 동네 장정들은 밧줄로 묶은 돼지를 옆으로 누인 다음 식칼로 목을 딴다. 선지피를 받기 위해서다. 발버둥치는 돼지의 처절한 비명은 세상 끝까지 울려 퍼진다. 그 사이 돼지 목 아래에 놓인 양동이엔 시뻘건 피가 비린내를 풍기며 콸콸 쏟아진다. 돼지의 생명줄은 질겼다. 목에 구멍이 뚫린 채 많은 피를 쏟아내고도 한참을 버텼다. 인간의 고통과 동물의 고통은 다를까.



조르주 바타유는 평생 에로티시즘에 천착한 사상가다. 그는 죽음과 에로티시즘은 궤를 같이 한다고 보았다. 다소 괴짜같은 성향의 바타유는 20세기 초에 찍힌 한 몽골인의 흑백 사진을 지갑에 넣고 다녔다고 한다. 사진 속 몽골 청년은 도둑질하다 붙잡혀 죽임을 당하는 모습이었다. 나무에 묶인 청년은 팔이 잘리고 가슴팍의 살도 도려진 끔찍함 그 자체였다. 그런데 청년은 얼굴을 하늘로 향한 채 희미한 미소를 짓고 있었다. 바타유는 이 사진에서 무엇을 보았을까. 무엇이 그토록 이 걸출한 사상가를 매혹시켰는지 나는 감히 헤아리기 어렵다.

얼마 전 방송에서 사육곰 불법 도살 장면이 보도됐다. 농장주는 손님을 초청해 반달가슴곰을 보여주며 도살했다. 마취 총을 쏴서 혀를 자르고 발바닥을 자른 다음 몸을 차례로 해체했다. 그 모든 과정은 새끼 곰들과 다른 동물들이 보는 가운데 이뤄졌다고 한다. 공리주의자 제러미 벤담은 동물의 고통에 관심이 많았다. 벤담은 인간과 동물을 같은 선상에서 보았다. 전문가들에 의하면 모든 동물은 고통을 느낄 수 있는 신경체계가 발달했다고 한다. 먹방 프로에서 살아 있는 문어가 끓는 물 속에서 몸부림칠 때, 불에 달궈지는 석쇠 위에서 조개가 입을 딱 벌리고 거품을 토해내는 걸 보면 당신의 마음은 어떤가. 인간이 육식을 멈추는 건 불가능하다. 물론 고기를 먹지 않는 채식주의자도 엄연히 존재한다. 다만, 우리의 식탁에 올라오는 동물의 고통에 공감하고 동물복지에 대해 한 발짝 나아가자는 얘기다. 역지사지는 인간에게만 적용되는 게 아니다. 뉴노멀 시대 아닌가. <미디어부 부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한국마사회, 미리보는 챔피언 결정 ‘대통령배·그랑프리’ 빅매치
  2. 항우연 노조, 이상철 원장 사퇴 촉구 "무능과 불성실"… 항우연 입장은?
  3. 경부고속도 '상서 하이패스IC' 10월 내 개통된다
  4. [꿈을JOB다! 내일을 JOB다!] 스무 살에 금융기관 취업한 비결은?
  5. 5개월 앞둔 통합돌봄, 새틀짜기 논의 활발 "기관 협의체 만들고 직역 협력모델을"
  1. 명실상부 중부권 최대 캠핑축제… '2025 꿀잼대전 힐링캠프' 활짝
  2. [홍석환의 3분 경영] 올바른 질문이 먼저
  3. 여야, 내년 지방선거 '공천룰' 준비… 충청 정치권 촉각
  4. [기고]안전한 대전시민의 밥상을 위해
  5. 꿈씨패밀리 공동브랜딩 전통주 '100일의 꿈' 출시

헤드라인 뉴스


국감서 대법원 세종행 제기… 국토 장관 “용역 등 적극검토”

국감서 대법원 세종행 제기… 국토 장관 “용역 등 적극검토”

대법원 신청사의 행선지로 대구시에 이어 세종시가 거론되고 있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의 김용민(경기 남양주 병) 의원은 최근 사회관계망서비스를 통해 '대구', 전용기(경기 화성시 정) 의원은 13일 국토교통부 및 행복도시건설청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세종시' 이전 필요성을 각각 언급했다. 대법원의 대구행은 지난 문재인 전 정부에서도 헌법재판소의 광주행과 함께 거론된 바 있고, 세종시 입지까지 거론은 사법 개혁 흐름 아래 대안 카드로 모색된 것으로 해석된다. 김용민 의원은 일제강점기 한반도 내 3개의 항소 법원 입지로 평양과 경성(서울)..

`2025 대전 빵축제` 더 커진 규모로 찾아온다
'2025 대전 빵축제' 더 커진 규모로 찾아온다

매년 큰 인기를 받은 대전 빵축제가 올해 몸집을 더 키워 찾아온다. 13일 대전관광공사에 따르면 오는 18일부터 19일까지 2일간 대전 동구 소제동 카페거리 및 대동천 일원에서 대전의 102개 빵집이 참여하는 가운데 '2025 대전 빵축제'를 개최한다. 올해로 5회째를 맞는 '2025 대전 빵축제'는 대전관광공사가 주최·주관하고 대전시, 동구청, 대한제과협회대전광역시지회, 성심당이 후원하며, 공식행사, 빵집 컬렉션, 마켓&체험 프로그램, 축하공연, 구매이벤트, 부대프로그램 등 다채롭게 펼쳐진다. 주요행사로 ▲개막식 ▲10m 대형롤케..

강소기업 21개사, 충남에 4448억 투자해 공장 신설·이전
강소기업 21개사, 충남에 4448억 투자해 공장 신설·이전

충남도가 21개 기업으로부터 4500억 원에 달하는 투자를 이끌어냈다. 김태흠 지사는 13일 도청 대회의실에서 김석필 천안시장권한대행 등 6개 시군 단체장, 한민석 웨이비스 대표이사 등 21개 기업 대표 등과 투자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에 따르면 21개 기업은 2028년까지 6개 시·군 산업단지 등 30만여㎡의 부지에 총 4448억 원을 투자, 생산시설을 신·증설하거나 타지역에서 충남으로 이전하고, 국외에서 복귀한다. 이들 기업이 계획대로 가동할 경우 신규 고용 인원은 총 1316명이다. 구체적으로 천안 테크노파크산단엔 경기도 소재..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수능 한 달여 앞…긴장감 도는 학교 수능 한 달여 앞…긴장감 도는 학교

  • 가을비 머금은 화단 가을비 머금은 화단

  • 추석 지난지가 언젠데… 추석 지난지가 언젠데…

  • 치워야 할 생활쓰레기 ‘산더미’ 치워야 할 생활쓰레기 ‘산더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