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난순의 식탐] 내가 운동하는 진짜 이유

  • 오피니언
  • 우난순의 식탐

[우난순의 식탐] 내가 운동하는 진짜 이유

  • 승인 2020-07-22 10:41
  • 수정 2020-07-22 11:13
  • 신문게재 2020-07-23 18면
  • 우난순 기자우난순 기자
1250601232
게티이미지 제공
먹는 걸 무지하게 밝히는 나는 어릴 적 전쟁 나면 하꼬방으로 달려가겠다고 맘먹곤 했다. 마을 어귀에 있는 하꼬방은 친구 할머니가 하는 거였는데 조악하기 이를 데 없었다. 선반엔 과자, 캐러멜, 눈깔사탕 몇 봉지가 먼지를 뒤집어 쓴 채 놓여 있었다. 친구 할머니는 막걸리도 팔았다. 해질 무렵엔 으레 동네 술주정뱅이 아저씨 몇 명이 둘러 앉아 막걸리 잔을 부딪쳤다. 나와 친구들은 들고양이처럼 들판을 쏘다니며 놀다 배고프면 하꼬방으로 갔다. 우리는 목을 빼고 유리창 너머 캐러멜과 눈깔사탕을 하염없이 바라보며 군침을 흘렸다. 그러면 친구 할머니는 파리 쫓듯 팔을 휘저으며 우리를 몰아냈다. '전쟁만 나면….'

어른이 돼도 식탐은 여전했다. 나의 관심은 늘 위장에 집중되어 있다. 뭘 먹을까, 뭐 맛있는 거 없나? 9년 전쯤이다. 당시 안희정 충남지사가 여기자들을 대흥동 도지사 관사에 초대했다. 지금은 슬기로운 감빵생활에 충실하고 있지만 그때 안희정은 '연예인 오빠'였다. 대권을 바라보는 차밍한 정치인이었으니까 말이다. 5월의 어느 날 도지사 관사는 여기자들로 성황을 이뤘다. 나는 아름드리 나무가 무성한 고색창연한 도지사 관사가 더 궁금했다. 점심은 눈부신 햇살 아래 야외 뷔페로 차려져 있었다. 와우! 여기자들은 잘생기고 말빨 좋은 도지사에게 넋이 빠져 아이 컨택 하기 바빴다. 나는 진한 버섯 수프와 온갖 샐러드, 부드럽고 고소한 빵에 홀딱 반해 접시 나르기에 여념이 없었다. 그런데 네 접시밖에 못 먹었다. 옷을 딱 붙게 입어 부른 배를 감출 수 없었기 때문이다.

퇴근하면 집 옆 공원에서 운동한다. 100m를 15초에 달리는 날쌘돌이에 비하면 어림없지만 한 시간 정도 빠르게 걷는다. 요즘 같은 저녁에는 동네 사람과 개들이 다 모여든다. 평상에 앉아 부채 부치며 두런두런 얘기꽃을 피우는 할머니들, 친구들과 반갑게 인사하며 냄새 맡는 귀여운 강아지들, 운동기구와 씨름하는 중·노년의 남녀들. 재미난 건 젊으나 늙으나 살 얘기가 빠지지 않는다는 거다. "아이구, 난 4키로나 쪘어. 언제 뺀댜.", "난 어제 저녁 삼겹살 먹고 잤더니 2키로가 늘었지 뭐야."

예전엔 후덕한 몸집이 미덕이었다. 못 먹던 시절 얘기다. 지금은 노인들도 몸에 관심이 많다. 매일 사우나에 들락거리면서 체중계에 올라 눈금을 확인하는 이유가 달리 있겠는가. 열나게 땀 빼고 갈증난다며 달디 단 박카스 하나씩 쭈욱 들이켜며 살과의 전쟁을 벌이는 여인들의 노력이 눈물겨울 정도다. 나의 노년은 어떤 모습일까. 언젠가 청바지에 검은색 터틀넥을 입은 배우 윤여정을 보며 나도 저랬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나이 일흔에 청바지라니, 시크하고 멋졌다. 영화 '돈의 맛' 베드신에서 보인 배는 어떻고. 맙소사! 뱃살이 하나도 없으면서 팽팽했다. 60 중반에 어떻게 저럴 수 있는지 충격적이었다.



사실 나이 들면서 뱃살이 꿀렁거리는 배둘레햄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허릿살이 비어져 나오고 배가 두둑해지는 몸의 형태는 자연의 섭리란 말씀이다. 그렇지만 이런 몸을 원하지 않는 것도 인지상정이다. 고백하건대, 내가 운동하는 진짜 이유는 밥을 많이, 맛있게 먹기 위해서다. 가쁜 숨을 몰아쉬며 계룡산 정상에 올라 계란말이에 오이소박이로 도시락 먹는 그 맛을 뭣에 비할까. 땀띠나게 걸은 후 우유에 바나나 두세개 넣어 갈아마시고 참치김치찌개 끓여 밥 한 공기 뚝딱. 그리고 수박 한 대접. 이놈의 식욕은 줄어들 줄 모른다. 마르타 힐러스는 『함락된 도시의 여자』에서 "모든 생각, 느낌, 소망, 기대가 먹는 데서 시작된다"고 했다. 엊그제 지인이 부산어묵을 택배로 보냈다. 한 여름의 저녁, 매콤한 청양고추를 넣고 어묵국 한 냄비 끓여 밥과 함께 먹었다. 배둘레햄? 올테면 오라지.   <미디어부 부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이진숙 교육장관 후보자 첫 출근 "서울대 10개 만들기, 사립대·지방대와 동반성장"
  2. '개원 53년' 조강희 충남대병원장 "암 중심의 현대화 병원 준비할 것"
  3. 법원, '초등생 살인' 명재완 정신감정 신청 인용…"신중한 심리 필요"
  4. 33도 폭염에 논산서 60대 길 걷다 쓰러져…연일 온열질환 '주의'
  5. 세종시 이응패스 가입률 주춤...'1만 패스' 나오나
  1. 필수의료 공백 대응 '포괄2차종합병원' 충청권 22곳 선정
  2. 폭력예방 및 권리보장 위한 협약 체결
  3. 임채성 세종시의장, 지역신문의 날 ‘의정대상’ 수상
  4. 건물 흔들림 대전가원학교, 결국 여름방학 조기 돌입
  5. (사)한국청소년육성연맹, 관저종합사회복지관에 후원물품 전달식

헤드라인 뉴스


야권에서도 비충청권서도… 해수부 부산이전 반대 확산

야권에서도 비충청권서도… 해수부 부산이전 반대 확산

이재명 정부가 강공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에 반대하는 목소리가 보수야권을 중심으로 원심력이 커지고 있다. 그동안 충청권에서만 반대 여론이 들끓었지만, 행정수도 완성 역행과 공론화 과정 없는 일방통행식 추진되는 해수부 이전에 대해 비(非) 충청권에서도 불가론이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원내 2당인 국민의힘이 이 같은 이유로 전재수 장관 후보자 청문회와 정기국회 대정부질문, 국정감사 등 향후 정치 일정에서 해수부 이전에 제동을 걸고 나설 경우 이번 논란이 중대 변곡점을 맞을 전망이다. 전북 익산 출신 국민의힘 조배숙..

李정부 민생쿠폰 전액 국비로… 충청권 재정숨통
李정부 민생쿠폰 전액 국비로… 충청권 재정숨통

이재명 정부가 민생 회복을 위해 지급키로 한 소비쿠폰이 전액 국비로 지원된다. 이로써 충청권 시도의 지방비 매칭 부담이 사라지면서 행정당국의 열악한 재정 여건이 다소 숨통을 틀 것으로 기대된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는 1일 전체회의를 열어 13조2000억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관련 추가경정예산안을 의결했다. 행안위는 이날 2조9143억550만원을 증액한 2025년도 행정안전부 추경안을 처리했다. 행안위는 소비쿠폰 발행 예산에서 중앙정부가 10조3000억원, 지방정부가 2조9000억원을 부담하도록 한 정부 원안에서 지방정..

대전·충남기업 33곳 `초격차 스타트업 1000+` 뽑혔다
대전·충남기업 33곳 '초격차 스타트업 1000+' 뽑혔다

대전과 충남의 스타트업들이 정부의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에 대거 선정되며, 딥테크 기술창업 거점도시로 거듭나고 있다. 1일 중소벤처기업부가 주관하는 '2025년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에 전국 197개 기업 중 대전·충남에선 33개 기업이 이름을 올렸다. 이는 전체의 16.8%에 달하는 수치로, 6곳 중 1곳이 대전·충남에서 배출된 셈이다. 특히 대전지역에서는 27개 기업이 선정되며, 서울·경기에 이어 비수도권 중 최다를 기록했다. 대전은 2023년 해당 프로젝트 시행 이래 누적 선정 기업 수 기준으로..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수영하며 야구본다’…한화 인피니티풀 첫 선 ‘수영하며 야구본다’…한화 인피니티풀 첫 선

  • 시구하는 김동일 보령시장 시구하는 김동일 보령시장

  • 故 채수근 상병 묘역 찾은 이명현 특검팀, 진실규명 의지 피력 故 채수근 상병 묘역 찾은 이명현 특검팀, 진실규명 의지 피력

  • 류현진, 오상욱, 꿈씨패밀리 ‘대전 얼굴’ 됐다 류현진, 오상욱, 꿈씨패밀리 ‘대전 얼굴’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