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난순의 식탐] 잊지 못할 라면 한 그릇

  • 오피니언
  • 우난순의 식탐

[우난순의 식탐] 잊지 못할 라면 한 그릇

  • 승인 2020-09-02 10:40
  • 신문게재 2020-09-03 18면
  • 우난순 기자우난순 기자
GettyImages-jv10982028 (1)
게티이미지 제공
내가 라면을 처음 먹어본 건 초등학교 들어가기 전으로 기억된다. 봉지가 온통 주황색인 삼양라면이었다. 그 라면을 어떻게 해서 먹게 됐는지 자세히는 모르겠다. 면사무소에서 집집마다 나눠준 것 같기도 하고, 분명한 건 우리 돈으로 산 것은 아니었다. 하여간 그때 먹은 라면 맛은 잊을 수 없을 정도로 강렬했다. 맛의 신세계라고나 할까? 꼬불꼬불한 면도 그렇지만 수프 가루를 넣고 끓인 국물 맛이 말로 표현하기 어려웠다. 매일 신물나도록 먹는 청국장, 김칫국과는 딴 판이었다. 한번 먹으면 영원히 잊을 수 없는 마력의 맛!

그 후로 오랫동안 라면을 더는 먹지 못했다. 라면은 내가 감히 범접할 수 없는 세계의 맛이었다. 4학년 때던가. 우리 집엔 TV가 없어 나와 언니는 저녁만 먹으면 옆집으로 달려갔다. 동네에서 좀 산다 하는 그 집은 바로코 스타일의 디자인에, 미닫이 문이 달린 TV를 일찌감치 장만해 부를 과시했다. 뻔질나게 드나들어 그 집 사람들 눈치가 좀 보였지만 우리는 TV 드라마의 유혹을 떨치기 어려웠다. 일일 드라마였는데 도시 변두리에 사는 소시민들의 얘기였다. 그런데 하루는 학교에서 돌아온 형한테 동생이 "형, 오늘 저녁은 라면 안 먹어도 돼. 밥 먹을 수 있어"라며 좋아라 했다. 내가 꿈에서도 먹지 못하는 라면을 지겨워하는 형제가 어린 나로선 이해가 안됐다.

고등학교 때 대학 다니는 언니와 자취하면서 라면을 원없이 먹었다. 주말마다 특식으로 먹었는데 네 개를 끓였다. 겨울엔 떡국떡도 넣었다. 80년대부터 라면은 부흥기를 맞았다. 라면 종류가 다양해졌다. 너구리, 안성탕면 등 신제품이 쏟아져 나왔다. 그 중 컵라면은 라면계의 혁명이었다. 내가 고3때 농심에서 '사발면'으로 처음 출시됐는데 어디서나 간편하게 뜨거운 물만 부으면 먹을 수 있고, 가늘고 꼬들꼬들한 면이 특이했다. 수업시간만 되면 잠귀신이 붙은 것처럼 졸다가도 도시락 먹고 후식으로 사발면 먹을 땐 눈이 반짝였다.

지금까지 살면서 무수히 먹은 라면이지만 잊을 수 없는 라면이 있다. 어느 해 5월 태안 해변길을 종일 걸었다. 고운 모래밭과 들꽃이 예뻤다. 소금기 머금은 서풍을 맞으면서 걸으니 콧노래가 절로 나왔다. 간식거리로 싸온 떡과 과자도 먹었다. 해가 머리 위에서 이글거릴 무렵, 배가 고파 식당을 찾았는데 보이지 않았다. 가도 가도 식당은 없었다. 허기지다 못해 식은땀이 나고 손이 떨렸다. 빨리 뭘 먹지 않으면 쓰러질 것 같았다. 언덕길을 올라 마을에 들어서자 마당에서 세차 중인 노인이 보였다. 배를 움켜쥐고 근처에 식당이 있는지를 물었다. "시골 마을에 무슨 식당이 있겠소. 밥은 없고 찬장에 라면 하나 있는데 끓여 먹어요. 난 세차 중이라서."



주방에 가서 재빨리 라면을 끓였다. 내 집인 양 냉장고를 열고 겉절이도 꺼내 식탁에 놓았다. 뜨거운 김을 들이마시며 마파람에 게 눈 감추듯 라면을 먹어치웠다. 적당히 익은 배추겉절이와 라면이 찰떡궁합이었다. 국물까지 다 마시고 겉절이도 싹 비웠다. 비로소 살 것 같았다. 신바람 나게 설거지를 해 놓고 마당으로 나갔다. 어르신에게 이렇게 맛있는 라면은 처음 먹어본다며 수다를 떨었다. "어이구, 배고프니까 맛있지 뭘. 껄껄." 알고 보니 그 집은 별장이었다. 어쩐지 살림이 단출했다. 서울에 사는 노신사는 가족과, 때론 혼자 별장에 내려와 낚시도 하고 쉬었다 간단다. "태안 놀러오면 여기서 묵고 가요. 열쇠는 현관 옆 창문 틈에 있으니까." 생면부지의 이방인에게 이토록 호의를 베풀다니, 어르신이 보여준 나에 대한 믿음에 가슴이 뭉클했다. 라면은 언제 먹어도 맛있다. 염천에 뜨거운 라면을 후루룩거리며 시큼한 총각김치와 먹는 맛도 끝내준다. 나중에 찬밥 말아먹는 것도 필수! <미디어부 부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1기 신도시 재건축 '판 깔렸지만'…못 웃는 지방 노후계획도시
  2. 밀알복지관 가족힐링캠프 '함께라서 행보캠'
  3.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
  4. 축산업의 미래, 가축분뇨 문제 해결에 달렸다
  5. 교정시설에서 동료 수형자 폭행 '실형'…기절시켜 깨우는 행위 반복
  1. 대전행복나눔무지개푸드마켓 1호점 공식 카카오톡 채널 개설
  2. 농산 부산물, 부가가치 창출...환경과 경제 살리는 동력
  3. 어촌서 재충전, '쉬어(漁)가요' 프로그램 참가자 모집
  4. 챗봇 '해수호봇', 해양안전 디지털 혁신 이끈다
  5. 정부 부동산 대책 지방 위한 추가대안 마련 시급

헤드라인 뉴스


정청래 국회연설 "내란청산은 정치보복이 아니다"

정청래 국회연설 "내란청산은 정치보복이 아니다"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는 9일 “남북이 다시 손잡는 핵심은 경제협력이고, 우리는 경제통일에 민생통일을 추가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 “통일부가 2026년 남북협력기금으로 1조 25억원을 편성했다. 주목할 것은 경제협력사업 예산으로, 606억원에서 1789억원으로 세 배가량 증가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개성공단과 같은 경제협력 사업의 재개를 위해 필요한 도로와 폐수 시설 같은 복구와 구축 사업 예산”이라며 “남북이 힘을 합치면 경제 규모도 커지고 일자리도 늘어나고, 동..

국내 증시 조정에도…충청권 상장사는 `선방`
국내 증시 조정에도…충청권 상장사는 '선방'

새 정부 출범 이후 가파른 상승세를 타던 국내 증시가 최근 조정 국면을 맞고 있지만, 충청권 상장사들은 비교적 선방하고 있다. 전체적인 시장의 침체 분위기 속 8월 한 달 간 충청권 상장법인의 시가총액 합계는 전월 대비 0.3%(4074억 원) 증가한 152조 3402억 원에 도달했다. 한국거래소 대전혁신성장센터가 9일 발표한 대전·충청지역 상장사 증시 동향에 따르면 8월 충청권 상장법인의 시가총액은 152조 3402억 원으로 전월(151조 9328억 원) 대비 0.3% 증가했다. 8월 한 달 동안 대전·세종·충남 지역의 시총은 근..

대전 공기업 임원 교체 `바람` 불까…대전관광공사 임원 교체 가닥
대전 공기업 임원 교체 '바람' 불까…대전관광공사 임원 교체 가닥

민선 8기 대전시 출범 이후 임명된 시 산하 공기업 임원이 속속 임기를 마치면서 연임과 교체의 '갈림길'에 놓였다. 이장우 시장의 임기가 1년도 남지 않은 상황에서 물갈이를 통한 조직 변화를 꾀할지, 연장으로 막바지 조직 안정화를 선택할지에 대한 관심이 쏠린다. 9일 대전시에 따르면 시 출자·출연 기관장은 시장과 임기를 같이 하기로 조례로 정했지만, 시 산하 공기업은 지방공기업법을 적용받아 이와 무관하다. 이에 민선 8기 출범 이후 임명된 시 산하 공기업 임원들의 3년 임기가 순차적으로 끝나고 있다. 대전관광공사는 임원 교체 분위기..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올바른 손씻기로 식중독 예방해요’ ‘올바른 손씻기로 식중독 예방해요’

  • 전통시장 화재안전 집중조사 전통시장 화재안전 집중조사

  • ‘한국의 情을 고향에 전하세요’ ‘한국의 情을 고향에 전하세요’

  •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