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난순의 식탐] 난 총각김치, 넌?

  • 오피니언
  • 우난순의 식탐

[우난순의 식탐] 난 총각김치, 넌?

  • 승인 2020-12-02 10:30
  • 신문게재 2020-12-03 18면
  • 우난순 기자우난순 기자
1155108493
게티이미지 제공
그때만 되면 늘 추웠다. 간혹 눈발도 날렸다. 이리저리 흩날리는 눈송이를 쫓아다니는 아이들과 강아지만 신났다. 어른들은 손이 열 개라도 모자랄 판이다. 일년 중 명절만큼 큰 대사를 치르는 시기다. 어린 내 눈엔 썩은 생선인데 엄마는 그걸 사골 고듯 푹푹 끓였다. 왜 썩은 생선을 먹어야 하는지 나로선 이해가 안됐다. 황새기젓(황석어젓)이란다. 엄마는 그걸 넣어야 김치가 맛있다고 했다. 황석어젓 끓는 냄새는 하루종일 온 집안에 진동했다. 보기엔 역겹지만 냄새는 그리 싫지 않았다. 구수한 냄새가 입맛을 다시게 할 정도였으니까. 엄마는 컴컴한 새벽에 일어나 얼음장 같은 물에 전날 소금을 뿌려 절여 놓은 배추를 씻었다. 아침에 졸린 눈을 비비며 마당에 나가보면 머리를 감고 참빗으로 곱게 빗은 것처럼 숨죽은 배추가 채반에 산처럼 쌓여 있었다. 김장하는 날이다.

그 시절 시골에선 김장김치를 짠지라고 불렀다. 짜서 짠지라고 불렀을 것이다. 지금은 아주 좋아하지만 어릴 적 난 생김치는 그다지 좋아하지 않았다. 김칫국 정도나 겨우 먹을까. 짠 건 딱 질색이었다. 30대 중반까지도 푹 익으면 그때서야 찌개나 국을 끓여 먹곤 했다. 짜지 않은 삼삼한 김치를 먹기 전까지는 말이다. 유년 시절, 한 겨울 깊은 밤에 먹었던 동치미는 맛의 추억이다. 겨울이라 저녁을 일찍 먹은 탓에 배가 출출하기 마련이지만 딱히 먹을 건 없었다. 그러면 엄마는 동치미 무를 길쭉길쭉하게 썰어 큰 대접에 국물과 함께 가져온다. 식구마다 하나씩 들고 먹으면서 얼음이 뜬 새콤한 국물을 마시면 잠이 확 달아난다. 어떤 날엔 장독대 옹기에 쟁여놓은 홍시도 먹는다. 추운 겨울 최고의 군것질거리다. 문명화 되지 않은 겨울밤은 참 길었다.

중 3때 방영웅의 『분례기』를 처음 읽었다. 1967년 '창작과 비평'에 연재된 장편소설인데 그 후로 열 번도 넘게 읽은 것 같다. 소설의 무대는 충남 예산으로 60년대 가난한 농촌 사람들의 삶을 질펀하게 그렸다. 걸쭉한 충청도 말과 등장인물들의 개성있는 성격, 그 중 노름꾼 석 서방의 딸로 뒷간에서 태어난 '똥례(糞禮)'의 불행한 삶이 강렬했다. 똥례는 허랑방탕한 아버지와 어머니 대신 밥 하고 산에 나무하러 다니는 게 일이다. 찢어지게 가난해서 남들 다하는 김장조차 못한 똥례네는 봄에 이웃 사람들에게 시어 터진 김치를 얻어다 먹는다. 밥상에 둘러앉아 신 김치를 쭉쭉 찢어 밥에 얹어 먹는 똥례네 식구들의 볼이 미어터진다. 내 입안에도 침이 고인다.

김치는 밥을 먹는 한국인에게 없어선 안 되는 음식이다. 돈가스 먹을 때도 김치가 나온다. 밥과 함께. 한국인의 유전자엔 김치에 대한 맛의 기억이 각인돼 있다. 지금 내가 먹는 음식들의 기원을 생각하면 그저 신기할 따름이다. 어떻게 배추, 무라는 풀을(처음엔 그냥 풀이었겠지) 요리해 먹게 됐을까. 경험만큼 큰 선생도 없다. 김치는 재료가 다양하다. 굴, 생태, 낙지, 생새우, 황석어젓, 조기젓 등 지역 산물이 반영된다. 종류는 또 어떤가. 갓김치는 20여년 전 여수 향일암 아래 슈퍼에서 컵라면을 먹으면서 맛 봤다. 톡 쏘는 맛과 향이 독특했다. 이젠 여수 하면 갓김치가 떠오른다. 내가 제일 좋아하는 김치는 총각김치다. 알맞게 익은 총각김치를 뜨거운 밥과 먹으면 꿀맛이다. 라면 먹을 때도 최고다. 어느 날 친구가 총각김치가 왜 총각김치로 불리는지 아느냐고 물었다. 생각해보니 왜 '총각'일까 궁금했다. 친구는 총각의 은밀한 부위와 모양이 닮아서라고 했다. 그으래? 인간의 정신세계를 지배하는 건 리비도라고 주장한 프로이트가 무릎을 탁 칠 법하지 않은가. 총각김치를 먹을 때 아주 가끔 친구의 말이 생각나 키득거린다. 새곰새곰한 총각김치를 앙 베어 먹는다. 아삭!



<미디어부 부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1기 신도시 재건축 '판 깔렸지만'…못 웃는 지방 노후계획도시
  2. 밀알복지관 가족힐링캠프 '함께라서 행보캠'
  3.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
  4. 축산업의 미래, 가축분뇨 문제 해결에 달렸다
  5. 교정시설에서 동료 수형자 폭행 '실형'…기절시켜 깨우는 행위 반복
  1. 대전행복나눔무지개푸드마켓 1호점 공식 카카오톡 채널 개설
  2. 농산 부산물, 부가가치 창출...환경과 경제 살리는 동력
  3. 어촌서 재충전, '쉬어(漁)가요' 프로그램 참가자 모집
  4. 챗봇 '해수호봇', 해양안전 디지털 혁신 이끈다
  5. 정부 부동산 대책 지방 위한 추가대안 마련 시급

헤드라인 뉴스


정청래 국회연설 "내란청산은 정치보복이 아니다"

정청래 국회연설 "내란청산은 정치보복이 아니다"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는 9일 “남북이 다시 손잡는 핵심은 경제협력이고, 우리는 경제통일에 민생통일을 추가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 “통일부가 2026년 남북협력기금으로 1조 25억원을 편성했다. 주목할 것은 경제협력사업 예산으로, 606억원에서 1789억원으로 세 배가량 증가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개성공단과 같은 경제협력 사업의 재개를 위해 필요한 도로와 폐수 시설 같은 복구와 구축 사업 예산”이라며 “남북이 힘을 합치면 경제 규모도 커지고 일자리도 늘어나고, 동..

국내 증시 조정에도…충청권 상장사는 `선방`
국내 증시 조정에도…충청권 상장사는 '선방'

새 정부 출범 이후 가파른 상승세를 타던 국내 증시가 최근 조정 국면을 맞고 있지만, 충청권 상장사들은 비교적 선방하고 있다. 전체적인 시장의 침체 분위기 속 8월 한 달 간 충청권 상장법인의 시가총액 합계는 전월 대비 0.3%(4074억 원) 증가한 152조 3402억 원에 도달했다. 한국거래소 대전혁신성장센터가 9일 발표한 대전·충청지역 상장사 증시 동향에 따르면 8월 충청권 상장법인의 시가총액은 152조 3402억 원으로 전월(151조 9328억 원) 대비 0.3% 증가했다. 8월 한 달 동안 대전·세종·충남 지역의 시총은 근..

대전 공기업 임원 교체 `바람` 불까…대전관광공사 임원 교체 가닥
대전 공기업 임원 교체 '바람' 불까…대전관광공사 임원 교체 가닥

민선 8기 대전시 출범 이후 임명된 시 산하 공기업 임원이 속속 임기를 마치면서 연임과 교체의 '갈림길'에 놓였다. 이장우 시장의 임기가 1년도 남지 않은 상황에서 물갈이를 통한 조직 변화를 꾀할지, 연장으로 막바지 조직 안정화를 선택할지에 대한 관심이 쏠린다. 9일 대전시에 따르면 시 출자·출연 기관장은 시장과 임기를 같이 하기로 조례로 정했지만, 시 산하 공기업은 지방공기업법을 적용받아 이와 무관하다. 이에 민선 8기 출범 이후 임명된 시 산하 공기업 임원들의 3년 임기가 순차적으로 끝나고 있다. 대전관광공사는 임원 교체 분위기..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올바른 손씻기로 식중독 예방해요’ ‘올바른 손씻기로 식중독 예방해요’

  • 전통시장 화재안전 집중조사 전통시장 화재안전 집중조사

  • ‘한국의 情을 고향에 전하세요’ ‘한국의 情을 고향에 전하세요’

  •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