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난달 23일 허태정 대전시장이 시청 기자브리핑실에서 간담회를 열어 시정 소회를 밝히고 있다. |
허태정 시장은 최근 중도일보와 만난 자리에서, "그동안 초선 시장으로 시정의 성과를 만드는 기본에 충실했다"면서 "그것(시정)을 잘해야 다음 얘기를 할 수 있어 지난 3년간은 안 살림에 집중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부족하지만, 어느 정도 자리 잡았고 이제는 국가와 사회가 함께 고민해야 할 과제에 대해 입장을 풀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동안 역대 대부분의 시장은 지방선거가 임박해도 ‘시정에 전념하는 게 선거운동’이라며 별다른 언급을 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허 시장의 ‘이제는 말하겠다’는 선언은 여러 해석을 낳고 있다.
허 시장 측근들은 그간 시정 현안에 집중해왔다면, 올해부터는 정치·사회 현안에 대한 철학이나 입장을 공개적으로 언급하면서 원래대로 ‘정치인 출신’ 시장의 면모를 갖추겠다는 의미로 보면 된다고 했다.
허태정 시장은 2018년 지방선거에서 당시 공석이던 대전시장 자리에 사실상 ‘무혈입성’이라는 평가가 나올 정도로 무난하게 올랐다. 하지만 구청장 출신의 첫 시장이라는 꼬리표로 다선의원이 많은 지역정치권과 노련한 관료사회에 대한 장악력은 여전히 진행 중이다.
여기에 중소벤처기업부 이전과 유성복합터미널 등 굵직한 대전시 현안 사업에서도 고배를 마시며 눈에 띄는 실력을 발휘하지 못했다. 물론, 혁신도시와 대전역세권 사업 등 현안사업을 잘 마무리했지만, 전임 시장 때부터 이어진 사업이라는 점에서 지분을 말하기는 애매하다.
국민의힘 장동혁 대전시당 위원장은 "과학도시라는 이름이 무색하게 연구단지가 활력을 읽어가고 중기부 이전도 막아내지 못했다"면서 "3년 동안 대전이 무엇이 바뀌었는지 되묻고 싶다"고 평가했다.
이러는 사이 이웃인 양승조 충남도지사는 처음으로 대권 행보를 언급하며 주목받았고, 원희룡 제주도지사도 정부와 여당을 겨냥해 날선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특히 여권이 장악했던 서울시장과 부산시장이 낙마하면서 생긴 공간을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발빠르게 채우는 등 광역단체장들의 이슈 선점 경쟁을 허태정 대전시장은 바라보기만 해왔다.
무엇보다 충청 출신이 국회의장과 부의장을 맡고 지역 국회의원이 모두 민주당임에도 대정부 현안사업을 제대로 풀어내지 못하고 있으며, 모두 같은 당인 구청장들과는 마찰이 끊이지 않고 있다. 재선 가도(街道)에 빨간불이 들어온 상태라고 할 수 있다.
허 시장 측의 모 인사는 “그동안은 코로나19 대처와 시정 안정에 방점을 두며 행정가로서의 면모를 갖추기 위한 시간이었다면, 올해부터는 정치력을 끌어올리는데 중점을 둘 것”이라며 “SNS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해 활동반경을 넓히고, 사회적 공정 등을 위한 과감한 ‘사이다’ 행보를 시작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현제 기자 guswp3@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