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속으로]언텍트 사회의 버팀목은 멀리 있지 않다

  • 오피니언
  • 세상속으로

[세상속으로]언텍트 사회의 버팀목은 멀리 있지 않다

김재석 소설가

  • 승인 2021-01-25 08:15
  • 신성룡 기자신성룡 기자
2020121401001162900045351
김재석 소설가
"Autumn is second spring when every leaf is a flower"(모든 잎에 꽃이 피는 가을은 두 번째 봄이다)

프랑스 소설가 알베르 카뮈의 이 말은 가을의 이미지를 봄의 생동감으로 바꿔놓았다. 단지 '잎이 물든다'를 '꽃이 피다'로 바꾸었을 뿐인데, 시들고 퇴색하는 모든 것에 찬사를 보내며 인생의 화양연화와 같은 그 시절을 다시금 떠올리게 한다.

2021년 입춘도 얼마 남지 않았다. '겨울은 봄을 이길 수 없다.'라는 좋은 글귀처럼 코로나19로 움츠린 일상에서 봄처럼 기지개를 켰으면 한다. 지난해 12월과 비교하면 올해는 하루 400여 명대로 코로나19 확진자가 줄긴 했다. 그래도 내 주위에 누가 무증상 감염자인지 알 수 없다. 세계적으론 변종 바이러스까지 나오면서 지금 개발된 백신이 과연 코로나 시대를 막 내릴 수 있을지 의심이 들기까지 한다. 어떤 이는 앞으로 랜선(온라인) 여행 시대가 올지 모른다며 VR이나 가상세계에서 즐기는 여행상품이 나오지 않을까 했다. 비대면 시대에 공감되는 말이지만 왠지 서글픈 생각도 든다. 인간은 과연 어디에서 실존해야 하는가? 하는 의문 말이다.

정말 어떤 이의 말처럼 세계여행을 자유롭게 다니며, 각종 연말연시 모임이 난무했던 때는 그리운 화양연화와 같은 시절로 남을지 모른다. 코로나19는 세계는 연결사회이며, 누구나 가해자와 피해자가 될 수 있고, 인간 실존 그 자체를 의심하는 비대면 사회로의 가속 페달을 밟아 갈 것이다.



알베트 카뮈는 '페스트'라는 소설로도 유명하다. 흑사병으로 불린 페스트는 14세기 유럽을 강타한 전염병이다. 카뮈는 이 페스트를 20세기 오랑이라는 도시로 가져와 전염병에 맞서 싸우는 사람들의 투쟁을 그린다. 폐쇄된 도시에서 누구나 전염병에 의해 가해자도 피해자도 될 수 있는 상황, 그는 소설에서 이 부조리한 현실에 맞서 연대의식을 통해 인간다움을 추구하는 길만이 희망이라는 메시지를 남긴다. 카뮈가 페스트를 끌고 와 신을 떠나보낸 20세기 소외된 인간 실존을 말했다면, 이제 21세기는 코로나19를 끌고 와 신뿐만 아니라, 인간의 대면 관계도 끊어진 언텍트 사회에서 인간실존을 이야기해야 할지 모른다.

그런데 달리 생각해 보면 이런 상황이 나와 내 주변의 삶을 돌아보게 하는 계기가 되지 않을까 싶다. 마치 파랑새를 쫓아 먼 곳을 바라보다 정작 내 등잔 밑은 어두웠던 건 아닌가? 하고 말이다. 내가 무분별하게 사용한 플라스틱이 생태계에 치명적인 상처를 주었고, 내가 끌고 다닌 자동차 매연으로 지구온난화를 가속해 기후변화를 가져온 것은 아닌지…, 내 주위에 어떤 이웃이 사는지 무관심했던 나 자신을 돌아볼 일이다.

만약 비대면 사회가 가속화된다면, 카뮈의 말처럼 내 주위의 연대의식을 통해 인간다움을 회복할 일이다. 내 가족, 동네 분들에게 따뜻한 말로 위로하고, 문 앞까지 배달해 주는 택배기사나 음식 배달원에게 고맙다는 인사를 건넬 일이다. 그동안 꽃이 아닌 잎으로만 존재했던 사람들이 다 꽃으로 피어날 때 우리의 봄은 성큼 다가올 것이다. 언텍트 사회의 버팀목은 멀리 있지 않다.

/김재석 소설가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이진숙 교육장관 후보자 첫 출근 "서울대 10개 만들기, 사립대·지방대와 동반성장"
  2. '개원 53년' 조강희 충남대병원장 "암 중심의 현대화 병원 준비할 것"
  3. 법원, '초등생 살인' 명재완 정신감정 신청 인용…"신중한 심리 필요"
  4. 33도 폭염에 논산서 60대 길 걷다 쓰러져…연일 온열질환 '주의'
  5. 세종시 이응패스 가입률 주춤...'1만 패스' 나오나
  1. 필수의료 공백 대응 '포괄2차종합병원' 충청권 22곳 선정
  2. 폭력예방 및 권리보장 위한 협약 체결
  3. 임채성 세종시의장, 지역신문의 날 ‘의정대상’ 수상
  4. 건물 흔들림 대전가원학교, 결국 여름방학 조기 돌입
  5. (사)한국청소년육성연맹, 관저종합사회복지관에 후원물품 전달식

헤드라인 뉴스


야권에서도 비충청권서도… 해수부 부산이전 반대 확산

야권에서도 비충청권서도… 해수부 부산이전 반대 확산

이재명 정부가 강공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에 반대하는 목소리가 보수야권을 중심으로 원심력이 커지고 있다. 그동안 충청권에서만 반대 여론이 들끓었지만, 행정수도 완성 역행과 공론화 과정 없는 일방통행식 추진되는 해수부 이전에 대해 비(非) 충청권에서도 불가론이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원내 2당인 국민의힘이 이 같은 이유로 전재수 장관 후보자 청문회와 정기국회 대정부질문, 국정감사 등 향후 정치 일정에서 해수부 이전에 제동을 걸고 나설 경우 이번 논란이 중대 변곡점을 맞을 전망이다. 전북 익산 출신 국민의힘 조배숙..

李정부 민생쿠폰 전액 국비로… 충청권 재정숨통
李정부 민생쿠폰 전액 국비로… 충청권 재정숨통

이재명 정부가 민생 회복을 위해 지급키로 한 소비쿠폰이 전액 국비로 지원된다. 이로써 충청권 시도의 지방비 매칭 부담이 사라지면서 행정당국의 열악한 재정 여건이 다소 숨통을 틀 것으로 기대된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는 1일 전체회의를 열어 13조2000억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관련 추가경정예산안을 의결했다. 행안위는 이날 2조9143억550만원을 증액한 2025년도 행정안전부 추경안을 처리했다. 행안위는 소비쿠폰 발행 예산에서 중앙정부가 10조3000억원, 지방정부가 2조9000억원을 부담하도록 한 정부 원안에서 지방정..

대전·충남기업 33곳 `초격차 스타트업 1000+` 뽑혔다
대전·충남기업 33곳 '초격차 스타트업 1000+' 뽑혔다

대전과 충남의 스타트업들이 정부의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에 대거 선정되며, 딥테크 기술창업 거점도시로 거듭나고 있다. 1일 중소벤처기업부가 주관하는 '2025년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에 전국 197개 기업 중 대전·충남에선 33개 기업이 이름을 올렸다. 이는 전체의 16.8%에 달하는 수치로, 6곳 중 1곳이 대전·충남에서 배출된 셈이다. 특히 대전지역에서는 27개 기업이 선정되며, 서울·경기에 이어 비수도권 중 최다를 기록했다. 대전은 2023년 해당 프로젝트 시행 이래 누적 선정 기업 수 기준으로..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수영하며 야구본다’…한화 인피니티풀 첫 선 ‘수영하며 야구본다’…한화 인피니티풀 첫 선

  • 시구하는 김동일 보령시장 시구하는 김동일 보령시장

  • 故 채수근 상병 묘역 찾은 이명현 특검팀, 진실규명 의지 피력 故 채수근 상병 묘역 찾은 이명현 특검팀, 진실규명 의지 피력

  • 류현진, 오상욱, 꿈씨패밀리 ‘대전 얼굴’ 됐다 류현진, 오상욱, 꿈씨패밀리 ‘대전 얼굴’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