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난순의 식탐] 중국산 김치와 양심

  • 오피니언
  • 우난순의 식탐

[우난순의 식탐] 중국산 김치와 양심

  • 승인 2021-03-24 10:45
  • 우난순 기자우난순 기자
image_readtop_2021_265854_16162137954579748
연합뉴스
꼬르륵. 뱃속에서 밥 달라고 아우성이다. 벌써 점심시간이다. 모처럼 우리 부서의 조촐한 회식이다. 코로나 땜에 배달음식을 시켜먹기로 했다. 메뉴는 분식. 나는 김치볶음밥을 주문했다. 기름이 자르르 흐르는 매콤한 김치볶음밥. 생각만 해도 입안에 침이 고였다. 탁자 위에 음식을 펼쳐놓고 빙 둘러앉아 드디어 개시! 김치볶음밥을 한 숟가락 떠 입에 넣었다. 그런데, 이건 뭐지? 상상했던 그 맛이 아니었다. 사포로 박박 문지른 쌀로 밥을 한 건지 밥 알갱이가 찰기가 없고 퍽퍽했다. 한 10년 묵은 쌀 같았다. 김치도 물러 터져 아삭한 맛이 하나도 안 났다. 어떡하면 맛없게 만들까 궁리한 음식 같았다. 배가 고파 다 먹긴 했는데 다시는 먹고 싶지 않았다. 아, 배달음식이 이런 거구나. 집에서 배달음식을 시켜먹지 않는 나로선 놀라울 따름이었다. 한 후배가 수준 떨어지는 배달음식이 많다고 귀띔했다. 도대체 어떤 재료로 어떻게 만들길래.

설마, 그거였나? 중국 김치 공장 영상은 충격적이었다. 보는 순간 속이 울렁거려 토할 뻔 했다. 이 영상은 며칠간 온라인을 뜨겁게 달궜다. 흙탕물 같은 누런 소금물에 절인 배추를 알몸의 남자가 모으고 옆에선 녹슨 굴착기가 들어올리고, 갈퀴로 고추더미를 뒤집자 쥐들이 우르르 튀어 나오고, 인부들은 신발을 신은 채 배추를 밟고 있고. 그 비위생적인 광경에 치가 떨렸다. 식당 밥은 속아주고 먹는다는 얘기가 있다. 철 수세미 조각이 나오면 아무렇지 않게 쓰윽 버리지만 비위가 상한다. 음식 재료도 못 믿는 건 마찬가지다. 혹시 중국산? 의심은 끝이 없다. 내가 사는 동네엔 얼마전 배달만 하는 파스타 집이 생겼다. 3평이나 될까? 무슨 꿍꿍인지 창문을 다 가려 안을 볼 수 없게 해놨다. 영화 '미나리'에서 윤여정은 눈에 안 보이는 것은 더 위험하다고 했다.



우리의 식탁은 저질 중국산이 점령했다. 어쩌다 이렇게 됐을까. 김치는 물론이고 조기, 낙지, 밤, 표고버섯, 저질 찐쌀, 고춧가루…. 마트건 시장이건 물건을 살 때마다 께름칙한 마음이 드는 건 어쩔 수 없다. 흙 하나 안 묻은 뽀얀 무와 피망이 아무리 국산이라 해도 믿을 수 없게 됐다. 하나에 천원 하는 브로콜리가 황해바다 건너온 채소일지 누가 알겠는가. 지난 설에 차례 지내고 먹은 곶감은 어떻고. 사실 모르고 먹기도 하지만 알면서도 먹는다. 싸기 때문이다. 중국산은 국산의 절반 가격도 안된다. 김치만 해도 음식점의 80%는 중국산 김치를 쓴다고 한다. 업주로선 훨씬 저렴한 중국산 김치를 쓰면 이문이 남는 걸 뻔히 아는데 굳이 마다할 이유가 없는 것이다. 질 나쁜 먹거리를 만드는 중국인과 싸구려만 찾는 한국인의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진 셈이다.

중국에선 요리사가 재상이라는 말이 있다. 요리는 나라를 다스리는 것과 같다는 이치다. 그만큼 중요하다는 얘기다. 이안 감독의 영화 '음식남녀'엔 산해진미가 나온다. 동파육, 북경요리, 훠궈 등 화려하고 멋들어진 요리가 관객의 눈과 식욕을 사정없이 자극한다. 이 영화는 중국인의 자국 요리에 대한 자부심이 얼마나 큰 지 보여준다. 허나 지금의 중국산 먹거리는 위험한 것으로 간주된다. 중국 작가 저우칭은 자신의 책에서 중국 음식이 얼마나 끔찍한 지 낱낱이 까발린다. 마약 생선탕부터 유황 소금까지 온갖 먹거리가 망라돼 있다. 우리가 저질 중국산 먹거리를 안 먹는 방법은 뭘까. 답은 수입 먹거리에 대한 정부의 엄격한 검사와 외식업주의 양심에 있다. 사족 하나. 부산에 여행가서 중국 관광객을 많이 봤다. 그들은 어른, 아이 할 것 없이 쓰레기통이 옆에 있는데도 쓰레기를 바닥에 마구 버렸다. 새치기도 예사다. 일반화의 오류일 수 있지만 '대국'을 자처하는 중국인의 국민성에 대해 생각하곤 했다. <디지털룸 2팀 부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경기 프리미엄버스 P9603번 운행개시
  2. [기획] 의정부시, 우리동네 정책로드맵 ‘장암동편’
  3. 유성복합터미널 3개사 공동운영체 출범…터미널·정류소 흡수·통합 본격화
  4. 첫 대전시청사 복원활용 탄력 붙는다
  5. 누리호 4차 발사 D-4… 국민 성공기원 분위기 고조
  1. '세종시=행정수도' 진원지, 국가상징구역...공모작 살펴보니
  2. '최대 30만 원 환급' 상생페이백, 아직 신청 안 하셨어요?
  3. 충남도 청렴 파트너 '제8기 도민감사관' 출범
  4. 헌법파괴 비윤리적 2025 인구주택총조사 국가데이터처 규탄 기자회견
  5. 홀트대전한부모가족복지상담소, 대전아동기관단체와 협약

헤드라인 뉴스


대출에 짓눌린 대전 자영업계…폐업률 6대 광역시 중 두번째

대출에 짓눌린 대전 자영업계…폐업률 6대 광역시 중 두번째

대전지역 자영업자들이 극심한 불황을 견디지 못하고 잇따라 폐업의 길로 내몰리고 있다. 특히 도소매업의 경우 대출 증가와 폐업률 상승이 두드러지면서, 이들을 위한 금융 리스크 관리와 맞춤형 정책 지원이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24일 한국은행 대전세종충남본부가 발표한 '대전지역 자영업 현황 및 잠재 리스크 점검'에 따르면 2025년 2분기 기준 대전지역 자영업자 수는 15만 3000명으로 집계됐다. 2023년 이후 감소세를 보인 다른 광역시와 달리 대전의 자영업 규모는 오히려 확대되는 추세다. 전체 취업자 수 대비 자영업자가 차..

갑천에서 18홀 파크골프장 무단조성 물의… 대전시, 체육단체장 경찰 고발
갑천에서 18홀 파크골프장 무단조성 물의… 대전시, 체육단체장 경찰 고발

대전 유성구파크골프협회가 맹꽁이와 삵이 서식하는 갑천 하천변에서 사전 허가 없이 골프장 조성 공사를 강행하다 경찰에 고발당했다. 스프링클러를 설치하고 나무를 심으려 굴착기를 동원해 임의로 천변을 파내는 중에 경찰이 출동해 공사가 중단됐는데, 협회에서는 이곳이 근린친수구역으로 사전 하천점용허가가 없어도 되고 불법도 아니라는 입장이다. 24일 대전시하천관리사업소와 대전충남녹색연합에 따르면, 유성구 탑립동 용신교 일대의 갑천변에서 11월 15일부터 17일까지 굴착기가 땅을 헤집는 공사가 이뤄졌다. 대덕테크노밸리에서 대덕구 상서동으로 넘어..

세종 도시재생 `컨트롤타워` 생긴다… 본보 지적에 후속대책
세종 도시재생 '컨트롤타워' 생긴다… 본보 지적에 후속대책

<속보>=세종시 도시재생사업을 총괄 운영할 '컨트롤타워'가 내년 상반기 내 설립될 예정이다. 국비 지원 중단 등 재정난 속 17개 주민 거점시설에 대한 관리·운영 부실 문제를 지적한 중도일보 보도에 후속 대책을 내놓은 것이다. <중도일보 11월 19일자 4면 보도> 세종시는 24일 오전 10시 기자간담회를 통해 도시재생 사업의 주민 거점시설 운영 현황과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본보는 10년 차 세종시 도시재생 사업을 추진하는 광역도시재생지원센터와 현장지원센터 5곳이 폐쇄한 작금의 현실을 고발하며, 1000억 원에 달하는 혈세 투입..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주렁주렁 ‘감 따기’ 주렁주렁 ‘감 따기’

  • 대전 불꽃쇼 기간 도로 통제 안내 대전 불꽃쇼 기간 도로 통제 안내

  • 주택재건축 부지 내 장기 방치 차량 ‘눈살’ 주택재건축 부지 내 장기 방치 차량 ‘눈살’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