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난순의 식탐] 중국산 김치와 양심

  • 오피니언
  • 우난순의 식탐

[우난순의 식탐] 중국산 김치와 양심

  • 승인 2021-03-24 10:45
  • 우난순 기자우난순 기자
image_readtop_2021_265854_16162137954579748
연합뉴스
꼬르륵. 뱃속에서 밥 달라고 아우성이다. 벌써 점심시간이다. 모처럼 우리 부서의 조촐한 회식이다. 코로나 땜에 배달음식을 시켜먹기로 했다. 메뉴는 분식. 나는 김치볶음밥을 주문했다. 기름이 자르르 흐르는 매콤한 김치볶음밥. 생각만 해도 입안에 침이 고였다. 탁자 위에 음식을 펼쳐놓고 빙 둘러앉아 드디어 개시! 김치볶음밥을 한 숟가락 떠 입에 넣었다. 그런데, 이건 뭐지? 상상했던 그 맛이 아니었다. 사포로 박박 문지른 쌀로 밥을 한 건지 밥 알갱이가 찰기가 없고 퍽퍽했다. 한 10년 묵은 쌀 같았다. 김치도 물러 터져 아삭한 맛이 하나도 안 났다. 어떡하면 맛없게 만들까 궁리한 음식 같았다. 배가 고파 다 먹긴 했는데 다시는 먹고 싶지 않았다. 아, 배달음식이 이런 거구나. 집에서 배달음식을 시켜먹지 않는 나로선 놀라울 따름이었다. 한 후배가 수준 떨어지는 배달음식이 많다고 귀띔했다. 도대체 어떤 재료로 어떻게 만들길래.

설마, 그거였나? 중국 김치 공장 영상은 충격적이었다. 보는 순간 속이 울렁거려 토할 뻔 했다. 이 영상은 며칠간 온라인을 뜨겁게 달궜다. 흙탕물 같은 누런 소금물에 절인 배추를 알몸의 남자가 모으고 옆에선 녹슨 굴착기가 들어올리고, 갈퀴로 고추더미를 뒤집자 쥐들이 우르르 튀어 나오고, 인부들은 신발을 신은 채 배추를 밟고 있고. 그 비위생적인 광경에 치가 떨렸다. 식당 밥은 속아주고 먹는다는 얘기가 있다. 철 수세미 조각이 나오면 아무렇지 않게 쓰윽 버리지만 비위가 상한다. 음식 재료도 못 믿는 건 마찬가지다. 혹시 중국산? 의심은 끝이 없다. 내가 사는 동네엔 얼마전 배달만 하는 파스타 집이 생겼다. 3평이나 될까? 무슨 꿍꿍인지 창문을 다 가려 안을 볼 수 없게 해놨다. 영화 '미나리'에서 윤여정은 눈에 안 보이는 것은 더 위험하다고 했다.

우리의 식탁은 저질 중국산이 점령했다. 어쩌다 이렇게 됐을까. 김치는 물론이고 조기, 낙지, 밤, 표고버섯, 저질 찐쌀, 고춧가루…. 마트건 시장이건 물건을 살 때마다 께름칙한 마음이 드는 건 어쩔 수 없다. 흙 하나 안 묻은 뽀얀 무와 피망이 아무리 국산이라 해도 믿을 수 없게 됐다. 하나에 천원 하는 브로콜리가 황해바다 건너온 채소일지 누가 알겠는가. 지난 설에 차례 지내고 먹은 곶감은 어떻고. 사실 모르고 먹기도 하지만 알면서도 먹는다. 싸기 때문이다. 중국산은 국산의 절반 가격도 안된다. 김치만 해도 음식점의 80%는 중국산 김치를 쓴다고 한다. 업주로선 훨씬 저렴한 중국산 김치를 쓰면 이문이 남는 걸 뻔히 아는데 굳이 마다할 이유가 없는 것이다. 질 나쁜 먹거리를 만드는 중국인과 싸구려만 찾는 한국인의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진 셈이다.

중국에선 요리사가 재상이라는 말이 있다. 요리는 나라를 다스리는 것과 같다는 이치다. 그만큼 중요하다는 얘기다. 이안 감독의 영화 '음식남녀'엔 산해진미가 나온다. 동파육, 북경요리, 훠궈 등 화려하고 멋들어진 요리가 관객의 눈과 식욕을 사정없이 자극한다. 이 영화는 중국인의 자국 요리에 대한 자부심이 얼마나 큰 지 보여준다. 허나 지금의 중국산 먹거리는 위험한 것으로 간주된다. 중국 작가 저우칭은 자신의 책에서 중국 음식이 얼마나 끔찍한 지 낱낱이 까발린다. 마약 생선탕부터 유황 소금까지 온갖 먹거리가 망라돼 있다. 우리가 저질 중국산 먹거리를 안 먹는 방법은 뭘까. 답은 수입 먹거리에 대한 정부의 엄격한 검사와 외식업주의 양심에 있다. 사족 하나. 부산에 여행가서 중국 관광객을 많이 봤다. 그들은 어른, 아이 할 것 없이 쓰레기통이 옆에 있는데도 쓰레기를 바닥에 마구 버렸다. 새치기도 예사다. 일반화의 오류일 수 있지만 '대국'을 자처하는 중국인의 국민성에 대해 생각하곤 했다. <디지털룸 2팀 부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1기 신도시 재건축 '판 깔렸지만'…못 웃는 지방 노후계획도시
  2. 밀알복지관 가족힐링캠프 '함께라서 행보캠'
  3.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
  4. 축산업의 미래, 가축분뇨 문제 해결에 달렸다
  5. 교정시설에서 동료 수형자 폭행 '실형'…기절시켜 깨우는 행위 반복
  1. 대전행복나눔무지개푸드마켓 1호점 공식 카카오톡 채널 개설
  2. 농산 부산물, 부가가치 창출...환경과 경제 살리는 동력
  3. 어촌서 재충전, '쉬어(漁)가요' 프로그램 참가자 모집
  4. 챗봇 '해수호봇', 해양안전 디지털 혁신 이끈다
  5. 정부 부동산 대책 지방 위한 추가대안 마련 시급

헤드라인 뉴스


정청래 국회연설 "내란청산은 정치보복이 아니다"

정청래 국회연설 "내란청산은 정치보복이 아니다"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는 9일 “남북이 다시 손잡는 핵심은 경제협력이고, 우리는 경제통일에 민생통일을 추가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 “통일부가 2026년 남북협력기금으로 1조 25억원을 편성했다. 주목할 것은 경제협력사업 예산으로, 606억원에서 1789억원으로 세 배가량 증가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개성공단과 같은 경제협력 사업의 재개를 위해 필요한 도로와 폐수 시설 같은 복구와 구축 사업 예산”이라며 “남북이 힘을 합치면 경제 규모도 커지고 일자리도 늘어나고, 동..

국내 증시 조정에도…충청권 상장사는 `선방`
국내 증시 조정에도…충청권 상장사는 '선방'

새 정부 출범 이후 가파른 상승세를 타던 국내 증시가 최근 조정 국면을 맞고 있지만, 충청권 상장사들은 비교적 선방하고 있다. 전체적인 시장의 침체 분위기 속 8월 한 달 간 충청권 상장법인의 시가총액 합계는 전월 대비 0.3%(4074억 원) 증가한 152조 3402억 원에 도달했다. 한국거래소 대전혁신성장센터가 9일 발표한 대전·충청지역 상장사 증시 동향에 따르면 8월 충청권 상장법인의 시가총액은 152조 3402억 원으로 전월(151조 9328억 원) 대비 0.3% 증가했다. 8월 한 달 동안 대전·세종·충남 지역의 시총은 근..

대전 공기업 임원 교체 `바람` 불까…대전관광공사 임원 교체 가닥
대전 공기업 임원 교체 '바람' 불까…대전관광공사 임원 교체 가닥

민선 8기 대전시 출범 이후 임명된 시 산하 공기업 임원이 속속 임기를 마치면서 연임과 교체의 '갈림길'에 놓였다. 이장우 시장의 임기가 1년도 남지 않은 상황에서 물갈이를 통한 조직 변화를 꾀할지, 연장으로 막바지 조직 안정화를 선택할지에 대한 관심이 쏠린다. 9일 대전시에 따르면 시 출자·출연 기관장은 시장과 임기를 같이 하기로 조례로 정했지만, 시 산하 공기업은 지방공기업법을 적용받아 이와 무관하다. 이에 민선 8기 출범 이후 임명된 시 산하 공기업 임원들의 3년 임기가 순차적으로 끝나고 있다. 대전관광공사는 임원 교체 분위기..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올바른 손씻기로 식중독 예방해요’ ‘올바른 손씻기로 식중독 예방해요’

  • 전통시장 화재안전 집중조사 전통시장 화재안전 집중조사

  • ‘한국의 情을 고향에 전하세요’ ‘한국의 情을 고향에 전하세요’

  •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