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강용식 전 한밭대 총장 "60년 4월 대전역서 충남도청까지 1500여명 행진"

  • 사람들
  • 인터뷰

[인터뷰] 강용식 전 한밭대 총장 "60년 4월 대전역서 충남도청까지 1500여명 행진"

충남대 총학생회장 역임, 전달 졸업 불구 후배들과 민주시위 현장
"4·19 결정적 계기는 3·15부정선거·마산 김주열 군 사망 사건"

  • 승인 2021-04-18 12:46
  • 수정 2021-04-18 16:46
  • 임효인 기자임효인 기자
KakaoTalk_20210418_121915449
4.19혁명 설명하는 강용식 전 한밭대 총장
"1960년 4·19혁명 때 대전에서도 대규모 학생 데모가 일어났어요. 충남대 학생 1500명 정도가 대전역부터 (옛) 충남도청까지 이승만 정부 퇴진을 외쳤죠."

강용식 전 한밭대 총장이 1960년 4월을 떠올리며 이 같이 회상했다.



1960년 4월 19일 이승만 정부 퇴진을 외치며 거리로 나선 학생들이 민주주의 혁명을 이뤄낸 지 올해로 61년을 맞이했다. 그날의 뜨거운 열망은 이 땅의 민주주의가 치열한 항거 끝에 일어낸 성취인 것을 상기시킨다.

1960년 4월 대전에서도 민주주의를 부르짖으며 거리로 나선 대학생들이 있다. 충남대 학생 1500명가량이 대전역부터 옛 충남도청까지 민주주의 투쟁을 벌였다는 증언이다. 직전까지 충남대 총학생회장을 맡았던 강용식(88) 전 한밭대 총장은 3월 졸업 후 총학생회장직을 후배에게 인계하던 과정서 학생들과 거리에 섰다.



지난 16일 대전 서구 월평동 자택에서 만난 강용식 전 총장은 "그때 국립대 총학생회장은 24시간 사복형사의 감시를 받았다. 윤 경위가 늘 나를 따라다녔다"며 "전국 대학생 회의가 있어 서울에 갈 때면 종로경찰서 형사가 나왔다"고 회고했다.

이승만 정부의 폭거가 심해지던 당시 마침내 3·15 부정선거가 혁명의 불씨를 당겼다고 그해 4월 11일 마산 앞바다에서 처참하게 발견된 당시 17살의 김주열 군의 시신은 기름을 부었다.

강 전 총장은 "3·15부정선거와 김주열 군 사망 이후 고려대를 시작으로 전국 대학생이 데모를 시작했다"며 "서울에서 많은 사람들이 죽고 희생됐는데 그 과정에서 충남대 학생들도 가만히 있을 수 없었다. 차기 총학생회장이었던 후배 안상덕과 내가 주도적으로 시위를 계획했다"고 말했다. 이어 "이전에도 소규모 시위는 있었지만 이렇게 많은 사람이 모였던 건 충남대가 가장 먼저"라며 "그땐 정의감에 무서운 것도 없었다"고 덧붙였다.

당시 시위에 나섰던 이들은 이제 80대 노인이 됐다. 청년 시절 민주주의를 외쳤던 강 전 총장은 오늘날 청년들이 고난의 우리 역사를 잊어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강 전 총장은 "일제강점기나 한국전쟁 같은 우리 민족이 걸어온 쓰라린 역사를 오늘날 젊은 세대는 잘 모른다"며 "지금도 독도 문제나 일본 교과서, 오염수 방류 같은 문제들이 있는데 정신을 바짝 차려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졸업 후 이듬해 군 복무를 시작한 강 전 총장은 전역 후 1964년부터 한밭대 강단에 섰다. 건축과 도시계획 전문가로 후학을 양성하던 강 전 총장은 2003년 노무현 정부 때 신행정수도건설 상임추진위원장으로 오늘날 세종시의 모습을 그린 장본인이기도 하다. 이동훈 화백의 제자인 그는 그림을 그리며 여생을 보내고 있다.

강 전 총장은 "우리나라 정치도 경제도 더 발전해야 하고 가난한 사람과 불쌍한 사람을 돕는 정신이 필요하다"며 "여야를 막론하고 국가 발전을 위한 일에는 손을 맞잡고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임효인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양산국화축제, 6만 5천여 점 국화 작품 전시 성황리에 폐막
  2. 안산시 '신인감독 김연경' 상록수체육관서 최종전
  3. 세종시 '국가상징구역' 국제공모작 13개 윤곽...국민의 원픽은
  4. 김태흠 “6.25 참전유공자 희생·헌신 잊지 않을 것”
  5. [2025 예산 안전골든벨] 아니 갑자기 이렇게? 10번 문제에 우수수 탈락
  1. [2025 예산 안전골든벨] 즐겁게 퀴즈풀며 안전상식 배웠다… 2025 예산군 어린이 안전골든벨 '성료'
  2. 충남도, 내년 국비 확보 총력… 김태흠 지사 국회 방문
  3. [2025 예산 안전골든벨] 최형규 예산군 산업건설국장 "안전상식 배우고 실천해주길"
  4. [2025 예산 안전골든벨] 유영돈 중도일보 사장 "아이들 행복의 기초는 안전"
  5. [2025 예산 안전골든벨] 퀴즈왕 조림초 전태수 학생 "즐겁게 퀴즈 풀다보니 우승까지… 기쁘다"

헤드라인 뉴스


대전 특화 방산기술 유럽시장서 `호평`…수출상담 성과

대전 특화 방산기술 유럽시장서 '호평'…수출상담 성과

대전 방산기업들이 동유럽 시장에서 1521만 달러 규모의 수출 상담 성과를 올렸다. 한화로는 223억 4195만 원에 달한다. 21일 대전테크노파크에 따르면 지난 13일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열린 '방위산업 기술 비즈니스 교류'에서 대전 지역 7개 방산·드론 기업이 이같은 결과를 냈다. 이번 상담회는 대전TP와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가 공동으로 방산 사절단을 파견해 진행한 1대 1 비즈니스 상담회로, 폴란드 바르샤바 현지에서 개최됐다. 폴란드는 최근 동북 지역 국경 안보 강화에 나서며 국방예산을 확대하고 군 현대화를 추진하고..

3·8민주의거사업회, 기념관 운영 맡아 민주 교육과정 연다
3·8민주의거사업회, 기념관 운영 맡아 민주 교육과정 연다

대전3·8민주의거기념사업회가 내년부터 3·8민주기념관을 직접 운영하며 일반 시민이 참여하는 민주주의 교육프로그램 신설을 준비한다. 20일 대전시와 (사)대전3·8민주의거기념사업회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4일 개관한 중구 선화동 3·8민주의거기념관을 그동안 대전시가 직접 운영하던 것에서 기념사업회에 운영을 위탁하는 방식으로 내년 1월 전환된다. 3·8민주의거기념관은 1960년 3월 8일 대전에서 시작된 고등학생들의 민주화 시위로, 당시 이승만 정부의 부정부패와 불의에 항거하며 민주주의를 위해 나섰던 학생들의 용기와 희생을 상징하는..

한겨울에 피어난 봄...국립세종수목원 `제라늄 전시회` 개막
한겨울에 피어난 봄...국립세종수목원 '제라늄 전시회' 개막

연일 계속되는 초겨울 추위 속에서도 국립세종수목원 지중해온실에서는 봄을 미리 만날 수 있는 특별한 전시가 열린다. 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이사장 심상택)은 11월 22일부터 2026년 3월 1일까지 국립세종수목원 지중해온실에서 제라늄 품종 전시회 '우린, 지금부터 봄'을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제라늄전문협회와 협업해 진행되며, 약 350종의 제라늄을 한자리에서 만나볼 수 있다. 제라늄은 남아프리카가 원산지로, 화려한 꽃과 쉬운 관리로 한국 베란다 정원에 적합한 식물로 인기를 끌고 있다. 특히 겨울철에도 꽃을 피워 봄을 미리 준비하는 식..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주택재건축 부지 내 장기 방치 차량 ‘눈살’ 주택재건축 부지 내 장기 방치 차량 ‘눈살’

  •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은빛 물결 억새의 향연

  •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구직자로 북적이는 KB굿잡 대전 일자리페스티벌

  •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 크리스마스 트리 앞에서 ‘찰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