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더불어민주당 홈페이지. |
더불어민주당 당 대표와 최고위원을 선출하는 전당대회를 앞두고, 지역 국회의원들이 지역구 지방의원에게 특정 후보를 지지하도록 종용하고 있다.
선거법상 지역구 국회의원이 지방의원에게 자신이 지지하는 당 대표 후보를 전당대회에서 투표하게 하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지방의원들은 내년 지방선거 공천을 생각하며 꾹 참고 따르는 분위기다.
오는 5월 2일 민주당 전당대회에선 당헌과 당규에 따라 대의원 45%, 권리당원 40%, 국민 여론조사가 10%, 일반 당원 여론조사는 5%로 당 대표를 선출한다. 대의원 투표 반영비율과 권리당원 비율 등 전당대회 룰에 대한 조정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오기도 했지만, 현행대로 유지하게 됐다.
민주당 당 대표 최종경선에는 송영길·우원식·홍영표 의원 3파전으로 좁혀졌다. 민주당이 장악한 대전의 국회의원들은 저마다 지지하는 후보가 다르다.
송영길 후보의 지지가 높다는 의견이 있지만, 우원식 후보를 비공식적으로 지지하는 지역 국회의원도 있는 만큼 세가 약하지는 않다는 평가다. 홍영표 후보의 경우 대전 동구 장철민 국회의원이 그의 보좌관으로 일한 적이 있다. 지역 국회의원마다 지지하는 당 대표가 다르다 보니, 지방의원들은 어느 장단에 맞춰야 할지 골치가 아픈 상태다.
여기에 당 대표가 내년 대선과 3개월 뒤 곧바로 치르는 지방선거에 큰 영향을 끼칠 수밖에 없어 공천에 목숨을 건 지방의원은 특정 대표 후보 캠프로 직접 올라가 뛰는 등 눈도장을 찍기에도 열을 올리고 있다.
모 대전시의원은 "공천권을 가진 지역위원장(현역 국회의원)이 전당대회서 광역·기초 의원들에게 특정 후보를 뽑으라고 넌지시 지시하는 건 과거부터 해오던 방식"이라며 "공천권 빌미로 민주적이지 못한 선거로 생각해 그에 대한 반감으로 이탈하는 의원들도 자치구별로 최소 1~2명씩은 생긴다"고 말했다.
한편, 당 대표 후보 합동 연설회는 20일 광주·전남·제주와 전북, 22일엔 대전·세종·충남·북, 24일 부산·울산·경남, 대구·경북 등에서 차례로 열린다.
이현제 기자 guswp3@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