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키호테 世窓密視] 창작활동지원금의 중차대함

  • 오피니언
  • 홍키호테 세창밀시

[홍키호테 世窓密視] 창작활동지원금의 중차대함

사람이 그렇게 없나?

  • 승인 2021-05-06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지난 월요일, 방송을 찍었다. 강사로 진출하기 위한 교두보 마련의 디딤돌이다. 평소 물심양면 도움을 주시는 모 방송국 피디님의 배려 덕분이었다.

방송 녹화를 마친 뒤 근처 식당에 들어갔다. 닭볶음탕으로 유명한 단골 식당이다. 그러나 그 집 역시 당면한 코로나 한파를 피해갈 수 없었다. 코로나 19 습격 전에는 줄을 섰던 손님들이었다.

하지만 이제 그런 모습은 전설로 회자할 수도 있을 만큼 손님이 뜸했다. 업소에 손님이 줄면 사장의 수입도 감소한다. 한 마디로 '배가 고프다'. 기자와 작가에 이어 강사로 도약하고자 하는 나의 야심은 명료하다.

나 또한 여전히 굶는 상태이기 때문이다. 윤여정 씨가 영화 '미나리'로 아카데미 여우조연상을 받았다. 덕분에 코리아의 위상까지 덩달아 격상되는 기쁨을 국민이 맛봤다.



아울러 예술인의 존재감까지 새삼 도드라지는 계기로 발전했다. 배우인 윤여정 씨나 문인인 나 또한 예술인(藝術人) 범주에 속한다. 윤여정 씨는 지금 한창 화양연화(花樣年華)의 물씬한 봄을 누리고 있다. 한마디로 '화양여화'다.

오랫동안 고생만 한 보답을 톡톡히 받고 있는 셈이다. 반면 대다수 한국의 예술인들 삶은 어떠한가. 2018년 기준으로 예술 활동 수입이 연 1200만 원, 월 100만 원을 밑도는 예술인이 전체 72.2%에 달했다.(근로복지공단 사외보 '희망나무' 2021년 3월호 참고)

이처럼 수입이 형편없다보니 예술인 경력 단절 사태가 속출하고 있다. 천만다행 한국예술인복지재단에 의해 예술 활동 증명을 완료한 예술인에게는 일정액의 창작활동지원금을 준다.

지인 문인 덕분에 이 제도를 알게 되어 나도 신청했다. 고액은 아니지만, 동족방뇨(凍足放尿) 수준은 충분히 넘는다. 없는 사람에게 있어 누군가 도와주는 따뜻한 밥 한 그릇은 후일 일반천금(一飯千金)의 고마운 메아리로 돌아오는 법이다.

지난해 예술 활동 증명을 완료한 예술인 중 가장 많은 분야 종사자는 음악이었다. 미술, 연극, 문학, 연예, 국악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예술인에 문인이 속하는 까닭에 영국 작가 조앤 롤링을 호출한다.

그녀는 세계적 베스트셀러 '해리포터'가 히트하긴 전까지는 궁핍을 면치 못했다. 그러다가 이 작품이 히트하면서 환골탈태의 거부가 되었다. 1997년부터 2006년까지 10년 동안에만 무려 310조 원을 벌어들였다.

찢어지는 가난과 12군데 출판사로부터 연거푸 출간 거절을 당하곤 낙담해 출간을 포기했다면 오늘날의 그녀는 존재할 수 있었을까? 새삼 창작활동지원금의 중차대함을 발견하게 되는 대목이다.

한편 모 부처 장관 후보자의 면면에서 다시금 부적격자들을 보게 된다. 그중에는 장관 후보자 차남이 회사의 창업자이었음에도 문을 닫은 뒤 근로자로 신고하여 실업급여를 받았다고 한다.

장삼이사인 나조차 작년에 퇴직한 뒤 실업급여라곤 구경도 못 했는데 해도 해도 너무한 것이다. 이뿐 아니다.

모 장관 후보자는 세종시 아파트를 특별공급으로 분양받은 뒤 한 번도 거주하지 않고 팔아 2억 이상의 차익을 봤다. 이에 질세라 모 장관 후보자 아내는 수천만 원대 고가 유럽산 도자기를 들여와 인터넷으로 불법 판매까지 했다고 전해진다.

'사람이 그렇게 없나?'라는 탄식이 절로 나왔다. 세상과 사람은 옥석혼효(玉石混淆), 즉 옥과 돌이 섞여 있다. 그러므로 특히 고위직 인사 때는 그걸 철저히 가려야 한다.

지금 이 시간에도 어렵지만 순수한 열정으로 창작활동에 매진하는 예술인이 많다. 청렴결백(淸廉潔白)과 사면춘풍(四面春風)까지 갖춘 지인 문인이 장관 되는 날은 언제가 되어야 할까.

홍경석 / 작가·'초경서반' 저자

* 홍경석 작가의 칼럼 '홍키호테 世窓密視(세창밀시)'를 매주 중도일보 인터넷판에 연재한다. '世窓密視(세창밀시)'는 '세상을 세밀하게 본다'는 뜻을 담고 있다.

캡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당신을 노리고 있습니다”…대전 서부경찰서 멈춤봉투 눈길
  2. 충청권 4년제 대학생 2만 명 학교 떠나… 대전 사립대 이탈 심각
  3. 대전·충북 회복기 재활의료기관 총량 축소? 환자들 어디로
  4. 충남도, 국비 12조 확보 위해 지역 국회의원과 힘 모은다
  5. 경영책임자 실형 선고한 중대재해처벌법 사건 상소…"형식적 위험요인 평가 등 주의해야"
  1. 충남도의회, 학교 체육시설 개방 기반 마련… 활성화 '청신호'
  2. ‘푸른 하늘, 함께 만들어가요’
  3. 대전동부교육지원청, 학교생활기록부 업무 담당자 연수
  4. ‘대전 병입 수돗물 싣고 강릉으로 떠납니다’
  5. 충남권 역대급 더운 여름…대전·서산 가장 이른 열대야

헤드라인 뉴스


충청권 4년제 대학생 2만 명 학교 떠나… 대전 사립대 이탈 심각

충청권 4년제 대학생 2만 명 학교 떠나… 대전 사립대 이탈 심각

전국 4년제 대학 중도탈락자 수가 역대 최대인 10만 명에 달했던 지난해 수도권을 제외하고 충청권 대학생들이 가장 많이 학교를 떠난 것으로 조사됐다. 대전권에선 목원대와 배재대, 대전대 등 4년제 사립대학생 이탈률이 가장 높아 지역 대학 경쟁력에서도 뒤처진 것으로 나타났다. 4일 종로학원이 발표한 교육부 '대학알리미' 분석에 따르면, 2024년 전국 4년제 대학 223곳(일반대, 교대, 산업대 기준, 폐교는 제외)의 중도탈락자 수는 10만 817명이다. 이는 집계를 시작한 2007년 이후 역대 최대 규모인데, 전년인 2023년(10..

꿈돌이 컵라면 5일 출시... 도시캐릭터 마케팅 `탄력`
꿈돌이 컵라면 5일 출시... 도시캐릭터 마케팅 '탄력'

출시 3개월여 만에 80만 개가 팔린 꿈돌이 라면의 인기에 힘입어 '꿈돌이 컵라면'이 5일 출시된다. 4일 대전시에 따르면 '꿈돌이 컵라면'은 매콤한 스프로 반응이 좋았던 쇠고기맛으로 우선 출시되며 가격은 개당 1900원이다. 제품은 대전역 3층 '꿈돌이와 대전여행', 꿈돌이하우스, 트래블라운지, 신세계백화점 대전홍보관, GS25 등 주요 판매처에서 구매할 수 있다. 출시 기념 이벤트는 12일부터 14일까지 3일간 유성구 도룡동 엑스포과학공원 내 꿈돌이하우스 2호점에서 열린다. 행사 기간 ▲신제품 시식 ▲꿈돌이 포토존 ▲이벤트 참여..

서산 A 중학교 남 교사, `학생 성추행·성희롱` 의혹, 경찰 조사 중
서산 A 중학교 남 교사, '학생 성추행·성희롱' 의혹, 경찰 조사 중

충남 서산의 한 중학교에서 남성 교사 A씨가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개월간 성추행과 성희롱을 했다는 고소장이 접수돼 경찰이 수사 중이다. 일부 피해 학생 학부모들은 올해 학기 초부터 해당 교사가 학생들을 대상으로 반복된 부적절한 언행과 과도한 신체접촉을 주장하며, 학교에 즉각적인 교사 분리 조치를 요구했다. 이에 학교 측은 사건이 접수 된 후, A씨를 학생들과 분리 조치하고, 자체 조사 및 3일 이사회를 개최해 직위해제하고 학생들과의 접촉을 완전히 차단했으며, 이어 학교장 명의의 사과문을 누리집에 게시했다. 학교 측은 "서산교육지원청과..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 동구 원도심에 둥지 튼 대전일자리경제진흥원 대전 동구 원도심에 둥지 튼 대전일자리경제진흥원

  • ‘대전 병입 수돗물 싣고 강릉으로 떠납니다’ ‘대전 병입 수돗물 싣고 강릉으로 떠납니다’

  • ‘푸른 하늘, 함께 만들어가요’ ‘푸른 하늘, 함께 만들어가요’

  • 늦더위를 쫓는 다양한 방식 늦더위를 쫓는 다양한 방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