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난순의 식탐] 슬픈 감자의 전설

  • 오피니언
  • 우난순의 식탐

[우난순의 식탐] 슬픈 감자의 전설

  • 승인 2021-07-07 11:44
  • 신문게재 2021-07-08 18면
  • 우난순 기자우난순 기자
1180481170
게티이미지 제공
'고약한 냄새를 풍기는 감자들은 땅을 더럽혔고, 구덩이들은 고름으로 더러운 둔덕을 만들었다. … 지금도 그 슬픔의 냄새를 맡나니.' 19세기 중반 아일랜드 대기근은 참혹했다. 나라 전체 인구의 4분의 1이 굶주림으로 사망했다. 당시 아일랜드 사람들에게 감자는 유일한 생계작물이었다. 그런데 어느날 감자마름병이 출현했다. 무성한 감자밭이 썩어가는 것들 천지로 변해버린 것이다. 감자마름병의 엄청난 기세는 인력으로 꺾을 수 없는 지경이었다. 어딜 가든 절망과 공포 뿐. 남은 것은 떼죽음 당하는 일이었다. 대기근으로 가장 큰 고통을 겪은 이들은 시골의 가난한 사람들이었다. 굶주림과 고통, 비통함. 이런 상황에서 지주들은 잔혹했다. 자신들의 이익을 챙기기 바빴다. 죽어가는 농민들을 길바닥으로 쫓아내고 오두막을 무너뜨렸다. 인간 심연의 악의 본성은 극한상황에서 여지없이 드러냈다. 아일랜드 대기근은 결국 아메리카를 향한 인구 대이동이라는 역사의 한 페이지를 썼다.

삶고 찌고 굽고 으깨고 조리고 썰고 튀기는 감자. 맛과 요리법이 이만큼 다채로운 채소가 있을까. 하지만 손으로 몇 번 주무르다 던져 놓은 것처럼 울퉁불퉁하고 못생긴 감자의 운명은 순탄치 않았다. 처음 신대륙에서 건너온 감자는 유럽인들로부터 한참동안 천대받았다. 그러다 마리 앙투아네트가 파티장에 머리에 감자꽃을 꽂고 나오자 감자에 대한 유럽인의 태도가 한순간에 바뀌었다. 왕비를 밥 먹듯 갈아치운 헨리 8세는 심지어 감자를 취음제로 여겼다고 한다.

감자는 척박한 토지에서도 잘 자란다. 그래서 흔하디 흔하다. 어릴 적 여름에 우리집 밥상 위엔 늘 감자조림이 있었다. 알이 작은 감자와 메주콩을 간장에 졸인 것인데 하도 먹어서 질리기 일쑤였다. 도시락 반찬도 걸핏하면 감자조림이었다. 엄마에게 투정을 부려 보지만 어쩔 수 없는 노릇이었다. 빨간 소시지에 계란 옷을 입혀 노릇노릇하게 부쳐 싸온 짝꿍의 근사한 도시락이 부럽기만 했다. 지금은 보기 힘들지만 그땐 토종 감자인 자주감자가 많았다. 진한 보라색에 눈이 쏙쏙 들어가 야무지게 생긴 감자였다. 맛도 보통이 아니었다. 쪄서 먹을라치면 아린 맛에 입안이 얼얼했다. 그 시절 먹었던 알싸한 감자는 다 어디로 갔을까.

'지슬'은 제주도에서 감자의 다른 이름이다. 2013년 개봉한 영화의 제목이기도 하다. 영화 '지슬'은 제주 4.3 항쟁을 다뤘다. 해방 후 한반도는 이념이 극에 달하던 시대였다. 이념은 권력자들의 탐욕을 채우는 수단이었다. 탐욕을 최고의 가치로 삼는 세계에서 죽이는 자와 죽임을 당하는 자의 경계는 분명해진다. 학살의 대상은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았다. 영화에서 지슬은 살육을 피해 동굴로 숨어든 마을 사람들의 목숨을 연명해주는 중요한 먹거리였다.



땡볕이 내리쬐던 휴일 어느 날, 산내 골령골을 찾았다. 버스에서 내려 한참을 걸어 깊은 골에 다다랐다. 마침 유해 발굴 작업이 한창이었다. 단단한 흙더미 속에 뼈들이 삐죽이 보였다. 흡사 시루떡처럼 길쭉한 뼈들이 켜켜이 쌓여 있었다. 멀리서 산까마귀 소리가 울려 퍼졌다. 빨갛게 익은 핏빛의 열매를 맺은 보리수나무는 그날의 비극을 아는 지 모르는 지 바람에 무성한 잎새만 살랑였다. "핏물이 개울을 타고 흘러 내렸어. 이듬해 밭에 심은 감자, 고구마, 옥수수 같은 게 얼마나 실하던지. 죽은 사람들이 썩어 거름이 됐던 모양이여." 80이 훌쩍 넘은 동네 할아버지가 나직이 들려줬다. 『순이 삼촌』네 밭 감자도 목침 덩어리만큼 큼지막했다지 않은가. 궁핍한 이들을 먹여 살리는 감자. 6월이 오면 들판을 시퍼렇게 물들이며 서러움을 토해내는 감자. 정 많은 후배 기자 임병안의 감자 한 아름도 있다. 감자는 인간에게 어떤 존재일까. '당신과 나의 뜨거운 감자'. <제2 사회부장 겸 교열부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이진숙 교육장관 후보자 첫 출근 "서울대 10개 만들기, 사립대·지방대와 동반성장"
  2. '개원 53년' 조강희 충남대병원장 "암 중심의 현대화 병원 준비할 것"
  3. 법원, '초등생 살인' 명재완 정신감정 신청 인용…"신중한 심리 필요"
  4. 33도 폭염에 논산서 60대 길 걷다 쓰러져…연일 온열질환 '주의'
  5. 세종시 이응패스 가입률 주춤...'1만 패스' 나오나
  1. 필수의료 공백 대응 '포괄2차종합병원' 충청권 22곳 선정
  2. 폭력예방 및 권리보장 위한 협약 체결
  3. 임채성 세종시의장, 지역신문의 날 ‘의정대상’ 수상
  4. 건물 흔들림 대전가원학교, 결국 여름방학 조기 돌입
  5. (사)한국청소년육성연맹, 관저종합사회복지관에 후원물품 전달식

헤드라인 뉴스


야권에서도 비충청권서도… 해수부 부산이전 반대 확산

야권에서도 비충청권서도… 해수부 부산이전 반대 확산

이재명 정부가 강공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에 반대하는 목소리가 보수야권을 중심으로 원심력이 커지고 있다. 그동안 충청권에서만 반대 여론이 들끓었지만, 행정수도 완성 역행과 공론화 과정 없는 일방통행식 추진되는 해수부 이전에 대해 비(非) 충청권에서도 불가론이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원내 2당인 국민의힘이 이 같은 이유로 전재수 장관 후보자 청문회와 정기국회 대정부질문, 국정감사 등 향후 정치 일정에서 해수부 이전에 제동을 걸고 나설 경우 이번 논란이 중대 변곡점을 맞을 전망이다. 전북 익산 출신 국민의힘 조배숙..

李정부 민생쿠폰 전액 국비로… 충청권 재정숨통
李정부 민생쿠폰 전액 국비로… 충청권 재정숨통

이재명 정부가 민생 회복을 위해 지급키로 한 소비쿠폰이 전액 국비로 지원된다. 이로써 충청권 시도의 지방비 매칭 부담이 사라지면서 행정당국의 열악한 재정 여건이 다소 숨통을 틀 것으로 기대된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는 1일 전체회의를 열어 13조2000억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관련 추가경정예산안을 의결했다. 행안위는 이날 2조9143억550만원을 증액한 2025년도 행정안전부 추경안을 처리했다. 행안위는 소비쿠폰 발행 예산에서 중앙정부가 10조3000억원, 지방정부가 2조9000억원을 부담하도록 한 정부 원안에서 지방정..

대전·충남기업 33곳 `초격차 스타트업 1000+` 뽑혔다
대전·충남기업 33곳 '초격차 스타트업 1000+' 뽑혔다

대전과 충남의 스타트업들이 정부의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에 대거 선정되며, 딥테크 기술창업 거점도시로 거듭나고 있다. 1일 중소벤처기업부가 주관하는 '2025년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에 전국 197개 기업 중 대전·충남에선 33개 기업이 이름을 올렸다. 이는 전체의 16.8%에 달하는 수치로, 6곳 중 1곳이 대전·충남에서 배출된 셈이다. 특히 대전지역에서는 27개 기업이 선정되며, 서울·경기에 이어 비수도권 중 최다를 기록했다. 대전은 2023년 해당 프로젝트 시행 이래 누적 선정 기업 수 기준으로..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수영하며 야구본다’…한화 인피니티풀 첫 선 ‘수영하며 야구본다’…한화 인피니티풀 첫 선

  • 시구하는 김동일 보령시장 시구하는 김동일 보령시장

  • 故 채수근 상병 묘역 찾은 이명현 특검팀, 진실규명 의지 피력 故 채수근 상병 묘역 찾은 이명현 특검팀, 진실규명 의지 피력

  • 류현진, 오상욱, 꿈씨패밀리 ‘대전 얼굴’ 됐다 류현진, 오상욱, 꿈씨패밀리 ‘대전 얼굴’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