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난순의 식탐] 윤석열 대통령님, 라면 좋아하세요?

  • 오피니언
  • 우난순의 식탐

[우난순의 식탐] 윤석열 대통령님, 라면 좋아하세요?

  • 승인 2022-03-10 09:07
  • 신문게재 2022-03-10 18면
  • 우난순 기자우난순 기자
GettyImages-jv10982028 (2)
게티이미지 제공
고도의 전략과 이미지 전술. 세상은 다분히 정치적으로 돌아간다. 사람과 사람의 관계가 그렇지 않은가. 남녀의 '밀당'이야말로 정치공학적이다. 영화 '나인하프위크'는 매력적인 남자를 만나 위험한 일탈에 빠지는 여성의 얘기다. 이 영화의 하이라

이트는 두 남녀가 섹스게임을 벌이는 장면이다. 여기서 쾌락과 복종, 속박의 사도 마조히즘적 행위의 도구로 음식이 사용된다. 남자는 눈을 가린 여성의 입에 얼음을 넣기도 하고 부드러운 푸딩과 달콤한 과일로 줄 듯 말 듯 장난질을 친다. 또 병에 든 뽀얀 우유를 몸이 달아오른 여자의 입에 콸콸 붓는다. 여자는 그것을 꿀꺽꿀꺽 탐욕스럽게 받아 마신다. 음식과 정치라…. 정치인이 먹는 음식만큼 상징적일 수 있을까?

권력자들은 어떤 음식을 먹나. "당신이 먹는 음식을 말해보라. 그 음식은 당신 자신이다." 브리야 사바랭의 말대로 음식은 그 사람의 정체성을 보여준다. 대영제국의 빅토리아 여왕은 먹보였다. 먹보 여왕은 여자는 많이 먹으면 안된다는 사람들의 말을 무시했다. 남이 뭐라든 푸짐한 음식에 열광했다. 기회만 있으면 이것저것 실컷 먹어 몸이 뚱뚱해져 왕실 사람들이 걱정할 정도였다. 포동포동한 손으로 초콜릿 케이크를 푹푹 떠먹는 여왕을 상상해 보라. 반면 히틀러는 소식에다 철저한 채식주의자였다. 유대인 대학살의 주인공이 채식주의자라니. 정신분석학적 해석이 풍부한 인물이다.

한국의 대통령들은 음식 코스프레에 능했다(이하 호칭은 생략). 박정희의 막걸리는 쿠데타 주역의 냉혹한 이미지를 상쇄시키는데 성공했다. 하지만 그것도 잠깐. 궁정동 안가에서 고급 양주 시바스 리갈을 마시며 흥청대다 부하직원의 총탄에 비명횡사했으니 말이다. 그 틈새에서 하극상으로 권력을 쥔 전두환은 '유신의 아들'이었다. 고나무의 르포에 의하면 전두환의 음식은 의전의 일부였다. 권총을 찬 청와대 검식관이 요리사들을 윽박지르며 갈비탕의 갈비를 병사들이 오와 열을 맞추듯, 크기에 맞게 배열했다. 의전은 지극히 형식적인 모양새를 띤다. 형식주의자는 권위적이다. 권위적이고 폭력적인 의전은 전두환의 면모를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음식으로 정치적인 효과를 톡톡히 본 사람은 김영삼이다. '칼국수 대통령'으로 국민들에게 개혁과 청렴의 이미지를 '학실히' 심어줬다. 청와대 점심은 무조건 칼국수였으니 각료들은 지겨울 법도 했으리라. 갈비탕이라도 먹어야 할 판에 허구한 날 칼국수였으니 각료들이 투덜댈 만도 했다. 그래서였나. 당시 믿거나 말거나한 '썰'이 돌았다. 김영삼 부친이 거제도에서 멸치 어장을 운영하는 이유로 멸치 가격을 올리기 위한 속셈이라고. 고난과 역경의 대명사 김대중은 음식으로도 수모를 겪었다. 이명박 정부 시절 국정원이 홍어를 김대중을 비하하는 말로 이용한 것이다. 흑산도가 고향인 김대중은 홍어를 유달리 좋아해 흑산도 홍어를 공수해 먹을 정도였다.

한국인 중 라면 싫어하는 사람이 있을까. 한 끼 식사로도 손색없는 라면 한 그릇. 얼큰한 국물을 들이켜며 후루룩 쩝쩝 먹는 라면은 아무리 먹어도 질리지 않는다. 힘없는 사람들이 살기 좋은 나라를 꿈꿨던 노무현도 라면을 즐겨 먹었다고 한다. 심지어 일주일에 아침밥으로 라면을 다섯 번까지 먹었다니 라면 사랑이 각별했다. 청와대 요리사로 일했던 한 셰프는 방송에서 노무현에 대한 일화를 들려줬다. 종종 라면도 직접 끓여 드셨다고, 휴일엔 직원들도 쉬어야 한다며 본인이 직접 끓여 경호원들도 같이 먹었다고. 인터넷엔 '노무현 대통령의 라면 레시피'도 뜬다. 콩나물 넣고 후추에 계란 탁! 상상만 해도 마음이 따뜻해지고 아프다. 노무현의 라면은 지극히 사적이었으나 어느 결에 전직 대통령의 상징자본이 됐다. 20대 대통령 윤석열의 밥상엔 어떤 음식이 올라올까? <지방부장>
우난순 수정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1기 신도시 재건축 '판 깔렸지만'…못 웃는 지방 노후계획도시
  2. 밀알복지관 가족힐링캠프 '함께라서 행보캠'
  3.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
  4. 축산업의 미래, 가축분뇨 문제 해결에 달렸다
  5. 교정시설에서 동료 수형자 폭행 '실형'…기절시켜 깨우는 행위 반복
  1. 대전행복나눔무지개푸드마켓 1호점 공식 카카오톡 채널 개설
  2. 농산 부산물, 부가가치 창출...환경과 경제 살리는 동력
  3. 어촌서 재충전, '쉬어(漁)가요' 프로그램 참가자 모집
  4. 챗봇 '해수호봇', 해양안전 디지털 혁신 이끈다
  5. 정부 부동산 대책 지방 위한 추가대안 마련 시급

헤드라인 뉴스


정청래 국회연설 "내란청산은 정치보복이 아니다"

정청래 국회연설 "내란청산은 정치보복이 아니다"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는 9일 “남북이 다시 손잡는 핵심은 경제협력이고, 우리는 경제통일에 민생통일을 추가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 “통일부가 2026년 남북협력기금으로 1조 25억원을 편성했다. 주목할 것은 경제협력사업 예산으로, 606억원에서 1789억원으로 세 배가량 증가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개성공단과 같은 경제협력 사업의 재개를 위해 필요한 도로와 폐수 시설 같은 복구와 구축 사업 예산”이라며 “남북이 힘을 합치면 경제 규모도 커지고 일자리도 늘어나고, 동..

국내 증시 조정에도…충청권 상장사는 `선방`
국내 증시 조정에도…충청권 상장사는 '선방'

새 정부 출범 이후 가파른 상승세를 타던 국내 증시가 최근 조정 국면을 맞고 있지만, 충청권 상장사들은 비교적 선방하고 있다. 전체적인 시장의 침체 분위기 속 8월 한 달 간 충청권 상장법인의 시가총액 합계는 전월 대비 0.3%(4074억 원) 증가한 152조 3402억 원에 도달했다. 한국거래소 대전혁신성장센터가 9일 발표한 대전·충청지역 상장사 증시 동향에 따르면 8월 충청권 상장법인의 시가총액은 152조 3402억 원으로 전월(151조 9328억 원) 대비 0.3% 증가했다. 8월 한 달 동안 대전·세종·충남 지역의 시총은 근..

대전 공기업 임원 교체 `바람` 불까…대전관광공사 임원 교체 가닥
대전 공기업 임원 교체 '바람' 불까…대전관광공사 임원 교체 가닥

민선 8기 대전시 출범 이후 임명된 시 산하 공기업 임원이 속속 임기를 마치면서 연임과 교체의 '갈림길'에 놓였다. 이장우 시장의 임기가 1년도 남지 않은 상황에서 물갈이를 통한 조직 변화를 꾀할지, 연장으로 막바지 조직 안정화를 선택할지에 대한 관심이 쏠린다. 9일 대전시에 따르면 시 출자·출연 기관장은 시장과 임기를 같이 하기로 조례로 정했지만, 시 산하 공기업은 지방공기업법을 적용받아 이와 무관하다. 이에 민선 8기 출범 이후 임명된 시 산하 공기업 임원들의 3년 임기가 순차적으로 끝나고 있다. 대전관광공사는 임원 교체 분위기..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올바른 손씻기로 식중독 예방해요’ ‘올바른 손씻기로 식중독 예방해요’

  • 전통시장 화재안전 집중조사 전통시장 화재안전 집중조사

  • ‘한국의 情을 고향에 전하세요’ ‘한국의 情을 고향에 전하세요’

  •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