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난순의 식탐] 뜨거운 피에 바치는 연서

  • 오피니언
  • 우난순의 식탐

[우난순의 식탐] 뜨거운 피에 바치는 연서

  • 승인 2022-03-30 09:44
  • 수정 2022-03-31 08:43
  • 우난순 기자우난순 기자
GettyImages-a12502443
게티이미지 제공
오랜 옛날(그래봤자 50년 조금 안된), 올망졸망 6남매의 '흥부네' 가족이 있었다. 이 가족에게 고기는 명절이나 제사 때 먹을 수 있는 귀한 거였다. 겨울에 흥부 마누라는 선짓국을 종종 끓였다. 시뻘건 선지를 양철 함지박에 담아 머리에 이고 팔러 다니는 할머니가 있었다. 그 할머니는 으레 흥부네 집에 들렀다. 선지가 고기보다 훨씬 싸기 때문에 흥부네는 할머니의 단골이었다. 하얀 머리를 비녀로 꽂고 옅은 회색 치마 저고리를 끈으로 허리를 질끈 맨 선지 할머니는 코딱지 만한 흥부네 방에서 자고 간 적도 있다. 흥부 마누라가 끓인 선짓국은 달랐다. 핏덩어리를 잘게 으깨서 고춧가루와 마늘, 파만 듬뿍 넣었다. 흥부네 가족은 그런 날, 두리반에 둘러앉아 뜨거운 선짓국에 밥을 말아 먹으며 이야기꽃을 피웠다.

훌쩍 큰 흥부네 막내딸은 대처로 나가 직장을 다니는데 어느 휴일에 피맛을 봤다. 실로 오랜만이었다. 유리컵을 놓쳐 깨진 유리 조각을 치우다 엄지 손가락을 베인 것이다. 빨간 피가 솟아올라 바닥에 떨어졌다. 놀란 흥부 딸은 엉겁결에 다친 손가락을 입에 넣고 빨았다. 비릿한 내음이 훅 끼쳤다. 쇠맛이랄까. 선홍색 피가 하얀 눈밭에 똑똑 떨어지면 고혹적이겠다고 생각했다. 피는 왜 빨간색일까. 언젠가 흥부 딸은 건강에 좋다고 해서 사슴피를 마셨다는 친구 얘기를 듣고 이상한 흥분을 느꼈다.

역사적으로 인간은 피에 굶주렸다. 로마 시대 검투사들은 자신이 죽인 상대의 피를 마셨다. 상대가 지니고 있던 힘과 용기를 자기 것으로 만들었다는 승리의 징표였다. 경기장 안의 관중들은 검투사의 피를 가져다 팔기도 했다. '피의 백작 부인'으로 불린 동유럽의 에르줴베트 바토리는 자신의 젊음과 미모를 위해 정기적으로 사람의 피로 목욕을 한 것으로 전해진다. 그 피의 희생양은 단서가 붙었다. 반드시 처녀여야 한다는 것. 끔찍한 고문으로 죽인 처녀들의 피로 샤워하는 백작 부인! 두렵거나 혹은 유혹적이거나. 이것이 피의 본질인가.

피를 빠는 당신, 공포와 매혹의 드라큘라. 입안 한가득 생명의 액체를 빠는 드라큘라의 갈망은 허기가 아닌 갈증에서 비롯된다. 사랑하는 여인에 대한 갈증 말이다. 프란시스 코폴라의 영화 '드라큘라'는 끔찍하면서 매혹적인 흡혈귀의 이중성을 그렸다. 드라큘라(게리 올드만)는 단지 피에 굶주린 흡혈귀가 아니라 고뇌하는 실존주의자로 재탄생했다. "삶이 고통스러워." 음습한 죽음의 세계를 떠도는 드라큘라의 시간의 강을 뛰어넘는 불멸의 사랑에 관객의 가슴도 찢어진다. 번뇌와 갈등은 인간의 숙명 아닌가. 그런데 고뇌하는 드라큘라라니. 면도날에 묻은 피를 혀로 스르릅 빨면서 쾌감에 진저리치는 드라큘라의 그 손짓, 목소리. 이토록 우아한 흡혈귀가 있을까.



지난해 불현듯 신선한 피가 그리웠다. 몸 안의 피가 부족했던 걸까. 김이 모락모락 나는 뜨거운 피를 먹어야겠다고 생각했다. 금요장터엔 야외에 커다란 스테인리스 솥을 몇 개 걸어놓고 탕을 파는 부부가 있다. 선짓국, 육개장, 추어탕, 내장탕 등. 거기서 먹을 순 없고 비닐 봉지에 담아서 파는, 테이크아웃인 셈이다. 어느날 수트발이 잘 받는 신사가 선짓국 4인분을 주문했다. "여기 선짓국 맛있어요?" 옆에서 낮은 목소리로 물었다. "네, 먹을 만 해요." 검은 비닐봉지에 담긴 선짓국을 들고 멀어져 가는 신사를 보면서 나도 2인분을 시켰다(1인분은 안 판다). 집에 와서 냄비에 붓고 다시 끓였다. 주먹만한 선지들과 우거지, 콩나물이 된장국물과 어우러져 구수했다. 엄마가 끓여줬던 칼칼한 맛은 아니었지만 퍽퍽한 선지를 수저로 잘라 으깨 먹는 맛도 일품이었다. 지난 금요일엔 아예 냄비를 가져가 담아왔다. 뜨거운 선짓국이 비닐봉지에 담기는 것이 께름칙했었다. 뱀파이어는 오염된 피를 싫어하니까. <지방부장>
우난순 수정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천안시의회 노종관 의원 대표발의, '천안시 건축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본회의 통과
  2. 21년 만의 행정수도 재추진...3가지 관문 통과가 관건
  3. 일상 속 위험, 예방이 먼저!
  4. 원모어아이 v2.0, 조달청 혁신제품 선정...기술력 입증
  5. 국세청, 집중호우 피해 납세자에 세정지원 강화
  1. 매월 22일 '소등의 날' 실천...세종시민이 탄소중립 선도
  2. 타이어뱅크(주)의 서비스 혁신·지역사회 나눔....7월에도 쭈욱~
  3. 19일 오후부터 충청권에 또 폭우…오전까지 침수·담장 붕괴 등 비 피해
  4. 지역 어르신들에게 삼계탕 선물
  5. 천둥 번개 동반한 강한 비… 대전·세종·충남 최고 150㎜

헤드라인 뉴스


나흘간 물폭탄에 충청권 3명 사망·1명 실종, 이재민 965명 (종합 2보)

나흘간 물폭탄에 충청권 3명 사망·1명 실종, 이재민 965명 (종합 2보)

7월 16일부터 나흘간 충청권에 600㎜ 가까운 물 폭탄이 쏟아지면서 3명이 사망하고 1명이 실종됐으며 900명이 넘는 이재민이 발생했다. 충남은 전국 피해의 80%를 차지하는 농작물이 침수됐고 가축 수십만 마리가 폐사해 피해가 극심한 것으로 조사됐다. 예산과 아산, 당진에서 수해 복구 작업이 한창인 가운데, 충남도는 피해조사와 복구 대책 마련을 위한 합동조사단을 꾸린 상태다. 20일 충청권 4개 시·도에 따르면, 지난 16일부터 이어진 극한 호우에 충남에서는 서산(2명), 당진(1명)에서 3명이 침수 피해로 사망했다. 세종에서는..

與 당권주자 해수부 논란 일제히 침묵 비판
與 당권주자 해수부 논란 일제히 침묵 비판

더불어민주당 당권 주자와 최고위원 후보들이 8.2 전당대회 충청권 순회경선에서 해수부 부산 이전 논란에 일제히 침묵, 비판이 고조되고 있다.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행정수도 완성 역행 우려와 공론화 없이 일방통행식으로 강행되는 이 사안에 대해 일언반구도 없어 지역 민심을 외면했다는 것이다. 19일 당 대표 후보인 정청래 의원(서울마포을)과 박찬대 의원(인천연수갑), 최고위원 후보로 단독 출마한 황명선 의원(논산금산계룡) 등 3명은 8·2 전대 첫 지역별 순회 경선지인 충청권 온라인 합동연설에 나섰다. 이 가운데 정 의원과 황 의원은..

"모두가 비싸게 샀다" 비판 받아온 단통법 22일부터 폐지
"모두가 비싸게 샀다" 비판 받아온 단통법 22일부터 폐지

'모두가 비싸게 산다'는 비판을 받았던 '이동통신 단말장치 유통구조 개선에 관한 법률'(단통법)이 11년 만에 역사 속으로 사라진다. 고액 보조금 경쟁을 막고 소비자를 보호하겠다며 시행된 단통법이 22일 폐지되면서다. 이와 함께 휴대전화 유통 구조도 크게 요동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20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단통법은 2014년 10월 휴대전화 유통시장의 혼탁한 보조금 경쟁을 바로잡기 위해 도입됐다. 정부는 이통사가 지원금을 의무적으로 공시하고, 유통점이 지급할 수 있는 추가 지원금을 공시지원금의 15% 이내로 제한했다. 하지만..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 지급 D-1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 지급 D-1

  • 위험한 하굣길 위험한 하굣길

  • 폭우에 대전 유등천 교량 통제 폭우에 대전 유등천 교량 통제

  • 민생회복 소비쿠폰 접수창구 준비 민생회복 소비쿠폰 접수창구 준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