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난순의 식탐] 뻥이요 찾아 삼만리

  • 오피니언
  • 우난순의 식탐

[우난순의 식탐] 뻥이요 찾아 삼만리

  • 승인 2022-06-15 13:46
  • 수정 2022-06-15 17:39
  • 신문게재 2022-06-16 18면
  • 우난순 기자우난순 기자
1000083732222_i1_1200
신세계몰 제공
지난 금요일 아침 일찍 보문산에 갔다가 오는 길에 금요장터에 들렀다. 테미삼거리에서 충남대병원 쪽으로 조금 가다보면 튀밥장수 할아버지가 자리를 잡고 있다. 할아버지는 언제나 한가롭다. 의자에 앉아 팔짱을 끼고 졸기 일쑤다. 그런데 이날은 손놀림이 바빴다. 튀밥 튀기는 기계가 쉴새없이 돌아갔다. "터져유." 할아버지의 외침과 함께 '퍽' 하는 소리가 났다. 튀밥이 양철 함지박에 우르르 쏟아졌다. 쌀과 누룽지가 반반씩 섞였는데 노릇노릇한 것이 먹음직스러웠다. 앞에서 기다리던 할머니가 튀밥을 뒤적거리며 중얼거렸다. "좀 탔는디?" 할머니가 누룽지 튀밥 서너 개를 먹어보라고 구경하는 내게 건넸다. 바사삭 바사삭. 오우, 고소하고 담백하면서 씹히는 맛이 살아있었다.

지금은 먹을 게 넘쳐난다. 1970년대까지만 해도 시골은 밥밖에 없었다. 시골이니까 농사를 짓기 때문에 밥은 먹을 수 있었다. 아이들에게 밥은 맛있는 음식이 아니었다. 뭔가 색다른 주전부리에 목이 말랐다. 유일한 간식거리는 튀밥. 설에 먹고 남은 흰떡을 똑똑 부러지도록 바싹 말려 쌀과 함께 튀기면 최고였다. 500년 된 두 그루의 우람한 정자나무 아래서 놀다가 튀밥장수 할아버지가 리어카를 끌고 동네에 들어서면 아이들은 함성을 지른다. 이 집 저 집에서 자루를 들고 달려나와 먼저 온 순서대로 깡통에 튀밥재료를 담아 순서대로 놓는다. 이런 날은 정자나무 아래가 장터가 된다. 아이들은 들떠서 얼굴이 상기되고 어른들도 덩달아 즐겁다. 다만 한 가지 무서운 게 있다. 뻐엉! 튀밥장수 할아버지가 신나게 돌리던 손을 멈추고 한쪽 발을 기계 주둥이에 올려놓으면 우리는 저만치 도망가 두 손으로 귀를 있는 힘껏 막는다. 천지가 진동하는 소리다. 사카린을 듬뿍 넣은 튀밥. 추억의 간식거리다.

점심 먹고 난 후의 오후는 고역이다. 졸음은 왜 이리 쏟아지는 지 머리가 모니터를 향해 끝없이 인사한다. 카페인에 민감해서 커피를 마실 수도 없어 졸음을 쫓을 방도가 없다. 졸린 눈을 치뜨고 모니터를 보며 키보드를 정신없이 두드리다보면 어느새 5시. 이때쯤 슬슬 허기가 몰려온다. 어느날 편집국장이 과자 한 박스를 사와 하나씩 돌렸다. 편집국장은 '다 같이 잘 먹고 잘 살자'주의자다. 덕분에 종종 간식거리가 들어온다. 이번엔 '뻥이요'였다. 이걸 먹어본지가 언제였던가. 그런데 이 과자가 기가 막히게 맛있었다. 달콤한 버터 향이 입 안 가득 퍼지면서 흐느적거리던 뇌하수체를 사정없이 흔들었다. 팥방구리 쥐 드나들 듯 손이 봉지 안을 쉴새없이 들락거렸다. 찔깃한 옥수수가 이 사이에서 바숴지는 쾌감으로 스트레스도 확 날아갔다. 여기저기서 부스럭거리는 소리가 요란했다. 다들 출출했던 모양이었다. 먹는 즐거움을 무엇에 비할쏘냐.

난 먹는 거에 목숨을 건다. 필 꽂히면 한동안은 그것만 먹는다. '뻥이요' 찾아 출바알~. 퇴근길에 내가 사는 동네 마트에 들렀다. 있긴 한데 사이즈가 훨씬 큰 것밖에 없었다. 회사에서 먹은 고만한 크기여야 하는데 말이지. 길 건너 마트에도 없었다. 서너 개의 편의점도 샅샅이 뒤졌으나 짝퉁만 있었다. 어라? 조바심이 났다. 기필코 찾아내고야 말리라. 며칠 후 대형마트로 달려갔다. 헛걸음했다. 회사 건물 1층 마트에도 큰 사이즈 뿐. 난 한번 개봉하면 그 자리에서 다 먹어치우는 탓에 큰 것은 부담스러웠다. 회사에서 먹은 60g 짜리 딱 그만한 크기여야 했다. 다시 동네 마트에 가서 직원한테 손으로 크기를 그리며 요만한 뻥이요를 갖다 놓을 수 있냐며 애절한 눈빛으로 쳐다봤다. "글쎄요." 결국 편집국장에게 부탁해서 또 한번 먹었다. 편집국장도 간신히 구했단다. 아, '뻥이요' 찾아 삼만리구나. 공부를 이렇게 했더라면 서울대 문턱을 거뜬히 넘었을텐데. <지방부장>
우난순 수정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1기 신도시 재건축 '판 깔렸지만'…못 웃는 지방 노후계획도시
  2. 밀알복지관 가족힐링캠프 '함께라서 행보캠'
  3.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
  4. 축산업의 미래, 가축분뇨 문제 해결에 달렸다
  5. 교정시설에서 동료 수형자 폭행 '실형'…기절시켜 깨우는 행위 반복
  1. 대전행복나눔무지개푸드마켓 1호점 공식 카카오톡 채널 개설
  2. 농산 부산물, 부가가치 창출...환경과 경제 살리는 동력
  3. 어촌서 재충전, '쉬어(漁)가요' 프로그램 참가자 모집
  4. 챗봇 '해수호봇', 해양안전 디지털 혁신 이끈다
  5. 정부 부동산 대책 지방 위한 추가대안 마련 시급

헤드라인 뉴스


정청래 국회연설 "내란청산은 정치보복이 아니다"

정청래 국회연설 "내란청산은 정치보복이 아니다"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는 9일 “남북이 다시 손잡는 핵심은 경제협력이고, 우리는 경제통일에 민생통일을 추가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 “통일부가 2026년 남북협력기금으로 1조 25억원을 편성했다. 주목할 것은 경제협력사업 예산으로, 606억원에서 1789억원으로 세 배가량 증가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개성공단과 같은 경제협력 사업의 재개를 위해 필요한 도로와 폐수 시설 같은 복구와 구축 사업 예산”이라며 “남북이 힘을 합치면 경제 규모도 커지고 일자리도 늘어나고, 동..

국내 증시 조정에도…충청권 상장사는 `선방`
국내 증시 조정에도…충청권 상장사는 '선방'

새 정부 출범 이후 가파른 상승세를 타던 국내 증시가 최근 조정 국면을 맞고 있지만, 충청권 상장사들은 비교적 선방하고 있다. 전체적인 시장의 침체 분위기 속 8월 한 달 간 충청권 상장법인의 시가총액 합계는 전월 대비 0.3%(4074억 원) 증가한 152조 3402억 원에 도달했다. 한국거래소 대전혁신성장센터가 9일 발표한 대전·충청지역 상장사 증시 동향에 따르면 8월 충청권 상장법인의 시가총액은 152조 3402억 원으로 전월(151조 9328억 원) 대비 0.3% 증가했다. 8월 한 달 동안 대전·세종·충남 지역의 시총은 근..

대전 공기업 임원 교체 `바람` 불까…대전관광공사 임원 교체 가닥
대전 공기업 임원 교체 '바람' 불까…대전관광공사 임원 교체 가닥

민선 8기 대전시 출범 이후 임명된 시 산하 공기업 임원이 속속 임기를 마치면서 연임과 교체의 '갈림길'에 놓였다. 이장우 시장의 임기가 1년도 남지 않은 상황에서 물갈이를 통한 조직 변화를 꾀할지, 연장으로 막바지 조직 안정화를 선택할지에 대한 관심이 쏠린다. 9일 대전시에 따르면 시 출자·출연 기관장은 시장과 임기를 같이 하기로 조례로 정했지만, 시 산하 공기업은 지방공기업법을 적용받아 이와 무관하다. 이에 민선 8기 출범 이후 임명된 시 산하 공기업 임원들의 3년 임기가 순차적으로 끝나고 있다. 대전관광공사는 임원 교체 분위기..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올바른 손씻기로 식중독 예방해요’ ‘올바른 손씻기로 식중독 예방해요’

  • 전통시장 화재안전 집중조사 전통시장 화재안전 집중조사

  • ‘한국의 情을 고향에 전하세요’ ‘한국의 情을 고향에 전하세요’

  •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