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난순의 식탐] 고향의 맛

  • 오피니언
  • 우난순의 식탐

[우난순의 식탐] 고향의 맛

  • 승인 2022-08-17 07:51
  • 수정 2022-08-19 08:09
  • 우난순 기자우난순 기자
KakaoTalk_20220817_074638993
비온 후 푹신한 낙엽 밟는 느낌이 좋다. 물기 머금은 눅눅한 냄새. 소나무에서 조청처럼 흐르면서 굳은 송진 냄새가 확 풍긴다. 전날까지 줄기차게 내리던 비가 뚝 그치고 푸른 하늘엔 목화송이 같은 구름이 떠다닌다. 시루봉이 가까워온다. 끈적한 땀이 온 몸에 달라붙자 날파리가 귓전에서 왱왱거리며 성가시게 군다. 깊은 숨을 토해내며 드디어 정상에 올랐다. 정자에 앉아 숨을 고르며 뜨거운 차를 입으로 호호 불며 마신다. 시원한 바람이 달착지근하다. 산에 오를 때마다 자연에 대한 고마움과 겸허함을 배운다. 자연과 더불어 사는 삶. 보문산이 더는 망가지지 않았으면 좋겠다. 어리석은 인간은 자연을 소유물로 여긴다. 왜 기후위기인가. 그 대가를 지금 치르고 있는데 아직도 깔아뭉개지 못해서 안달이다. 여름에 시루봉에 찾아오던 벌새도 이젠 오지 않는다. 벤치 뒤 꽃나무를 지난해 다 베어버린 것이다. 보문산 관광활성화? 모노레일이 설치되고 케이블카가 오르락내리락하고? 누구를 위한 개발인가. 보문산에 올 때마다 마음이 무거워지는 이유다.

평소 휴일에 먼 산에 가지 않을 땐 아침 7시께 보문산에 간다. 지난 금요일엔 오전 일찍 일이 있어 10시 넘어서 보문산에 갔다. 산에서 내려오니 12시가 훌쩍 넘어 '고향식당'으로 갔다. 내부가 깔끔하면서 정갈하고 무엇보다 북적북적하지 않아서 안심이 된다. 먼저 숭늉이 나왔다. 구수한 숭늉을 마시고 수저로 보리를 건져 먹었다. 깨물면 톡톡 터지는 것이 앵두 같다. 드디어 보리밥 대령이오! 군침이 확 돌았다. 쌀과 보리가 반반 섞인 밥에 무생채, 비름나물무침, 콩나물무침, 버섯볶음 등을 다 넣고 된장찌개를 넉넉히 넣은 다음 고추장을 넣고 비볐다. 밥을 수저로 크게 떠서 우물우물 씹었다. 나물들과 밥의 조화가 일품이다. 호박과 두부를 넣고 끓인 된장찌개도 부지런히 떠먹었다. 칼국수는 배추겉절이, 설렁탕은 깍두기, 백반집은 밥이 중요하듯 보리밥은 된장찌개가 생명이다. 쌀과 보리는 기질이 다르다. 쌀밥은 푸들처럼 혀에 착착 감기는데 보리는 줄 듯 말 듯 애간장을 태운다. 이팔청춘 성춘향과 이몽룡이 사랑놀이 하듯 말이다. '이리 오너라 업고 놀자, 사랑 사랑 사랑 내 사랑이야~.' 잡히는 가 싶으면 요리조리 달아나고. 보리의 밀당솜씨가 보통 아니다.

옆 식탁엔 중년의 여성들이 밥을 먹으며 얘기꽃을 피웠다. 살 얘기다. 요즘은 어딜가나 살이 화두다. "아유, 나이 먹고 폐경되니까 먹는 족족 살로 가니 속상해 죽겠어.", "그러게 말야. 운동해도 안 빠지고. 작년에 입던 바지가 안 맞아. 어떡하면 좋아.", "늙는 것도 서러운데 살만 찌고. 먹는 걸 줄이는 수밖에 없어." 슬쩍 보니 밥은 반도 안 먹고 파전도 울고 있었다. 아, 저 남은 음식들 다 쓰레기통으로 들어갈텐데.

어릴 적 보리밥을 지겹게도 먹었다. 보리밥은 가난의 상징이었다. 뽀얀 쌀밥 도시락을 싸오는 친구가 무지하게 부러웠다. 빵도 보리로 만들었다. 엄마는 절구에 보리를 넣고 찧어 반죽을 한 다음 팥소를 넣고 쪘다. 거칠고 거무튀튀한 보리빵. 나는 속에 든 팥소만 빼 먹었다. 눈처럼 하얗고 보들보들한 밀가루빵이 먹고 싶은데. 내가 먹은 보리빵은 속을 훤히 내보인 채 발라당 누운 신세다. 그건 엄마 차지였다. 보리밥은 소화가 잘돼 금방 배가 고프다. 방귀도 잘 나온다. 친구들과 오징어 놀이 할 때 한쪽발로 폴짝폴짝 뛰다보면 나도 모르게 방귀가 나온다. 뿡뿡. 지금은 보리밥이 별미다. 보리빵도 웰빙빵으로 불린다. 신문사에 갓 입사했을 때 하루는 점심으로 보리밥을 먹기로 했다. 내가 좋아라 하자 남자 선배가 말했다. "우난순씨, 보리밥 안 지겨워? 우리 어릴 때 많이 먹었잖아." 옛것은 좋은 것이여. 보문산도 그렇다. <지방부장>
202207270101001502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1기 신도시 재건축 '판 깔렸지만'…못 웃는 지방 노후계획도시
  2. 밀알복지관 가족힐링캠프 '함께라서 행보캠'
  3.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
  4. 축산업의 미래, 가축분뇨 문제 해결에 달렸다
  5. 교정시설에서 동료 수형자 폭행 '실형'…기절시켜 깨우는 행위 반복
  1. 대전행복나눔무지개푸드마켓 1호점 공식 카카오톡 채널 개설
  2. 농산 부산물, 부가가치 창출...환경과 경제 살리는 동력
  3. 어촌서 재충전, '쉬어(漁)가요' 프로그램 참가자 모집
  4. 챗봇 '해수호봇', 해양안전 디지털 혁신 이끈다
  5. 정부 부동산 대책 지방 위한 추가대안 마련 시급

헤드라인 뉴스


정청래 국회연설 "내란청산은 정치보복이 아니다"

정청래 국회연설 "내란청산은 정치보복이 아니다"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는 9일 “남북이 다시 손잡는 핵심은 경제협력이고, 우리는 경제통일에 민생통일을 추가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 “통일부가 2026년 남북협력기금으로 1조 25억원을 편성했다. 주목할 것은 경제협력사업 예산으로, 606억원에서 1789억원으로 세 배가량 증가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개성공단과 같은 경제협력 사업의 재개를 위해 필요한 도로와 폐수 시설 같은 복구와 구축 사업 예산”이라며 “남북이 힘을 합치면 경제 규모도 커지고 일자리도 늘어나고, 동..

국내 증시 조정에도…충청권 상장사는 `선방`
국내 증시 조정에도…충청권 상장사는 '선방'

새 정부 출범 이후 가파른 상승세를 타던 국내 증시가 최근 조정 국면을 맞고 있지만, 충청권 상장사들은 비교적 선방하고 있다. 전체적인 시장의 침체 분위기 속 8월 한 달 간 충청권 상장법인의 시가총액 합계는 전월 대비 0.3%(4074억 원) 증가한 152조 3402억 원에 도달했다. 한국거래소 대전혁신성장센터가 9일 발표한 대전·충청지역 상장사 증시 동향에 따르면 8월 충청권 상장법인의 시가총액은 152조 3402억 원으로 전월(151조 9328억 원) 대비 0.3% 증가했다. 8월 한 달 동안 대전·세종·충남 지역의 시총은 근..

대전 공기업 임원 교체 `바람` 불까…대전관광공사 임원 교체 가닥
대전 공기업 임원 교체 '바람' 불까…대전관광공사 임원 교체 가닥

민선 8기 대전시 출범 이후 임명된 시 산하 공기업 임원이 속속 임기를 마치면서 연임과 교체의 '갈림길'에 놓였다. 이장우 시장의 임기가 1년도 남지 않은 상황에서 물갈이를 통한 조직 변화를 꾀할지, 연장으로 막바지 조직 안정화를 선택할지에 대한 관심이 쏠린다. 9일 대전시에 따르면 시 출자·출연 기관장은 시장과 임기를 같이 하기로 조례로 정했지만, 시 산하 공기업은 지방공기업법을 적용받아 이와 무관하다. 이에 민선 8기 출범 이후 임명된 시 산하 공기업 임원들의 3년 임기가 순차적으로 끝나고 있다. 대전관광공사는 임원 교체 분위기..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올바른 손씻기로 식중독 예방해요’ ‘올바른 손씻기로 식중독 예방해요’

  • 전통시장 화재안전 집중조사 전통시장 화재안전 집중조사

  • ‘한국의 情을 고향에 전하세요’ ‘한국의 情을 고향에 전하세요’

  •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