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난순의 식탐] 고향의 맛

  • 오피니언
  • 우난순의 식탐

[우난순의 식탐] 고향의 맛

  • 승인 2022-08-17 07:51
  • 수정 2022-08-19 08:09
  • 우난순 기자우난순 기자
KakaoTalk_20220817_074638993
비온 후 푹신한 낙엽 밟는 느낌이 좋다. 물기 머금은 눅눅한 냄새. 소나무에서 조청처럼 흐르면서 굳은 송진 냄새가 확 풍긴다. 전날까지 줄기차게 내리던 비가 뚝 그치고 푸른 하늘엔 목화송이 같은 구름이 떠다닌다. 시루봉이 가까워온다. 끈적한 땀이 온 몸에 달라붙자 날파리가 귓전에서 왱왱거리며 성가시게 군다. 깊은 숨을 토해내며 드디어 정상에 올랐다. 정자에 앉아 숨을 고르며 뜨거운 차를 입으로 호호 불며 마신다. 시원한 바람이 달착지근하다. 산에 오를 때마다 자연에 대한 고마움과 겸허함을 배운다. 자연과 더불어 사는 삶. 보문산이 더는 망가지지 않았으면 좋겠다. 어리석은 인간은 자연을 소유물로 여긴다. 왜 기후위기인가. 그 대가를 지금 치르고 있는데 아직도 깔아뭉개지 못해서 안달이다. 여름에 시루봉에 찾아오던 벌새도 이젠 오지 않는다. 벤치 뒤 꽃나무를 지난해 다 베어버린 것이다. 보문산 관광활성화? 모노레일이 설치되고 케이블카가 오르락내리락하고? 누구를 위한 개발인가. 보문산에 올 때마다 마음이 무거워지는 이유다.

평소 휴일에 먼 산에 가지 않을 땐 아침 7시께 보문산에 간다. 지난 금요일엔 오전 일찍 일이 있어 10시 넘어서 보문산에 갔다. 산에서 내려오니 12시가 훌쩍 넘어 '고향식당'으로 갔다. 내부가 깔끔하면서 정갈하고 무엇보다 북적북적하지 않아서 안심이 된다. 먼저 숭늉이 나왔다. 구수한 숭늉을 마시고 수저로 보리를 건져 먹었다. 깨물면 톡톡 터지는 것이 앵두 같다. 드디어 보리밥 대령이오! 군침이 확 돌았다. 쌀과 보리가 반반 섞인 밥에 무생채, 비름나물무침, 콩나물무침, 버섯볶음 등을 다 넣고 된장찌개를 넉넉히 넣은 다음 고추장을 넣고 비볐다. 밥을 수저로 크게 떠서 우물우물 씹었다. 나물들과 밥의 조화가 일품이다. 호박과 두부를 넣고 끓인 된장찌개도 부지런히 떠먹었다. 칼국수는 배추겉절이, 설렁탕은 깍두기, 백반집은 밥이 중요하듯 보리밥은 된장찌개가 생명이다. 쌀과 보리는 기질이 다르다. 쌀밥은 푸들처럼 혀에 착착 감기는데 보리는 줄 듯 말 듯 애간장을 태운다. 이팔청춘 성춘향과 이몽룡이 사랑놀이 하듯 말이다. '이리 오너라 업고 놀자, 사랑 사랑 사랑 내 사랑이야~.' 잡히는 가 싶으면 요리조리 달아나고. 보리의 밀당솜씨가 보통 아니다.

옆 식탁엔 중년의 여성들이 밥을 먹으며 얘기꽃을 피웠다. 살 얘기다. 요즘은 어딜가나 살이 화두다. "아유, 나이 먹고 폐경되니까 먹는 족족 살로 가니 속상해 죽겠어.", "그러게 말야. 운동해도 안 빠지고. 작년에 입던 바지가 안 맞아. 어떡하면 좋아.", "늙는 것도 서러운데 살만 찌고. 먹는 걸 줄이는 수밖에 없어." 슬쩍 보니 밥은 반도 안 먹고 파전도 울고 있었다. 아, 저 남은 음식들 다 쓰레기통으로 들어갈텐데.

어릴 적 보리밥을 지겹게도 먹었다. 보리밥은 가난의 상징이었다. 뽀얀 쌀밥 도시락을 싸오는 친구가 무지하게 부러웠다. 빵도 보리로 만들었다. 엄마는 절구에 보리를 넣고 찧어 반죽을 한 다음 팥소를 넣고 쪘다. 거칠고 거무튀튀한 보리빵. 나는 속에 든 팥소만 빼 먹었다. 눈처럼 하얗고 보들보들한 밀가루빵이 먹고 싶은데. 내가 먹은 보리빵은 속을 훤히 내보인 채 발라당 누운 신세다. 그건 엄마 차지였다. 보리밥은 소화가 잘돼 금방 배가 고프다. 방귀도 잘 나온다. 친구들과 오징어 놀이 할 때 한쪽발로 폴짝폴짝 뛰다보면 나도 모르게 방귀가 나온다. 뿡뿡. 지금은 보리밥이 별미다. 보리빵도 웰빙빵으로 불린다. 신문사에 갓 입사했을 때 하루는 점심으로 보리밥을 먹기로 했다. 내가 좋아라 하자 남자 선배가 말했다. "우난순씨, 보리밥 안 지겨워? 우리 어릴 때 많이 먹었잖아." 옛것은 좋은 것이여. 보문산도 그렇다. <지방부장>
2022072701010015025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세종시 제천서 실종된 40대 남성… 여전히 행방묘연
  2. 이장우 "3대하천 준설 덕에…더는 물난리로 불편 없도록"
  3. 대전천 휩쓸린 50대 숨진채 발견…대전충남 폭우 4명 사망
  4. 8년간 재활용품 수집으로 모은 1천만원 기부한 86세 이형진 할아버지
  5. 지역 어르신들에게 삼계탕 선물
  1. 서울 집값 24주 연속 상승… 대전은 27주 연속 하락 '양극화' 뚜렷
  2. 문화유산회복재단, 유성구청 업무협약 맺고 학생 실감교육 실시
  3. [아침을 여는 명언 캘리] 2025년 7월18일 금요일
  4. 제10회 대한민국 국제 관광박람회 18일부터 나흘간 개최
  5. [양동길의 문화예술 들춰보기] 등용과 정리

헤드라인 뉴스


정청래 62.7% 충청서 기선제압 …與 당권주자들 해수부 논란엔 `침묵`

정청래 62.7% 충청서 기선제압 …與 당권주자들 해수부 논란엔 '침묵'

더불어민주당 8·2 전당대회 첫 지역 순회 경선인 충청권 권리당원 선거인단 투표에서 정청래 후보가 62.77%의 득표율로 중원을 민심을 잡으면서 기선을 제압했다. 그러나 정작 충청권 강력 반발하고 있는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논란에 대해 당권 주자와 최고위원 등 세 명의 후보 모두 한마디도 하지 않아 지역 민심을 외면했다는 비판이 거세다. 19일 민주당에 따르면, 충청권 권리당원 투표 결과 정청래 후보가 3만 5142표(62.77%)를 획득하며 2만 846표(37.23%)를 얻은 박찬대 의원을 큰 격차로 제쳤다. 투표에는 전체 권리당..

제10회 대한민국 국제 관광박람회 18일부터 나흘간 개최
제10회 대한민국 국제 관광박람회 18일부터 나흘간 개최

올해로 10회를 맞은 대한민국 국제 관광박람회(KITS:Korea International Tourism Show)가 18일부터 21일까지 나흘간 일산 킨텍스 제2전시장 7홀에서 열린다. 대한민국지방신문협의회와 KITS조직위원회가 공동 주최하고 ㈜한국전시산업원이 주관하는 이번 박람회는 국내외 관광업계 정보 제공의 장과 관광객 유치 도모를 위한 비즈니스의 장을 마련해 상호 교류의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할 예정이다. KITS는 관광객 유치를 위해 지역별 특색을 살린 여행 콘텐츠와 국제 관광도시 및 국가 홍보, 국내외 관광 콘텐츠 간 네트워..

[이슈현장] 꿀벌이 사라진다… 기후위기 속 대전양봉 위태
[이슈현장] 꿀벌이 사라진다… 기후위기 속 대전양봉 위태

우리에게 달콤한 꿀을 선사해주는 꿀벌은 작지만 든든한 농사꾼이기도 하다. 식탁에 자주 오르는 수박, 참외, 딸기 역시 꿀벌들의 노동 덕분에 먹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유엔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전 세계 식량 공급의 약 90%를 담당하는 100대 주요 농산물 중 71종은 꿀벌의 수분 작용에 의존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꿀벌들이 사라지고 있다. 기후변화와 '꿀벌응애'라는 외래종 진드기 등장에 따른 꿀벌 집단 폐사가 잦아지면서다. 전국적으로 '산소호흡기'를 들이밀듯 '꿀벌 살리자'라는 움직임이 일고 있으나 대전 지역 양봉..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위험한 하굣길 위험한 하굣길

  • 폭우에 대전 유등천 교량 통제 폭우에 대전 유등천 교량 통제

  • 민생회복 소비쿠폰 접수창구 준비 민생회복 소비쿠폰 접수창구 준비

  • 밤사이 내린 폭우에 충남지역 피해 속출 밤사이 내린 폭우에 충남지역 피해 속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