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난순의 식탐] 떡 해봤어?

  • 오피니언
  • 우난순의 식탐

[우난순의 식탐] 떡 해봤어?

  • 승인 2022-10-05 08:20
  • 우난순 기자우난순 기자
KakaoTalk_20221004_170138004
지난 봄 보문산에 갔다 내려오던 중 대사초등학교 뒤 비탈에서 아주머니들이 뭘 뜯고 있는 걸 봤다. 그 곳은 사람의 발길이 닿지 않아 온통 무성하게 자란 쑥밭이었다. 아주머니들은 높이 자란 줄기 끝 연한 쑥만 부지런히 땄다. 며칠 후면 '곡우'라 쑥떡을 해먹을 참이란다. 곡우에 딴 어린 찻잎이 최고라는데, 이 봄이 다 가기 전에 진한 쑥향으로 버무린 떡이라. 봄에는 쑥떡만 한 게 없다. 마침 나도 비닐봉지가 있어 꾹꾹 눌러 한 가득 뜯었다. 그걸 끓는 물에 데쳐 하루동안 담갔다가 꼭 짜서 냉동실에 넣었다. 이제나 저제나 언제 해먹을까 하다 얼마 전 중앙시장 떡방앗간에서 멥쌀가루 한 되를 사왔다. 방앗간에서 쑥과 쌀가루를 기계로 섞어 반죽을 하면 수월하지만 난 온전히 내 손으로 하고 싶은 열망에 사로잡혔다.

일단 얼린 쑥덩이를 녹여 칼로 최대한 쫑쫑 썰었다. 따뜻한 물을 쌀가루에 조금씩 넣으면서 반죽을 했다. 그런 다음 쑥을 넣고 계속 치댔다. 햐, 보통 일이 아니었다. 어깨와 손목이 뻐근했다. 드디어 녹색의 반죽 한 덩이가 됐다. 먼저 쑥개떡을 열 개 정도 만들었다. 송편은 빚기 번거로워 반죽을 조그맣게 떼어내 완두 비슷한 이집트콩과 강낭콩을 섞어 주무른 '막떡'도 완성했다. 손재주가 좋은 엄마가 빚은 송편은 기계보다 정교하고 모양이 막 피기 직전의 연꽃봉오리 같았는데. 자, 이제 쪄볼까? 찜기에 면 보자기를 깔고 떡을 가지런히 얹어 김이 푹푹 나는 걸 지켜보자니 조바심이 났다. 잘 됐을까? 뜨거운 떡을 꺼내놓고 김이 식은 후 맛을 봤다. 얼래? 아무 맛이 안 났다. 소금과 설탕을 너무 적게 넣은 것이다. 막떡은 콩이 있어 먹을 만한데 개떡은 여엉. 그래도 씹으면 쑥의 섬유질이 풍부해 식감이 제대로 났다.

지지난주 토요일, 봄부터 벼르던 대둔산에 갔다. 전날 만든 떡과 과일 등을 잔뜩 싸들고서. 버스에서 내려 산을 올려다봤다. 봉우리들의 위용이 남달랐다. 헉헉거리며 마의 90도 계단에 다다랐다. 말그대로 수직으로 된 계단이다. '임신부나 노약자는 오르지 마시오' 라는 표지판을 보자 심장이 쫄밋거렸다. "얼른 오이소. 므은 남자가 겁이 저리 많은지, 참말로." 빨간 등산복을 입은 60대로 보이는 아주머니가 남편을 채근했다. 아저씨는 결국 샛길로 따로 올라갔다. 숨을 깊게 들이마시고 한 계단, 한 계단 올라갔다. 여기선 위도 옆도 보면 안된다. 아래는 더더욱 보면 안된다. 계단에 몸을 밀착시키고 앞만 보고 '이 순간은 곧 지나가리라' 주문을 외면서 한 발짝씩 떼었다.

정상에 올라 탁 트인 사방을 보니 희열감에 몸이 짜릿했다. 이거야말로 오르가슴 아닌가. 정상에서 조금 내려와 편안한 그늘에 앉아 먹을거리를 배낭에서 꺼냈다. 쑥떡을 먹었다. 태어나서 처음 만든 떡! 20% 부족하지만 내가 만든 떡이라서 애정이 갔다. 꿀떡꿀떡 잘도 넘어갔다. 오래 전 명절에 떡을 먹으면서 엄마한테 떡이 너무 좋다고 하니까 엄마가 빙그레 웃으며 대꾸했다. "너도 나 닮아서 떡을 좋아하는구나." 올 가을 농민들이 애써 가꾼 벼를 갈아엎었다. 농민에게 벼농사는 자식 키우는 거와 똑같다. 그런 쌀이 껌값 만도 못하다. 쌀값 폭락을 농민 탓하는 정부의 무지에 한숨이 나온다. 다행히 정부가 45만t을 사들여 급한 불은 껐지만 장기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갈수록 줄어드는 수요도 문제다. 영양학적으로 손색없는 우리 쌀을 많이 먹는 것도 해결책이다. 뜨끈하고 말간 갈비탕에 윤기 자르르 흐르는 밥 한공기 말아 먹는 맛. 늙은 호박고지와 밤, 곶감, 대추, 온갖 콩이 들어간 영양찰떡을 먹는 행복. 지난 토요일 성심당을 지나다 놀라 자빠질 뻔 했다. 인산인해였다. 대한민국 최고의 빵집 성심당이 쌀빵을 만들어 팔면 대박 날텐데. <지방부장>
우난순 수정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갑천 야경즐기며 워킹' 대전달빛걷기대회 5월 10일 개막
  2. 수도 서울의 높은 벽...'세종시=행정수도' 골든타임 놓치나
  3. 충남 미래신산업 국가산단 윤곽… "환황해권 수소에너지 메카로"
  4. 이상철 항우연 원장 "한화에어로 지재권 갈등 원만하게 협의"
  5. [근로자의 날] 작업복에 묻은 노동자 하루…"고된 흔적 싹 없애드려요"
  1. 충청권 학생 10명 중 3명이 '비만'… 세종 비만도 전국서 가장 낮아
  2. 대학 10곳중 7곳 올해 등록금 올려... 평균 710만원·의학계열 1016만원 ↑
  3. 함께 새마을, 미래로! 세계로!
  4. [춘하추동]삶이 힘든 사람들을 위하여
  5. 2025 세종 한우축제 개최...맛과 가격, 영양 모두 잡는다

헤드라인 뉴스


[근로자의 날] 작업복에 묻은 노동자 하루…"고된 흔적 싹 없애드려요"

[근로자의 날] 작업복에 묻은 노동자 하루…"고된 흔적 싹 없애드려요"

"이제는 작업복만 봐도 이 사람의 삶을 알 수 있어요." 28일 오전 9시께 매일 고된 노동의 흔적을 깨끗이 없애주는 세탁소. 커다란 세탁기 3대가 쉴 틈 없이 돌아가고 노동자 작업복 100여 벌이 세탁기 안에서 시원하게 묵은 때를 씻어낼 때, 세탁소 근로자 고모(53)씨는 이같이 말했다. 이곳은 대전 대덕구 대화동에서 4년째 운영 중인 노동자 작업복 전문 세탁소 '덕구클리닝'. 대덕산업단지 공장 근로자 등 생산·기술직 노동자들이 이용하는 곳으로 일반 세탁으로는 지우기 힘든 기름, 분진 등으로 때가 탄 작업복을 대상으로 세탁한다...

`운명의 9연전`…한화이글스 선두권 경쟁 돌입
'운명의 9연전'…한화이글스 선두권 경쟁 돌입

올 시즌 절정의 기량을 선보이는 프로야구 한화이글스가 9연전을 통해 리그 선두권 경쟁에 돌입한다. 한국프로야구 10개 구단은 29일부터 다음 달 7일까지 '휴식 없는 9연전'을 펼친다. KBO리그는 통상적으로 잔여 경기 편성 기간 전에는 월요일에 경기를 치르지 않지만, 5월 5일 어린이날에는 프로야구 5경기가 편성했다. 휴식일로 예정된 건 사흘 후인 8일이다. 9연전에서 가장 주목하는 경기는 29일부터 5월 1일까지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열리는 LG 트윈스와 승부다. 리그 1위와 3위의 맞대결인 만큼, 순위표 상단이 한순간에 뒤바..

학교서 흉기 난동 "학생·학부모 불안"…교원단체 "재발방지 대책"
학교서 흉기 난동 "학생·학부모 불안"…교원단체 "재발방지 대책"

학생이 교직원과 시민을 상대로 흉기 난동을 부리고, 교사가 어린 학생을 살해하는 끔찍한 사건이 잇따라 발생하면서 학생·학부모는 물론 교사들까지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경찰과 충북교육청에 따르면 28일 오전 8시 33분쯤 청주의 한 고등학교에서 특수교육대상 2학년 A(18) 군이 교장을 비롯한 교직원 4명과 행인 2명에게 흉기를 휘둘러 A 군을 포함한 모두 7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경계성 지능을 가진 이 학생은 특수교육 대상이지만, 학부모 요구로 일반학급에서 공부해 왔다. 가해 학생은 사건 당일 평소보다 일찍 학교에 도착해 특..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2025 유성온천 문화축제 5월 2일 개막 2025 유성온천 문화축제 5월 2일 개막

  • 오색 연등에 비는 소원 오색 연등에 비는 소원

  • ‘꼭 일하고 싶습니다’ ‘꼭 일하고 싶습니다’

  • 함께 새마을, 미래로! 세계로! 함께 새마을, 미래로! 세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