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속으로] B747의 아름다운 퇴장

  • 오피니언
  • 세상속으로

[세상속으로] B747의 아름다운 퇴장

이성만 배재대 명예교수

  • 승인 2023-02-06 10:58
  • 신문게재 2023-02-07 18면
  • 김소희 기자김소희 기자
이성만 배재대 항공운항과 교수
IBM PC, 소니 워크맨, 현대 포니, 보잉 747의 공통점은? 인고의 협업으로 탄생하여 각 분야에서 역사의 큰 획을 긋고 아름답게 퇴장했다는 사실이다. IBM PC와 소니 워크맨은 디지털 시대의 예고편이었다. 점보기는 장거리 항공여행의 개척자였다. 그렇다면 대전의 도시철도 2호선과 과학도시의 유사점은? 2호선은 1997년 금융위기로 연기된 이후 지금까지 계획 중이고, 과학 도시의 위상도 퇴색했으니, 대전다운 특색을 살리지 못한 '신기루 정책'이라는 유사점이 있다.

2023년 1월 31일은 B747의 새로운 시대가 닫힌 날이다. 1970년 첫 정규노선에 투입된 이후 54년여 만에 생산을 종료한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제작된 1574번째 항공기는 Atlas Air가 사용할 화물기 747-8F이다. 화물기의 동체 기수 부근의 조그만 스티커가 이것이 마지막으로 생산된 B747이고 2016년 사망한 수석 엔지니어 조 서터를 상기시킬 뿐이다.

B747은 여객기 역사에서 새로운 신세계를 열었다. 이전의 B707은 최대 189명의 승객이 탑승 가능했지만, 점보기는 처음에는 최대 550명을, 나중에는 660명까지 수용할 수 있었다. 이런 B747의 탄생도 가히 신화적이었다. 1965년 어느 날 보잉 CEO 윌리엄 앨런과 팬암 창업자 후안 트립이 연어 낚시를 즐기며 세계 최대 여객기를 만들자는 신사협정이 단초 였으니까. 공식 문서 없이 악수만으로 두 회사의 존망이 걸린 프로젝트가 성사되었다는 것도 전설적이다.

컴퓨터 설계와 가상 3D 모델이 몇 번의 마우스 클릭만으로 생성되는 작금의 디지털 시대에 1960년대 중반 B747 엔지니어가 직면한 문제들은 상상조차 어렵다. 분명한 것은 팬암이 당시 금시초문의 차세대 광동체 항공기를 원했다는 사실이다.



후안 트립의 기준은 B707이었기에, 그의 아이디어는 간단히 B707 동체 두 개를 쌓는 이층 구조였지만, 여러 가지 이유에서 1965년 폐기되었다. B747은 원래 대륙 간 승객이 유럽의 콩코드나 미국의 Boeing SST(1971년 폐기) 편으로 초음속 비행을 할 때까지 사용할 임시 항공기로 기획된 것이지만, 이후에도 화물기로 계속 사용되어야 했기에, 화물적재가 용이하게 기수를 위로 접을 수 있도록 조종실을 메인 데크 위로 이동시켰다. 이런 구조로 탄생된 것이 조종실 뒤편의 그 유명한 2층 객실이다. 1966년 4월 13일, 팬암 항공이 5억 2,500만 달러(현재 약 48억 달러) 상당의 B747 25대를 주문하면서 B747 프로그램은 공식 출범했다.

1966년 6월, 보잉은 워싱턴 주 페인 필드 군사공항 근처에 구입한 800에이커 습지대에 구축한 B747 생산 시설은 규모에서 지금도 세계에서 가장 큰 건물이다. 당시의 순수 아날로그 도구를 사용한 작업이었음을 상상해보라. 아무튼 B747의 설계 작업과 공장 건설을 병행한 결과, 시제품은 2년 내 비행 예정이었고, 출시일은 1968년 9월 30일이었다. 팬암이 발주 의향서에 서명한 지 3년, 오픈플랜 설계에 합의한 지 28개월 만에 새로운 하늘의 여왕이 탄생할 수 있었다. 1970년 1월 21일 뉴욕~런던 간 팬암 여객기가 첫 운항을 한 이후 1975년 이미 1억 번째 승객을 맞았고, 1993년 10월 1000번째 747기를 인도하는 이정표를 세웠다.

그렇다. 시드니 셸던의 소설 제목마냥 세상에 "영원한 것은 없다". B747도 숱한 기록과 새로운 항공시대를 예고하고 아름다운 퇴장을 맞이했다. 대전의 2호선은 계획 이후 사반세기를 넘겼다. 한때 과학도시 신드롬을 일으켰던 대전의 위상은 신기루처럼 쪼그라들었다. 하지만 갈고 다진 흑토에 씨앗을 뿌리는 검은 토끼의 해를 맞아, 대전도 항공 신세계를 개척한 B747의 아버지 조 서터와 같은 도전과 의지로 재무장한다면, 그게 항공우주산업을 품은 과학도시이든 한국 최초의 트램도시이든 신기루가 아닌 신세계로 승화될 때 그 결실은 영원히 지속 가능한 발전을 약속할 수 있을 것이다.

이성만 배재대 명예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갑천 야경즐기며 워킹' 대전달빛걷기대회 5월 10일 개막
  2. 수도 서울의 높은 벽...'세종시=행정수도' 골든타임 놓치나
  3. 충남 미래신산업 국가산단 윤곽… "환황해권 수소에너지 메카로"
  4. 이상철 항우연 원장 "한화에어로 지재권 갈등 원만하게 협의"
  5. [근로자의 날] 작업복에 묻은 노동자 하루…"고된 흔적 싹 없애드려요"
  1. 충청권 학생 10명 중 3명이 '비만'… 세종 비만도 전국서 가장 낮아
  2. 대학 10곳중 7곳 올해 등록금 올려... 평균 710만원·의학계열 1016만원 ↑
  3. 함께 새마을, 미래로! 세계로!
  4. [춘하추동]삶이 힘든 사람들을 위하여
  5. 2025 세종 한우축제 개최...맛과 가격, 영양 모두 잡는다

헤드라인 뉴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무죄판결 파기환송…유죄 취지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무죄판결 파기환송…유죄 취지

대법원이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로 기소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후보에게 무죄를 선고한 2심 판결에 대해 유죄 취지로 파기 환송했다. 이에 따라 이 후보는 서울고법에서 다시 재판받아야 한다. 서울고법은 대법원의 판단 취지에 기속되므로 유죄를 선고해야 한다.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대법원 전원합의체(주심 박영재 대법관)는 5월 1일 이 후보에게 무죄를 선고한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서울고법으로 돌려보냈다. 대법원은 지난 3월 28일 사건을 접수한 뒤 국민의 관심이 지대하고 유력 대권 주자인 이 후보의 피선거권 여부가 달려있다는 점을..

`운명의 9연전`…한화이글스 선두권 경쟁 돌입
'운명의 9연전'…한화이글스 선두권 경쟁 돌입

올 시즌 절정의 기량을 선보이는 프로야구 한화이글스가 9연전을 통해 리그 선두권 경쟁에 돌입한다. 한국프로야구 10개 구단은 29일부터 다음 달 7일까지 '휴식 없는 9연전'을 펼친다. KBO리그는 통상적으로 잔여 경기 편성 기간 전에는 월요일에 경기를 치르지 않지만, 5월 5일 어린이날에는 프로야구 5경기가 편성했다. 휴식일로 예정된 건 사흘 후인 8일이다. 9연전에서 가장 주목하는 경기는 29일부터 5월 1일까지 대전 한화생명볼파크에서 열리는 LG 트윈스와 승부다. 리그 1위와 3위의 맞대결인 만큼, 순위표 상단이 한순간에 뒤바..

학교서 흉기 난동 "학생·학부모 불안"…교원단체 "재발방지 대책"
학교서 흉기 난동 "학생·학부모 불안"…교원단체 "재발방지 대책"

학생이 교직원과 시민을 상대로 흉기 난동을 부리고, 교사가 어린 학생을 살해하는 끔찍한 사건이 잇따라 발생하면서 학생·학부모는 물론 교사들까지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경찰과 충북교육청에 따르면 28일 오전 8시 33분쯤 청주의 한 고등학교에서 특수교육대상 2학년 A(18) 군이 교장을 비롯한 교직원 4명과 행인 2명에게 흉기를 휘둘러 A 군을 포함한 모두 7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경계성 지능을 가진 이 학생은 특수교육 대상이지만, 학부모 요구로 일반학급에서 공부해 왔다. 가해 학생은 사건 당일 평소보다 일찍 학교에 도착해 특..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세계노동절 대전대회 세계노동절 대전대회

  • 2025 유성온천 문화축제 5월 2일 개막 2025 유성온천 문화축제 5월 2일 개막

  • 오색 연등에 비는 소원 오색 연등에 비는 소원

  • ‘꼭 일하고 싶습니다’ ‘꼭 일하고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