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태흠 충남지사를 비롯한 내빈들이 1일 열린 민선 지방자치 30주년 기념식에 참여했다. /충남도 제공 |
도는 1일 도청 문예회관에서 민선 지방자치 30주년 기념식을 개최했다. 이날 행사엔 김 지사를 비롯해 심대평·유흥수·박태권 전 지사, 시장·군수, 주민 대표 등 700여 명이 참석했다.
'주민과 함께 한 30년, 지방자치로 여는 미래'를 슬로건으로 내건 이번 행사는 1995년 민선자치 부활 이후 30년 동안의 성과와 의미를 되새기고 미래 발전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해 마련했다.
이날 김 지사는 "지방자치의 목적은 민주적 절차를 통한 지역의 균형발전에 있으나, 지방자치 30년에도 불구하고 지방소멸과 불균형 발전은 가속화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아직도 대한민국 인구의 절반 이상이 수도권에 살고 있고, 지역내총생산(GRDP) 역시 수도권이 50% 이상 차지하고 있다"며 "역대 모든 정권에서 균형발전 정책을 추진하며 200조 원 가까운 예산을 투입했지만 밑빠진 독에 물 붓는 격이었다"고 꼬집었다.
김 지사가 제시한 지방소멸과 불균형 발전 해결, 진정한 지방자치 시대를 실현할 비전으로는 ▲농업·농촌 대개혁 ▲국가 탄소중립경제 선도 ▲미래 먹거리 창출 ▲지역 특장·특색을 살린 발전 ▲실질적인 저출산 대책 추진 등이다.
농업·농촌 대개혁과 관련해 김 지사는 "농촌의 변화 없이 지방소멸은 해결할 수 없다"며 "농촌의 고령화를 해소하고 인구를 유입시키기 위해서는 양질의 청년 일자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국가 탄소중립경제 선도의 중요성도 언급했다.
김 지사는 "탄소중립에 따른 에너지 전환과 산업 재편은 피할 수 없는 시대적 흐름"이라며 "2045년까지 52조 원을 투자해 국가 계획보다 5년 빨리 탄소중립을 실현하고 에너지·산업 전환을 통해 위기를 기회로 만들어 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지사는 미래 먹거리 창출을 위해 아산만 일대에 한국판 실리콘밸리인 베이밸리 메가시티를 조성해 반도체·디스플레이·인공지능(AI) 등 첨단 산업을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또 대전·충남 행정통합을 통해 인구 360만 명, 지역내총생산(GRDP) 190조 원 규모의 초광역 도시로서 규모의 경제를 갖춰 새로운 미래 성장동력을 창출하겠다는 포부도 밝혔다.
김 지사는 "5개 비전은 충남의 비전이기도 하지만, 미래 50년·100년을 대비하는 대한민국의 비전이라고 감히 말씀드릴 수 있다"며 "충남과 대한민국의 새로운 역사를 써내려 가는데 소임을 다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내포=오현민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