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난순의 식탐] 생굴 드셨다고예?

  • 오피니언
  • 우난순의 식탐

[우난순의 식탐] 생굴 드셨다고예?

  • 승인 2023-03-08 10:01
  • 신문게재 2023-03-09 18면
  • 우난순 기자우난순 기자
1404418883
게티 이미지 제공
누구는 한다, 누구는 안한다. 도대체 누구 말이 맞는지. 한참 헤맨 끝에 동사무소에 확인한 결과 굴 수협에 문의해 보란다. 굴 작업장이 문을 열었단다. 휴우. 통영 서문시장에서 민진마을까지 걸어서 30분이랬는데 1시간 걸렸다. 딱 그 짝이다. 쫌만 가면 됩니더. '석화'를 잔뜩 실은 통통배가 시퍼런 물살을 가르며 지나간다. 마을에 들어서자 비릿한 냄새가 코를 찌른다. 굴껍데기가 산처럼 쌓여 있었다. 굴 작업장 안은 산더미처럼 쌓인 굴 앞에서 사람들이 부지런히 손을 놀렸다. 한 아주머니한테 인사를 하자 반갑게 맞아준다. "어디서 왔노? 요거 구경하러 왔다꼬? 이 굴 무 봐라." 아주머니는 껍데기를 벌리고 꼬챙이로 굴을 들어올려 내 입에 넣어줬다. 탱글탱글하고 뽀얀 살점을 씹자 달큰하고 짠내가 입안에 살짝 감돌았다. 몇 번 씹을 새도 없이 목젖을 간질이며 쑥 내려간다. 아, 바다냄새!

"남으 돈 묵기 어려분기라. 한 사십년 됐제. 힘들어도 돈을 베니 좋제. 손주들 용돈도 주고." 일당은 다 다르다. 굴을 깐만큼 받는다. 이것을 '돈내기'라고 했다. 한달 정도 하면 웬만큼 익숙해지지만 하루종일 서서 하는 고된 작업이어서 이 일을 하려는 사람이 없다. 그러고보니 동남아 노동자들이 많이 보였다. 지금은 농촌이건 어촌이건 외국인 노동자 없이는 일이 안되는 현실이다. 한국 남자와 결혼한 언니를 따라 베트남에서 왔다는 갓 스물 넘은 '애기'의 굴 까는 손끝이 야무졌다.

강구안은 여행자들이 많이 모이는 곳이다. 그런데 확 달라졌다. 말끔하게 새단장된 모습이었다. 중앙엔 '선박 접안 금지구역'이라는 표지판이 있었다. 전엔 고깃배가 꽉 들어차고 갈매기 울음소리가 요란해 장관이었는데. 옛 모습이 사라지는 걸 보면 가슴이 휑해진다. 여행자의 이기심일까. 동피랑에 사는 할머니는 서른 다섯에 혼자돼 어린 6남매를 키우느라 안해 본 일이 없다. 앞니가 다 빠지고 손은 갈퀴처럼 억세고 시커멨다. 그 손으로 자식들 먹이고 키웠다. 주절주절 얘기를 들려주는 할머니는 젊은이 못지 않게 정신이 짱짱했다. 엄마 생각이 났다. 치매를 앓는 엄마는 내가 집에 가면 "네가 누구냐?" 그러신다. 할머니에게 빵을 드리자 활짝 웃으며 "저녁 잘 묵고 잘 가그라" 라며 손을 흔들었다.

강구안 근처 굴요리 식당에 들어갔다. 배도 고프고 굴요리에 대한 기대로 입안에 침이 고였다. 굴밥과 굴 무침, 굴전 그리고 해물된장찌개가 나왔다. 뭔가 쌔앵 했다. 굴밥 굴이 다 어디갔지? 식어빠진 굴전은 어제 부친 건가? 해물된장찌개는 국적불명의 맛이고. 밥을 겨우겨우 먹고 있는데 옆 테이블에서 손님이 생굴을 찾자 종업원이 지금은 식중독 위험이 있어 메뉴에 없다고 했다. 옴마, 나 굴 작업장에서 생굴 먹었는데. "생굴을 드셨다고예? 마 믄일 읎길 바랄 뿐입니더."



밥을 맛없게 먹어서인지 노로 바이러스 걱정 때문인지, 배가 살살 아프기 시작했다. 버스터미널 화장실에서 큰 일을 보고 싹 비워내서인지 조금 안심이 됐지만 그래도 불안했다. 오만가지 상상을 했다. 고속도로를 달리는 버스 안에서 막 토하고 설사하면 어쩌지? 식중독은 수도꼭지 틀어놓은 것처럼 물 설사를 좍좍 한다던데. 생각만 해도 눈앞이 노래졌다. 중간에 내릴 수도 없는 상황이다. 차에 올라타서 기도했다. 나무관세음보살, 인샬라, 주여! 기도가 통했나. 아무일 없이 대전에 도착했다. 알고 보니 노로 바이러스는 하루나 이틀 후에 증세가 나타나는 거였다. 조마조마했지만 다다음날까지 별일 없었다.

여자를 꽤나 밝힌 카사노바는 굴을 무지막지하게 먹었다. 굴은 남자에게 좋다고 한다. 언제 한번 카사노바를 소환해 굴먹기 내기를 해볼까. 다음엔 추위가 쨍하는 한겨울에 통영 굴을 제대로 먹어야겠다. <지방부장>
우난순 수정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천안시의회 노종관 의원 대표발의, '천안시 건축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본회의 통과
  2. 21년 만의 행정수도 재추진...3가지 관문 통과가 관건
  3. 일상 속 위험, 예방이 먼저!
  4. 원모어아이 v2.0, 조달청 혁신제품 선정...기술력 입증
  5. 국세청, 집중호우 피해 납세자에 세정지원 강화
  1. 매월 22일 '소등의 날' 실천...세종시민이 탄소중립 선도
  2. 타이어뱅크(주)의 서비스 혁신·지역사회 나눔....7월에도 쭈욱~
  3. 19일 오후부터 충청권에 또 폭우…오전까지 침수·담장 붕괴 등 비 피해
  4. 지역 어르신들에게 삼계탕 선물
  5. 천둥 번개 동반한 강한 비… 대전·세종·충남 최고 150㎜

헤드라인 뉴스


나흘간 물폭탄에 충청권 3명 사망·1명 실종, 이재민 965명 (종합 2보)

나흘간 물폭탄에 충청권 3명 사망·1명 실종, 이재민 965명 (종합 2보)

7월 16일부터 나흘간 충청권에 600㎜ 가까운 물 폭탄이 쏟아지면서 3명이 사망하고 1명이 실종됐으며 900명이 넘는 이재민이 발생했다. 충남은 전국 피해의 80%를 차지하는 농작물이 침수됐고 가축 수십만 마리가 폐사해 피해가 극심한 것으로 조사됐다. 예산과 아산, 당진에서 수해 복구 작업이 한창인 가운데, 충남도는 피해조사와 복구 대책 마련을 위한 합동조사단을 꾸린 상태다. 20일 충청권 4개 시·도에 따르면, 지난 16일부터 이어진 극한 호우에 충남에서는 서산(2명), 당진(1명)에서 3명이 침수 피해로 사망했다. 세종에서는..

與 당권주자 해수부 논란 일제히 침묵 비판
與 당권주자 해수부 논란 일제히 침묵 비판

더불어민주당 당권 주자와 최고위원 후보들이 8.2 전당대회 충청권 순회경선에서 해수부 부산 이전 논란에 일제히 침묵, 비판이 고조되고 있다.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행정수도 완성 역행 우려와 공론화 없이 일방통행식으로 강행되는 이 사안에 대해 일언반구도 없어 지역 민심을 외면했다는 것이다. 19일 당 대표 후보인 정청래 의원(서울마포을)과 박찬대 의원(인천연수갑), 최고위원 후보로 단독 출마한 황명선 의원(논산금산계룡) 등 3명은 8·2 전대 첫 지역별 순회 경선지인 충청권 온라인 합동연설에 나섰다. 이 가운데 정 의원과 황 의원은..

"모두가 비싸게 샀다" 비판 받아온 단통법 22일부터 폐지
"모두가 비싸게 샀다" 비판 받아온 단통법 22일부터 폐지

'모두가 비싸게 산다'는 비판을 받았던 '이동통신 단말장치 유통구조 개선에 관한 법률'(단통법)이 11년 만에 역사 속으로 사라진다. 고액 보조금 경쟁을 막고 소비자를 보호하겠다며 시행된 단통법이 22일 폐지되면서다. 이와 함께 휴대전화 유통 구조도 크게 요동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20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단통법은 2014년 10월 휴대전화 유통시장의 혼탁한 보조금 경쟁을 바로잡기 위해 도입됐다. 정부는 이통사가 지원금을 의무적으로 공시하고, 유통점이 지급할 수 있는 추가 지원금을 공시지원금의 15% 이내로 제한했다. 하지만..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 지급 D-1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 지급 D-1

  • 위험한 하굣길 위험한 하굣길

  • 폭우에 대전 유등천 교량 통제 폭우에 대전 유등천 교량 통제

  • 민생회복 소비쿠폰 접수창구 준비 민생회복 소비쿠폰 접수창구 준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