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난순의 식탐] 생굴 드셨다고예?

  • 오피니언
  • 우난순의 식탐

[우난순의 식탐] 생굴 드셨다고예?

  • 승인 2023-03-08 10:01
  • 신문게재 2023-03-09 18면
  • 우난순 기자우난순 기자
1404418883
게티 이미지 제공
누구는 한다, 누구는 안한다. 도대체 누구 말이 맞는지. 한참 헤맨 끝에 동사무소에 확인한 결과 굴 수협에 문의해 보란다. 굴 작업장이 문을 열었단다. 휴우. 통영 서문시장에서 민진마을까지 걸어서 30분이랬는데 1시간 걸렸다. 딱 그 짝이다. 쫌만 가면 됩니더. '석화'를 잔뜩 실은 통통배가 시퍼런 물살을 가르며 지나간다. 마을에 들어서자 비릿한 냄새가 코를 찌른다. 굴껍데기가 산처럼 쌓여 있었다. 굴 작업장 안은 산더미처럼 쌓인 굴 앞에서 사람들이 부지런히 손을 놀렸다. 한 아주머니한테 인사를 하자 반갑게 맞아준다. "어디서 왔노? 요거 구경하러 왔다꼬? 이 굴 무 봐라." 아주머니는 껍데기를 벌리고 꼬챙이로 굴을 들어올려 내 입에 넣어줬다. 탱글탱글하고 뽀얀 살점을 씹자 달큰하고 짠내가 입안에 살짝 감돌았다. 몇 번 씹을 새도 없이 목젖을 간질이며 쑥 내려간다. 아, 바다냄새!

"남으 돈 묵기 어려분기라. 한 사십년 됐제. 힘들어도 돈을 베니 좋제. 손주들 용돈도 주고." 일당은 다 다르다. 굴을 깐만큼 받는다. 이것을 '돈내기'라고 했다. 한달 정도 하면 웬만큼 익숙해지지만 하루종일 서서 하는 고된 작업이어서 이 일을 하려는 사람이 없다. 그러고보니 동남아 노동자들이 많이 보였다. 지금은 농촌이건 어촌이건 외국인 노동자 없이는 일이 안되는 현실이다. 한국 남자와 결혼한 언니를 따라 베트남에서 왔다는 갓 스물 넘은 '애기'의 굴 까는 손끝이 야무졌다.

강구안은 여행자들이 많이 모이는 곳이다. 그런데 확 달라졌다. 말끔하게 새단장된 모습이었다. 중앙엔 '선박 접안 금지구역'이라는 표지판이 있었다. 전엔 고깃배가 꽉 들어차고 갈매기 울음소리가 요란해 장관이었는데. 옛 모습이 사라지는 걸 보면 가슴이 휑해진다. 여행자의 이기심일까. 동피랑에 사는 할머니는 서른 다섯에 혼자돼 어린 6남매를 키우느라 안해 본 일이 없다. 앞니가 다 빠지고 손은 갈퀴처럼 억세고 시커멨다. 그 손으로 자식들 먹이고 키웠다. 주절주절 얘기를 들려주는 할머니는 젊은이 못지 않게 정신이 짱짱했다. 엄마 생각이 났다. 치매를 앓는 엄마는 내가 집에 가면 "네가 누구냐?" 그러신다. 할머니에게 빵을 드리자 활짝 웃으며 "저녁 잘 묵고 잘 가그라" 라며 손을 흔들었다.

강구안 근처 굴요리 식당에 들어갔다. 배도 고프고 굴요리에 대한 기대로 입안에 침이 고였다. 굴밥과 굴 무침, 굴전 그리고 해물된장찌개가 나왔다. 뭔가 쌔앵 했다. 굴밥 굴이 다 어디갔지? 식어빠진 굴전은 어제 부친 건가? 해물된장찌개는 국적불명의 맛이고. 밥을 겨우겨우 먹고 있는데 옆 테이블에서 손님이 생굴을 찾자 종업원이 지금은 식중독 위험이 있어 메뉴에 없다고 했다. 옴마, 나 굴 작업장에서 생굴 먹었는데. "생굴을 드셨다고예? 마 믄일 읎길 바랄 뿐입니더."



밥을 맛없게 먹어서인지 노로 바이러스 걱정 때문인지, 배가 살살 아프기 시작했다. 버스터미널 화장실에서 큰 일을 보고 싹 비워내서인지 조금 안심이 됐지만 그래도 불안했다. 오만가지 상상을 했다. 고속도로를 달리는 버스 안에서 막 토하고 설사하면 어쩌지? 식중독은 수도꼭지 틀어놓은 것처럼 물 설사를 좍좍 한다던데. 생각만 해도 눈앞이 노래졌다. 중간에 내릴 수도 없는 상황이다. 차에 올라타서 기도했다. 나무관세음보살, 인샬라, 주여! 기도가 통했나. 아무일 없이 대전에 도착했다. 알고 보니 노로 바이러스는 하루나 이틀 후에 증세가 나타나는 거였다. 조마조마했지만 다다음날까지 별일 없었다.

여자를 꽤나 밝힌 카사노바는 굴을 무지막지하게 먹었다. 굴은 남자에게 좋다고 한다. 언제 한번 카사노바를 소환해 굴먹기 내기를 해볼까. 다음엔 추위가 쨍하는 한겨울에 통영 굴을 제대로 먹어야겠다. <지방부장>
우난순 수정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1기 신도시 재건축 '판 깔렸지만'…못 웃는 지방 노후계획도시
  2. 밀알복지관 가족힐링캠프 '함께라서 행보캠'
  3.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
  4. 축산업의 미래, 가축분뇨 문제 해결에 달렸다
  5. 교정시설에서 동료 수형자 폭행 '실형'…기절시켜 깨우는 행위 반복
  1. 대전행복나눔무지개푸드마켓 1호점 공식 카카오톡 채널 개설
  2. 농산 부산물, 부가가치 창출...환경과 경제 살리는 동력
  3. 어촌서 재충전, '쉬어(漁)가요' 프로그램 참가자 모집
  4. 챗봇 '해수호봇', 해양안전 디지털 혁신 이끈다
  5. 정부 부동산 대책 지방 위한 추가대안 마련 시급

헤드라인 뉴스


정청래 국회연설 "내란청산은 정치보복이 아니다"

정청래 국회연설 "내란청산은 정치보복이 아니다"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는 9일 “남북이 다시 손잡는 핵심은 경제협력이고, 우리는 경제통일에 민생통일을 추가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 “통일부가 2026년 남북협력기금으로 1조 25억원을 편성했다. 주목할 것은 경제협력사업 예산으로, 606억원에서 1789억원으로 세 배가량 증가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개성공단과 같은 경제협력 사업의 재개를 위해 필요한 도로와 폐수 시설 같은 복구와 구축 사업 예산”이라며 “남북이 힘을 합치면 경제 규모도 커지고 일자리도 늘어나고, 동..

국내 증시 조정에도…충청권 상장사는 `선방`
국내 증시 조정에도…충청권 상장사는 '선방'

새 정부 출범 이후 가파른 상승세를 타던 국내 증시가 최근 조정 국면을 맞고 있지만, 충청권 상장사들은 비교적 선방하고 있다. 전체적인 시장의 침체 분위기 속 8월 한 달 간 충청권 상장법인의 시가총액 합계는 전월 대비 0.3%(4074억 원) 증가한 152조 3402억 원에 도달했다. 한국거래소 대전혁신성장센터가 9일 발표한 대전·충청지역 상장사 증시 동향에 따르면 8월 충청권 상장법인의 시가총액은 152조 3402억 원으로 전월(151조 9328억 원) 대비 0.3% 증가했다. 8월 한 달 동안 대전·세종·충남 지역의 시총은 근..

대전 공기업 임원 교체 `바람` 불까…대전관광공사 임원 교체 가닥
대전 공기업 임원 교체 '바람' 불까…대전관광공사 임원 교체 가닥

민선 8기 대전시 출범 이후 임명된 시 산하 공기업 임원이 속속 임기를 마치면서 연임과 교체의 '갈림길'에 놓였다. 이장우 시장의 임기가 1년도 남지 않은 상황에서 물갈이를 통한 조직 변화를 꾀할지, 연장으로 막바지 조직 안정화를 선택할지에 대한 관심이 쏠린다. 9일 대전시에 따르면 시 출자·출연 기관장은 시장과 임기를 같이 하기로 조례로 정했지만, 시 산하 공기업은 지방공기업법을 적용받아 이와 무관하다. 이에 민선 8기 출범 이후 임명된 시 산하 공기업 임원들의 3년 임기가 순차적으로 끝나고 있다. 대전관광공사는 임원 교체 분위기..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올바른 손씻기로 식중독 예방해요’ ‘올바른 손씻기로 식중독 예방해요’

  • 전통시장 화재안전 집중조사 전통시장 화재안전 집중조사

  • ‘한국의 情을 고향에 전하세요’ ‘한국의 情을 고향에 전하세요’

  •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 K-water 안전기동점검반 임명식...‘안전을 심다’